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출수량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시설재배 토양의 유효인산 측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Determination Methods for Available-P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양원석;강성수;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3-172
    • /
    • 2006
  • 충북지역 시설재배지로부터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토마토 재배시험에 25개 토양, 오이 재배시험에 8개 토양을 채취하여 작물의 인 흡수량에 대한 유효인산 검정방법들의 효율성이 평가되었다. 또한 이들 공시토양 이외에 시설재배 토양 38개를 추가한 71개 토양에 대하여 유효인산 침출방법들의 상호관계가 토양의 인흡수량 이외에 수용성, Lancaster, Olsen, Bray No 1과 No 2, Mehlich I과 III 등 8가지로 비교 평가되었다. 침출방법별 유효인산의 상호관계에 대한 평가에서 토양의 인산흡수량은 모든 침출방법의 유효인산 함량과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 (-0.57~-0.80)을 보였으며 그 이외 유효인산 침출방법들 간에는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r=0.81~0.96)을 보였다. 무비구 토마토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인산흡수량을 제외한 모든 유효인산 침출방법들과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1999년 4월 시험, r=0.49~0.76; 2000년 4월 시험, r=0.53~0.71; 2000년 10월 시험, r=0.59~0.68)을 보였으며 년차간 시험을 종합한 토마토 인 흡수량의 상대값은 모든 유효인산 검정법들과 매우 고도로 유의성 (p<0.0000001)있는 정의 상관관계 (r=0.64~0.73)를 보였으며 특히 Mehlich I 법과 III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그리고 Lancaster 법이 다음이었다. Cate and Nelson 분할방법으로 무비구 토마토의 상대적인 인 흡수량의 최대값에 해당되는 유효인산의 한계농도는 Mehlich III 법이 약 $1700mg\;kg^{-1}$, Lancaster 법이 약 $1,050mg\;kg^{-1}$, 그리고 수용성은 약 $95mg\;kg^{-1}$으로 추정되었다. 오이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Olsen 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 (r=0.62)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수용성 (r=0.59) 및 Bray No 2법 (r=0.51)의 순이었다.

관수(灌水)에 의(依)한 비닐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제염(除鹽) (Effect of Watering on Eluviation of Soluble Salts in the Vinyl House Soils)

  • 정영상;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0
    • /
    • 1975
  • 소채(蔬채)의 연작(連作)과 다비(多肥)에 의(依)하여 염류(鹽類)가 과잉집적(過剩集積)된 비닐하우스 내(內) 토양(土壤)에 대(對)하여 관수량(灌水量)과 관수회수(灌水回數)에 따른 제염효과(除鹽效果)와 제염(除鹽)이 토마토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수량(灌水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또 1회(回)에 전량(全量)을 관수(灌水)하는 것 보다 2~3회에 나누어서 관수(灌水)하는 것의 제염률(除鹽率)이 높았다. 동일량(同一量)의 관수량(灌水量)에 대(對)한 제염효율(除鹽效率)은 사양토(砂壤士)보다 식양토(埴壤士)에서 높았으며, 150mm 관수시(灌水時) 토양(土壤)의 깊이 30cm 까지의 제염율(除鹽率)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에서 50%, 사양토(砂壤土)에서 34% 이었다. 2. 관수(灌水)에 의(依)한 제염(除鹽)으로 토마토의 수량(收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제염율(除鹽率)과는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다. 100mm(50-50), 150mm(50-50-50, 혹(或)은 100-50) 및 200mm(100-100) 관수(灌水)한 구(區)의 증가(增收)가 인정(認定)되었다. 3 토마토의 수량(收量)(${\hat{Y}}$)와 표토(表土)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1 : 5)와는 다음과 같은 관계(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사양토(砂壤士);${\hat{Y}}=1,737.0+437.5X-290.5X^2$ $(R=0.632^{**})$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士);${\hat{Y}}=1,542.3+454.1X-275.0X^2$ $(R=0.622^{**})$ 4. 수량(收量)과 토양(土壤)의 침출성(浸出性) 양(陽)ion중(中) calcium, magnesium의 함량(含量)과는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sodium, potassium sodium 함량(含量) 및 sodium과 calcium과의 비(比) (Na/Ca)과 부상관(負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전토양(田土壤)의 유효인산 분석방법(分析方法) 비교(比較) (Comparison of Several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Available Soil P in Upland Soils)

