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제인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카제인의 탈인산화가 카제인 미셀의 에탄올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sein Dephosphorylation on Stability of Casein Micelles towards Ethanol)

  • 신원선;문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54-258
    • /
    • 1995
  • 탈인산화 정도를 달리한 전카제인 또는 ${\beta}$- 및 ${\kappa}$-카제인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카제인 미셀계를 합성하여 탈인산화하지 않은 카제인으로 제조한 미셀계와 에탄올에 대한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탈인산화한 전카제인으로 만든 미셀은 천연 전카제인으로 제조한 인공 카제인보다 에탄올에 대한 안정성이 낮았으며, 탈인산화 정도가 클수록 에탄올 안정성이 낮게 나타났다. 탈인산화한 ${\kappa}$-카제인을 사용하여 제조한 인공 카제인 미셀은 탈인산화하지 않은 ${\kappa}$-카제인을 사용한 미셀보다 에탄올에 대한 안정성이 낮았고, 또한 탈인산화가 많이 된 ${\beta}$-카제인으로 만든 미셀계일수록 에탄올 안정성이 낮았다. 탈지유의 에탄올에 대한 안정성은 탈인산화가 많이 될수록 감소하였으나 감소의 폭이 좁은 특징을 보였으며, 합성한 카제인 미셀계는 pH $6.3{\sim}7.2$ 범위에서 pH가 상승함에 따라 에탄을 안정성이 높아져 카제인의 인산기가 미셀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였다.

  • PDF

Transglutaminase로 처리한 초고온 살균유 침전물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of Transglutaminase-treated Ultra High Temperature Milk Sedimiment)

  • 문정한;홍윤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59-1366
    • /
    • 2004
  • 초고온-살균 우유를 이용하여 탈지유와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제거된 우유에 TG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초고속 원심분리를 실시하고 침전된 카제인 입자들을 동결건조하여 조직의 성상에 대해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 비교하였다 탈지유는 카제인 입자들이 원심분리 초기(5,000${\times}$g)에는 규칙적으로 회합하였으며 원심분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홈을 형성하였고(10,000∼20,000${\times}$g), 40,000${\times}$g에서 다시 회합하였다. 그리고, 100,000${\times}$g에서는 카제인 입자 수의 증가와 함께 규칙적인 회합층을 이루었다.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1시간 반응시킨 경우에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입자들끼리 엉켜져서 회합을 하였으며 초고속 원심 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 규칙적으로 혹은 불규칙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자들이 넓어지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카제인 입자들이 회합층을 이루었다.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8시간 반응시킨 경우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1시간 반응시킨 경우보다 카제인 입자들이 미세해지면서 규칙적인 층을 형성하였으며,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카제인입자들의 조직이 홈을 형성하면서 불규칙적으로 회합하여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다가 다시 비교적 규칙적으로 회합하였다.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우유에서는 카제인 입자들이 침전되지 않았다. TGase가 첨가되어 1시간 반응시킨 후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우유에서는 20,000${\times}$g 속도에서부터 카제인 입자들이 침전하였고 그 양상은 작은 낙엽처럼 미세하게 회합층을 형성하였으며, 속도 증가에 따라 카제인 입자들의 조직은 개방되었다. TGase가 첨가된 후 8시간 반응시킨 다음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유리된 시료의 경우 카제인 입자들은 대부분 넓게 회합층을 이루고 불규칙적이었으며 원심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TGase가 첨가된후 1시간 혹은 8시간 반응시킨 다음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을 제거하고 원심분리한 현탁액(유청 단백질)을 pH 4.6으로 조정 후 2단계 원심 분리한 침전물의 경우 카제인 입자들은 1시간 반응시킨 시료에서는 대부분의 카제인 입자들끼리 엉켜져 불규칙적인 회합층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8시간 반응시킨 시료에서는 입자들이 미세한 형태로 분산되어 규칙적인 층을 형성하였다.

유선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카제인 유전자의 클로닝(I) (Molecular cloning of casein gane which is expressed in mammary glands)

