• 제목/요약/키워드: 카페인

검색결과 700건 처리시간 0.025초

난소절제 쥐에서 카페인 첨가식이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ariectomized Rats)

  • 최미자;이주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16-223
    • /
    • 2008
  • 본 연구는 0.03%의 카페인 함유 식이를 폐경모델인 난소절제쥐에서 6주간 섭취시켜 골밀도와 골무기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체중증가량은 난소절제군이 Sha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혈 중 칼슘 농도는 난소절제군내에서 카페인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 혈 중 ALP는 Sham군과 난소절제군 모두에서 카페인 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중 Osteocalcin은 Sham 군과 난소절제군, 그리고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요 중 칼슘 및 인의 농도, 요 중 Deoxypyridinoline(DPD)와 crosslinks value는 Sham 군과 난소절제군, 그리고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척추골밀도는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난소절제군내에서 카페인 첨가군과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대퇴골밀도와 대퇴 골무기질 함량은 Sham군과 난소 절제군 간의 차이는 없었고, 각 군내에서 식이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따라서 카페인 0.03% caffeine 섭취는 난소절제쥐에서 6주간 섭취 시킨 경우 척추와 대퇴골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dy-to-drink (RTD) 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표시사항의 적합성 (Conformance of Caffeine Content and Labeling of Ready-to-drink Coffee)

  • 서예은;이유정;김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7-5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형마트, 편의점 및 온라인 마켓에서 수집한 조제커피 제품의 카페인 함량을 모니터링하고 표시사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함량은 HPLC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콜드브루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0.31-1.04 mg이었으며 평균 0.55 mg으로 나타났다. 제품 1개당 평균 함량은 147.27 mg/bottle로 나타나, 일일 권장섭취량을 감안하였을 때 성인 1인당 2.7병을 섭취할 수 있다. 아메리카노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0.15-0.38 mg이었으며 평균 함량은 0.28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품 1개당 평균 함량은 110.42 mg/bottle로 나타나, 일일 권장섭취량을 감안하였을 때 성인 1인당 3.6병을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카페인 콜드브루 제품의 카페인 평균 함량은 5.14 mg/bottle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메리카노 제품에 비해 약 95%이상 카페인이 제거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디카페인 제품 기준에 충족하였다. 또한, 총 카페인 함량의 허용오차인 120%를 초과하지 않아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속액체 크로마토크래피에 의한 커피, 홍차, 녹차중의 카페인 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affeine in Coffee, Black tea and Green T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권익부;이윤수;우상규;이충영;서준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3-217
    • /
    • 1990
  • 커피, 홍차, 녹차중의 카페인 함량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정량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역상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카페인 정량은 메타놀-초산-물(20 : 1 : 79)을 이동상으로 하여 ${\mu}-Bondapak$ C18 컬럼하에서 이루어졌다. 카페인의 검출에는 UV검출기를 사용하여 280 mm에서 행하였다. Sep-Pak alumina A 카트리지를 이용한 간단한 전처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카페인의 추출 및 clean-up를 행하였다. 카페인의 첨가 회수율은 95.2~101.3%이었고 분석의 재현성은 상대표준 편차로서 0.10~0.62%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1;\mu\textrm{g}$/ml이었다.

  • PDF

카페인과 칼슘이 골모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on the activities of the mouse osteoblastic cells)

  • 전윤식;백혜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29-142
    • /
    • 2002
  • 사회적, 경제적 여건의 향상으로 성인들의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증가는 교정치료에 제한이 되며, 골다공증과 카페인과의 관련 여부는 최근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후 1일된 마우스의 골모세포를 in Vitro상에서 카페인과 칼슘 및 이 둘을 혼합 처리하여 골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골모세포는 마우스의 두개관에서 얻었으며, 카페인 단독 처리, 칼슘 단독 처리, 카페인과 칼슘의 혼합처리를 시행하였다. 카페인 처리를 한 경우 1일, 2일, 4일째 세포 독성 정도를 570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고, 카페인, 칼슘 및 혼합 처리시 배양 후 28일째 Von Kossa staining 후 영상분석기에 의해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변화를 배양 후 2일, 7일, 14일, 21일, 28일째 405 nm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고, IL-1 ${\beta}$의 활성도를 48시간 후 492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수치들은 ANOVA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1. 카페인에 대한 세포 독성은 카페인의 농도가 1.0 mM, 2.0 mM로 증가함에 따라, 2일, 4일로 배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세포수는 감소하였다. 2.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 우 0.2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2 mM에서, 혼합 처리한 경우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는 비처리시 칼슘과 같이 14일째 최대값을 보이는 반면,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카페인과 칼슘 혼합 처리시에는 칼슘 농도가 1.2 mM, 1.8 mM인 경우 배양 14일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2.5 mM인 경우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4. II-1 ${\beta}$의 활성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0.2 mM, 1.0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8 mM에서, 혼합 처리시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한 경우 높게 나타났고, 고농도의 카페인, 칼슘 혼합 처리 시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칼슘이 1.2 mM, 1.8 mM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카페인에 의한 골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과 IL-1 ${\beta}$의 활성 억제 효과가 어느 정도 회복되나, 2.5 mM 고농도의 칼슘은 억제된 활성을 회복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Nerve Conduction Velocity)