  • 윤정희;신철우;류인수;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9-224
    • /
    • 1978
  • 우리나라 전토양(田土壤) 분석(分析)에 적합(適合)한 토양유효인산분석법을 밝히고자 4개토양(個土壤)을 가지고 토관(土管)에서 대두(大豆)를 재배(栽培)하여 수량(收量) 및 식물체중(植物體中)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흡수량(吸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수량(大豆收量)은 화아분화기(花芽分化期) 식물체중(植物體中)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 높은 상관(相關)이 있었고 식물체중(植物體中)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은 각방법별(各方法別) 토양유효인산(土壤有效燐酸)과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그 상관도(相關度)는 Olsen P${\geq}$Lancater P>Bray No.1 P>Bray No.2 P>Truog P의 순(順)이었다. 2. 각방법(各方法)에 의(依)하여 침출(浸出)된 토양유효인산(土壤有效燐酸)의 절대치(絶對値)의 크기는 Bray No. 2 P>Lancaster P${\geq}$Bray No.1 P>Truog P의 순(順)이었다. 3. 각방법별(各方法別) 토양유효인산함량(土壤有效燐酸含量)은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각분별정량치(各分別定量値)와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 4. 결론적(結論的)으로 대두수량(大豆收量)과 토양유효인산(土壤有效燐酸)과의 관계(關係)에 있어서 Lancaste P, Bray P 및 Olsen P는 그 정도(程度)에 있어서 거의 유사(類似)한 것이었으나 Olsen P가 가장 높은 상관도(相關度)를 보였다.

  • PDF

호남평야지에서 SCB 액비 분시가 쌀 수량과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lit Application of SCB Liquid Fertilizer on Rice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y in Honam Plain Field)

  • 이상복;조광민;양창휴;오영진;박태일;김기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0-145
    • /
    • 2011
  • 벼에 대한 SCB 액비의 활용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기 추 비 시용량을 달리 처리한 후 쌀 수량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토양의 화학성은 규산을 제외한 액비시용구가 무시용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시험 전 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액비시용 후 토양 중 $NH_4$-N함량은 2일 이내 균평작업으로 논 전체에 균일한 농도를 유지하였다. 액비분시에 따른 토양 중 $NH_4$-N와 $NO_3$-N함량은 이앙 후부터는 초기에는 화학비료 관행시비구와 액비 기비 100%처리에서 높았으나 분얼감수기 이후에는 모든 처리가 유사하였다. 토양침출수중 $NO_3$-N함량은 액비기비70%+수비30%시용에서 관행시비구보다 약간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액비 분시에 따른 쌀 수량은 관행시비구보다 액비 기비 100%처리에서 약간 낮았으나 액비 기비70%+수비30%에서 관행시비구와 대등하였으며 나머지 액비 처리구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쌀 품위는 무 시용구와 액비 기비100%에서 완전립율이 높고,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액비기비70%+수비30%에서 관행시비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SCB액비를 이용하여 벼 재배할 경우 액비기비70%와 수비30%시용으로 화학비료 사용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젖소액비(液肥)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담근먹이옥수수의 생산성과 토양화학적 특성의 변화 (Effects of Daily Liquid Manure Amount on Silage Corn Productivity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 신재순;이혁호;신동은;김정갑;조영무;육완방;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2
    • /
    • 1999
  •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젖소액비의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담근먹이 옥수수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토양변화(土壤變化) 및 토양중(土壤中) 침출수(浸出水)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코자 1996년 3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2년동안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포장에서 수행(遂行)되었다. 간장 및 조단백질 함량은 액비(液肥) 150%구에서 각각 264cm, 6.8%로 가장 높았지만, 건물수량(乾物收量)과 TDN 수량(收量)은 화학비료구(化學肥料區)(T1)가 각각(各各) 14.5톤/ha, 9.5톤/ha로 가장 높았는데 액비로 시용할 경우, 액비 100%구(100톤/ha)가 각각(各各) 14.0톤/ha, 9.1톤/ha으로 T1구의 96% 및 97% 수준(水準)이었다. 토양산도(土壤酸度)는 시험전(試驗前) 토양에서 보다 시험 후 액상분뇨(液狀糞尿) 시용구(施用區) 토양에서 낮게 나타났다. 토양의 유기물(有機物) 함량과 인산 함량은 시험전(試驗前)에 비하여 시험(試驗) 후(後)에 액상분뇨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시용량(施用量)을 증가에 따른 비레적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액비시용에 따른 침출수 중 $NO_3-N$ 함량은 전기간(全期間)에 걸쳐서 가축의 음용허용치(飮用許容値)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젖소액비의 적정시용량은 질소 함량 기준으로 200kg/ha(액비 100톤)시용이 적합하였다.