  • 최인호;배봉진;이창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6
    • /
    • 1995
  • 우유 단백질인 ${\gamma}$- 카제인 유전자는 여러 호르몬들에 의해서 임신기간과 비유기기간 동안에 동물의 유선조직에서 발현되는 카제인 유전자 집단의 하나이다. 우유 단백질 유전자의 유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에 관한 메커니즘 설명으로 생쥐 ${\gamma}$- 카제인 유전자가 분석되었고 특성을 밝혔다. ${\gamma}$- 카제인 유전자는 박테리오파지 EMBL 3벡터에 삽입된 제놈 도서관으로부터 ${\gamma}$- 카제인 cDNA를 probe로 사용하여 스크린하여 하나의 클론을 얻었다. ${\gamma}$- 카제인 cDNA를 probe는 부분적으로 염기배열을 밝혔으며 ATC 개시 암호와 5'-noncoding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클론된 제놈 DNA는 제한효소 Sal I에 의해서 ENBL 3벡터로부터 분리 되었다. 3개의 DNA밴드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각의 크기는 28Kb, 14Kb 그리고 9Kb 이다. 따라서 삽입된 DNA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23Kb 이다. Southern blot 분석 결과, 클론된 제놈 DNA는 cDNA 5' 발단 부위를 합성한 oilgonucleotides(40 mer)와는 결합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그러나 ${\gamma}$- 카제인 cDNA와는 결합되는 것을 보여 준다. Pormoter 부위를 포함하는 ${\gamma}$- 카제인 제놈 DNA는 cDNA 5' 말단 부위의 합성된 probe에 의해서 생쥐 제놈 도서관으로 부터 스크린하여 현재 29개의 클론을 얻었다.

  • PDF

카제인으로 고결된 모래의 강도 및 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Strength and Durability of Casein-cemented Sand)

  • 박성식;우승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31-42
    • /
    • 2019
  • 카제인은 우유 속에 약 3% 함유되어 있으면서, 우유에 함유된 전체 단백질의 약 80%를 차지한다. 카제인에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섞으면 고결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고결방식은 목재나 건조한 환경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가 존재하는 토사의 고결을 위해 물에 약한 카제인 고결제의 구성성분을 조절하거나 새로운 성분을 추가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모래에 고결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멘트뿐 아니라 위스콘신대학에서 제시한 표준 카제인 고결제를 비롯한 다양한 카제인 고결모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6 종류의 카제인 고결모래 중에서 표준 카제인 고결제에 수산화칼슘을 30% 증가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50% 감소시킨 것이 가장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개선된 카제인 고결제를 1-4% 혼합하여 만든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와 반복건습으로 인한 내구성지수를 시멘트 고결모래 공시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카제인비 4%인 고결모래 공시체의 입축압축강도와 내구성지수는 6,253kPa 및 92%로 일축압축강도 1,500kPa 및 내구성지수 62%인 시멘트비 8%인 고결모래 공시체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제인이 3% 이상 함유된 고결모래 공시체는 반복적인 건습 작용에도 80% 이상의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하였다.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첨가한 우유의 전자현미경적 특성 (Electron Microscopical Property of Transglutaminase Added Milk)

  • 문정한;홍윤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0-355
    • /
    • 2003
  • 원유를 이용하여 탈지유와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제거된 우유에 TG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초고속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침전된 카제인 입자들을 동결건조하여 조직의 성상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 비교하였다. 탈지유와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1시간 반응시킨 경우에서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혹은 규칙적으로 변형되면서 입자들이 넓어지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카제인 입자들이 회합층을 이루었다. 탈지유에 TGase를 처리하고 8시간 반응시킨 경우 카제인 입자들의 성상은 불규칙적으로 모여서 덩어리 형태를 나타내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회합하였으며, 원심분리 속도의(20,000∼40,000 ${\times}$g)증가에 따라 조직이 넓어지면서 층을 이루다가 다시 불규칙으로 회합하여 분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제거된 우유와 콜로이드성 인산칼슘이 제거된 우유에 TGase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경우에서는 카제인 입자들이 거의 침전하지 않았다. 반면에 8시간 반응시킨 경우에서는 카제인 입자들이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 증가에 따라 모여서 회합층을 이루다가 점차적으로 조직이 넓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한 카제인 입자들의 조직 성상은 TGase를 처리하고 반응시간과 초고속 원심분리 속도를 증가했을때 입자들이 모여 불규칙하게 분산되거나 혹은 넓게 회합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TGase가 우유 단백질에 작용하여 교차결합을 촉매함으로써 단백질의 분자구조가 변형되어 카제인 입자들의 조직이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사과주스에서 카제인-펙틴 혼합물의 안정성 (Stability of Casein-Pectin Mixtures in Apple Juice)

  • 최문정;유승화;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33-143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펙틴의 첨가가 카제인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과 산성의 사과주스에서 카제인-펙틴 혼합물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0.1% 카제인 용액은 $pH\;3{\sim}5$에서 20% 이하의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카제인과 펙틴을 각각 0.1%로 혼합한 용액은 $pH\;2{\sim}10$에서도 70% 이상의 우수한 용해도를 가지며, 혼합액의 전체농도가 낮을수록 더 큰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카제인-펙틴 혼합용액을 사과주스에 최종농도가 $0.1{\sim}0.5%$가 되도록 첨가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사과주스가 안정하였으며, $100^{\circ}C$에서 10분간 가열하거나 일주일 동안 냉장보관 한 경우에도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성식품에 펙틴과 카제인을 혼합하여 첨가할 경우 안정성이 유지되어 단백질이 강화된 제품의 제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카제인-알긴산 혼합물의 비혼합성 (Incompatibility of Casein-Alginate Mixtures)