  • 강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199
    • /
    • 2020
  •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종류는 커피를 사용하였다.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메틸화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 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 카페인 섭취가 신경속도를 향상시켜 반응시간의 감소를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 개별 집단 내에서의 사전, 사후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수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두 곳의 측정 구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팔꿈치 위 액와 구간에서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카페인 섭취 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을 섭취함으로 인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일시적으로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능력향상, 근력향상, 신경기능향상 등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카페인섭취는 신경전도속도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향상에 대해 도움을 줌으로써 카페인이 말초신경계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기능장애, 신경기능장애 환자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청소년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 및 부작용 경험 (Consumption Status and Experience of Adverse Effects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오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5-43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와 부작용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245명의 자료를 SPSS 18로 기술통계와 ${\chi}^2-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79.5%가 고카페인 에너지음료를 마신 경험이 있었다.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후 50.6%가 부작용을 경험했으며, 부작용 중 가슴 두근거림이 가장 많았다. 일반적인 특성 중 한 달 용돈(p=.019)과 음주 여부(p=.033)에 따라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p=.001)과 건강상태(p=.006)에 따라 부작용 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에 따른 부작용 경험과의 차이는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섭취 이유(p=.040)와 섭취 시기(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카페인 음료의 판매를 제한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 스스로가 조절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해 지속적인 건강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한 카페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fe Architectu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 김정일;김형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07-112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카페 중 제주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건축한 카페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카페가 차별성과 고유성을 확보하여 나름의 경쟁력과 관광객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주에서 카페를 창업하고자하는 예비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또한 카페 건축에 적용된 제주 고유의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제주지역을 이해하는 학술적 기반과 적용가능한 제주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연구는 문헌분석과 현장답사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카페에서 적용된 제주지역의 특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현상적 물성의 반영이다. 이는 제주의 현무암 등 독특한 건축재료, 형태, 지붕 등 기존 건물의 물리적 요소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의 해석적 일상의 반영이다. 이는 제주 옛집의 배치, 일상소품 등을 카페에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의 서사적 시간성의 반영이다. 이는 기존 건물이 가진 역사적 사건과 이야기, 시간 등이 누적된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에서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카페를 창업할 경우, 위의 세 가지 특성을 융합하여 구축한다면 매우 특성 있는 카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카페 공간의 소음과 대화 방해에 대한 설문조사 (A survey on noise generation and conversation interruption in cafes)

  • 정정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60-670
    • /
    • 2021
  •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카페를 이용함에 따라 주변 사람들의 대화음, 소음과 배경 음악으로 인해 일행과의 대화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주변 이용자의 대화 소리가 잘 들리는 등 카페 내부 소음과 음향과 관련된 개선이 필요하다. 설문조사는 성인 남녀 212명을 대상으로 카페 음향과 소음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응답자의 2/3가 시끄러운 카페를 선호하지 않았으며, 카페의 소음이 카페 이용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고 답하였다. 카페에서의 주요한 소음원은 주변 사람들의 대화 소리로 주변 사람의 대화 소리로 인해 일행과의 대화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응답자 본인의 대화가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이 신경이 쓰인다고 응답한 비율이 40 % 이상이었다. 카페 음향과 소음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카페 사용자의 음성 명료도 확보와 함께 음성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Wistar Rat에 있어서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식이단백질 수준, 카페인 및 녹차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s, Caffeine and Green Tea on Body Fat Deposition in Wistar Rats)

  • 이치호;최병규;이원창;박창일;후루가와유지로;기무라슈이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95-600
    • /
    • 1992
  • 본 연구는 흰 쥐에 있어서의 식이단백질 수준, 카페인 또는 녹차가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90g 전후의 이유기후의 수컷 Wistar rat를 사용하여 식이단백질 수준을 달리하여, 카페인 또는 녹차의 첨가유뮤로 6군으로 나누어 8주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 PEP 수준에 있어서 카페인 또는 녹차문말을 첨가한 군의 체중 및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카페인 또는 녹차분말을 첨가한 5% PEP 수준에서 체중 및 백색지방조직의 중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카페인 또는 녹차를 첨가한 5% PEP 수준에서 혈장 및 간장중의 triglyceride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와 같은 영향은 녹차첨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5% 및 15% PEP군에 카페인 또는 녹차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혈장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이었다(p<0.01). 반면에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하게 높은 값이었다(p<0.01). 특히 6.1% 녹차분말 첨가군에서의 동맥경화지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와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lntake and Stress on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상현;권수아;권유진;김세인;김예진;오혜란;하수영;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61-169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와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2월 14일부터 3월 13일까지 구글(Google) 설문지를 통해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여 t-test, one way ANOVA 및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1일 카페인 권장섭취량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나, 대부분의 대학생이 한국 성인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스트레스(r =.32, p=<.001)와 카페인 섭취(r =.24,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질량 지수와(β=.19, p<.001) 스트레스(β=.37 p<.001), 흡연(β=-.18, p=.001), 카페인 섭취(β=.15, p=.005) 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24.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