  • PDF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 결정기준(決定基準)으로서의 최대인산흡착량(最大燐酸吸着量) (Langmuir phosphorus adsorption maximum as a criterion for determination of rate of phosphorus application)

  • 류인수;조인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97
    • /
    • 1977
  • 최선(最善)의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 결정기준(決定基準)을 찾고저 기경지(旣耕地), 미개간지(未開墾地) 및 제주(濟州)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壤)을 공시(供試)하여 충분(充分)한 관수조건하(灌水條件下)에서 콩을 재배(裁培)한 pot시험결과(t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별(土壤別) 인산흡착력(燐酸吸着力)의 차이(差異)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指標)는 Langmuir 최대인산흡착량(最大燐酸吸着量)이었다. 2. 최대인산흡착량(最大燐酸吸着量)는 초산(酢酸)암모니움 침출(浸出) Al 함량(含量)에 비례하나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에서는 Al외(外)에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의 영향(影響)이 컸다. 3. 최대수량(最大收量)을 얻기 위한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은 인산최대흡착량(燐酸最大吸着量)의 30~50% 범위에 있었다.

  • PDF

Fly ash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논 토양(土壤)의 유효규산(有效珪酸)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ly ash Application on the Yield of Rice and Silicate Availability in Paddy Soil)

  • 김용웅;윤종희;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5-283
    • /
    • 1994
  • 논 토양(土壤)에 무연탄(無煙炭)과 유연탄(有煙炭)의 fly ash를 시용(施用)하여 fly ash가 수도(水滔)의 생장(生長)과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有效珪酸)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벼의 수량(收量)은 무연탄회(無煙炭灰)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될수록 감소(減少)되었으나 유연탄회(有煙炭灰)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될수록 벼의 수량(收量)도 증가(增加)하였다. 2.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수도(水稻)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은 전질소(全窒素), $P_2O_5$, $K_2O$, CaO, MgO는 생육(生育)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고, $SiO_2$ 함량(含量)은 생육(生育)과 비례하여 수확기(收穫期)로 갈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수도(水稻)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의 토양(土壤) 화학성(化學性)을 보면 pH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및 무기성부(無機成分) $P_2O_5$, $K_2O$, CaO, MgO, 유효규산 함량은 무연탄회(無煙炭灰) 처리구(處理區)보다 유연탄회(有煙炭灰) 처리구(處理區)가 더욱 높았으며, 석탄회 처리량이 증가 함에따라 무기(無機) 성분(成分)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1N-NaOAc 침출법(浸出法)과 담수보온(湛水保溫) 정치법(靜置法)으로 생육(生育) 시기별(時期別)로 분석(分析)한 논 토양(土壤)의 $SiO_2$ 함량(含量)과 수도(水稻)의 $SiO_2$ 함량(含量)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살펴보면 무연탄(無煙炭)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두 분석법(分析法) 모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나, 유연탄회(有煙炭灰)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담수보온(湛水保溫) 정치법(靜置法)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냈다.

  • PDF

돈분 퇴·액비 시용 방법이 벼 양분 흡수, 수량 및 토양물리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Compost and Liquid Manure on Yield, Nutrients Uptake of Rice Pl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이상복;조광민;백남현;양창휴;정재혁;김기종;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2-778
    • /
    • 2012
  • 벼 재배시 돈분뇨 퇴 액비 시용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북 고창 소재 미사질 양토에서 화학비료 100% 대비 돈분뇨 퇴 액비를 기비와 추비로 분시하여 5개처리구에 벼 품종 동진1호를 사용하여 토양 이화학성 변화, 양분이용률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논 토양중 $NH_4^+$-N함량은 벼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 100%구가 퇴 액비 분시구보다 높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침출수중 $NO_3^-$-N함량은 화학비료 100%구보다 퇴비와 액비 또는 화학비료 분시로 낮아졌다. 시험 후 논토양 중 OM과 Avail. $P_2O_5$ 및 치환성 양이 온 함량은 퇴 액비의 영향으로 퇴비 50%+액비 50%구와 퇴비 30%+액비 70%구에서 높았고 공극율도 높은 경향이었다. 벼 양분 흡수량은 화학비료 100%구와 퇴 액비 분시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질소 이용률은 화학비료 100%구 대비 퇴비 50%+액비 50%구와 퇴비 30%+액비 70%구에서 평균 66%수준에 머물렀다. 쌀 수량은 화학비료 100%시용구 $557kg\;10a^{-1}$ 대비 퇴비 50%+액비 50%는 90%로 낮은 수준이나 퇴비 30%+화학비료 70%와 퇴비 30%+액비 70%구는 평균 96%로 화학비료 100%와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벼 재배시 가축분뇨 퇴비 30% 시용 후에 액비 또는 화학비료 70%를 분시하면 토양 물리화학성 개선은 물론 화학비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일시에 전량 액비시용보다는 작물이 필요한 시기에 분시를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토양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점액(粘液)의 점성(粘性) 및 유리당(遊離糖)-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I] Viscosity and Free Sugars in the Mucilage-)