  • 최문정;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35-1039
    • /
    • 1998
  • 수용액상에서 단백질과 다당류 사이의 비혼합성은 일반적인 현상이므로 다양한 조성과 형태의 수용성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식품에서 상분리는 매우 전형적인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원료로 자주 쓰이는 카제인과 알긴산을 이용하여, pH (6, 8, 10), NaCl 농도(0, 0.25, 0.5 M), 알긴산의 분자량$(1.64{\times}10^5,\;1.95{\times}10^5)$에 따른 상분리현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품에서 카제인이 유화제로 작용할 때 알긴산의 첨가에 따른 혼합성의 변화는 카제인의 유화안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알긴산의 분자량에 따른 혼합성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pH가 높을수록, 염농도가 낮을수록 카제인-알긴산 혼합물의 비혼합성은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카제인과 알긴산 사이의 정전기적 작용이 혼합성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표면 보호용 수용성 Acrylic-casein Hybrid Resin의 합성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ic-casein Hybrid Resins for Surface Protection)

  • 이주엽;김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6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아크릴을 합성한 다음 수성 카제인 수지를 합성하여 기합성 완성된 아크릴 수지에 카제인 수지의 적하량을 점차 증가시켜 변화하는 물성을 피혁(Lamb leather)에 표면 코팅하여 물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내용제성 측정 결과 높은 내용제성 물성을 지닌 아크릴 수지와 카제인 수지의 함량이 물성 변화에 끼치지 않았으며 모두 높은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 측정치에서는 아크릴 단독 코팅의 측정치가 $1.399kg_f/mm^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카제인 수지의 합량이 제일 높은 WAC-3가 가장 높은 인장력 $1.426kg_f/mm^2$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마모도 측정에서는 WAC-3가 제일 높은 69.774 mg.loss로 우수한 물성변화를 나타내었고, 연실률의 경우 아크릴 단독 코팅인 WAR이 820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근원섬유단백질과 카제인 염의 교차결합을 촉매하는 Transglutaminase의 효과

  • 황지숙;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77-181
    • /
    • 2005
  • 근원섬유 단백질에 카제인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나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가제인염은 열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TGase가 이러한 카제인염의 단점을 보완해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량분석기와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열량분석기의 경우 근원섬유 단백질과 카제인 염 단백질의 상호교차결합을 TGase의 첨가유무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TGase의 첨가는 각 단백질 열량변화가 나타나는 온도를 변화시켰으며 배양시간을 증가할수록 각 단백질별 열량변화의 차이를 보였고 peak의 크기에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기영동의 경우 MFP, SC, MFP:SC의 1:1 혼합액을 각각을 TGase 첨가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비교한 결과, TGase의 첨가는 고분자 polymer를 만들어줌으로써 두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촉매제로써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자연발증고혈압쥐에서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혈압강하효과 (Antihypertensive Effects of Casein Hydrolysat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현수;인영민;정석근;함준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83-49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in vivo 상에서 혈압강하 효과를 알아보고, 혈압강하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펩타이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소화관 단백질 분해효소 (펩신, 트립신, 카이모트립신) 내성 시험 결과 카제인 가수분해물은 소화관 효소 처리에 의하여 ACE 저해효과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발증고혈압쥐를 이용한 혈압강하 실험에서 500 mg/kg을 경구 투여한 결과 12.9% (-28.88 mmHg, P<0.05) 저하하였고, 이들 가수분해물을 30% 난황으로 유화할 경우 15.9% (-30.76 mmHg, P<0.01)의 혈압이 감소하여 난황으로 유화에 의해 다소 혈압강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장기 투여에 의한 혈압강하 효과에서 35일 부터 수축기혈압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12.46% (P<0.05) 감소하였다. 가수분해물의 장기투여에 의한 자연발증고혈압쥐의 체중변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혈압강하 효과를 가지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간장장애 지표로서 사용되는 GOT, GPT 활성에 차이가 없었다. 간장 비대 등의 장기 비대 현상도 없었고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ACE 저해활성을 가지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은 혈압강하제와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지만 항상 섭취하는 식품 중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기대되며, 고혈압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서 개발하기 위해서 앞으로 ACE 저해 펩타이드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성 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