  • 온두현;임재빈;손주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36-40
    • /
    • 1976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다음에 요약(要約)한다. 1.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은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을 함유(含有)한다. 이것의 함량(含量)은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하며 함량(含量)이 최고(最高)에 달(達)하는 시간(時間)은 온도(溫度), 침출수량등(浸出水量等)의 영향(影響)으로 일정(一定)하지 않다. 2.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도 경시적(經時的)으로 감퇴(減退)하며 이것의 점성(粘性)은 점액내(粘液內)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과 약간(若干)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어 일반(一般)으로 점도(粘度)가 큰 점액(粘液)의 당함량(糖含量)은 크다. 그리고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는 경시적(經時的)으로 급격(急激)하게 감퇴(減退)되나 당함량(糖含量)은 서서히 감소(減少)한다. 3.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은 표피(表皮)에서 많이 분비(分泌)되며 이 점액(粘液)은 목질부(木質部) 분비(分泌)된 점액(粘液)보다 점도(粘度)가 크고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이 크다. 4. mixer처리(處理)로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는 크게 감퇴(減退)하나 당함량(糖含量)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다. 5. 점액(粘液)의 점도저하(粘度低下)는 ammonium sulfate의 첨가(添加)로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지(防止)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유리당(遊離糖) 함량(含量)은 비교적(比較的) 적고, starch-iodine반응(反應)은 30일(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양성(陽性)이다. 뒤의 여러 결과(結果)로 미루어 점액(粘液)의 점성(粘性)의 불안정성(不安定性)은 화학적(化學的), 물리적(物理的) 요인외(要因外)에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요인(要因)이 복합(複合)되어 관련(關聯)될 것이라 추측(推測)된다.達)한 바 있으나 여기에서 점질물(粘質物)의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glucose, ribose 등(等)이 관여(關與)할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事實)이 관찰(觀察)되었다. glucose는 점액(粘液) 그리고 모든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나 ribose는 점질물(粘質物)을 제거(除去)한 여액(濾液)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고 약간(若干)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동일(同一)한 결과(結果)를 보인다. 또 여기에서 더욱 검토(檢討)하여야 할 미지물질(未知物質)의 존재(存在)도 관찰(觀察)되었다. 4. 따라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 및 점질물(粘質物)의 구성(構成) 성분(成分)으로 확인(確認)된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ribose와 uronic acid 등(等)이며 이밖에 미지(未知)의 물질(物質)도 확인(確認)되었다. 그러므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는 이들이 결합(結合)히여 이루어진 복합당(複合糖)일 것으로 추측(推測)된다.有率)이 그 지방(地方)의 비추락지(非秋落地)에서보다 낮았고 소사(素砂)에서는 철(鐵), 평택(平澤)에서는 유기물(有機物)의 함유율(含有率)이 추락도(秋落稻)에서 높았다. (5) 상층토전체(上層土全體)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각주요무기성분(各主要無機成分)의 전량(全量)에 대(對)하여 각(各) 지구(地區)를 통관(通觀)한 추락(秋落)과의 관계(關係)에 어떤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나 지구별단위(地區別單位)에 있어서는 질소(窒素) 그밖에 모든 성분(成分)에 있어서 차이(差異)가 있음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3. 수확물(收穫物)의 화학적(化學的)

  • PDF

가학광산 주변 논토양의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 함량 분포 (Distribution of Cadmium, Copper, Lead, and Zinc in Paddy Soils around an Old zinc Mine)

  • 류순호;노광준;이상모;박무언;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4-431
    • /
    • 1996
  • 경기도 광명시 가학광산 일대의 오염추정 농경지 (면적 877.247 m2)를 대상으로 1994년 4월부터 당해 10월까지 논토양과 현미중 중금속 분석을 통해 토양오염대책 설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 지역의 토양은 대부분 양질 또는 사양질이며 배수 불량 또는 약간 불량한 토양으로 분류된다. 토양의 이화학성은 일반 농경지 토양과 차이가 없으나 pH는 표토 6.7, 심토 7.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2. 0.1 N HCl 침출법에 따른 농경지 토양시료의 중금속 함량은 우리나라 논토양 사연함유량 (표토)에 비해 카드뮴은 약 50배, 구리, 납, 아연은 각각 9배, 22배 및 30배나 높게 나왔다. 과거 자료(류와 이, 1980)와 비교할 때 납과 아연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카드뮴은 여전히 높았다. 3. 중금속오염도는 작물의 생육 혹은 수량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카드뮴 함량은 인체 건강을 우려할 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토양중 카드뮴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현미중 카드뮴 농도가 $0.4mg\;kg^{-1}$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정하면 대강 면적의 45.4%인 $398.733m^2$였다. 4. 현미시료의 분석 결과 오염원에서 가까운 가학천 주변에서 현미 중 카드뮴 함량이 $1.0mg\;kg^{-1}$을 초과하는 지점이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4개 지점에서 $0.4mg\;kg^{-1}$을 초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