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윤성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8초

침윤성 유방암에 동반된 광범위한 관상피내암의 비전형적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An Unusual Presentation of Extensive Ductal Carcinoma in Situ Accompanying Invasive Ductal Carcinoma on MRI: A Case Report)

  • 김연정;정현경;김우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898-903
    • /
    • 2022
  • 선별 유방촬영술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관상피내암의 빈도는 증가해왔다. 뿐만 아니라, 이의 발견에 있어서는 자기공명영상이 유방촬영술보다 더 높은 민감도를 가진다. 이에 저자들은 침윤성 유방암에 동반된 광범위한 범위의 관상피내암의 비정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흑마늘 추출물이 인체위암세포의 tight junction 투과성 조절과 세포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Tight Junction Permeability and Cell Invasion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신동역;윤무경;최영환;권오천;김정인;최태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8-5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ABG)의 암세포 전이억제 효능을 검정하였다. AGS AGS 인체위암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TER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ABG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침윤성 억제는 TIMPs 발현 증가에 의한 MMPs의 발현 및 활성 저하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AGS 위암세포에서 과발현을 나타내는 TJ 단백질인 claudins의 발현 저하 등이 ABG의 항전이 효과에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이 단순한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통한 암예방 및 항암활성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전이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연관된 보다 구체적인 분자세포생물학적 접근 및 in vivo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후두각화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Hyperkeratosis of the Larynx)

  • 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은창;장미숙;정우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1
    • /
    • 1991
  • 1983년도부터 1990년까지 7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후두각화증으로 조직학적 확진을 거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환자수는 26명으로서 남녀비는 22:4로 남자에서 월등히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남자는 50대, 여자는 50대 및 60대에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침윤성 암 1례를 포함해서 이형성 후두각화증을 보인 예는 총 10례였는데 역시 남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조직학적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단순성 각화증이 16례(61.5%), 국소적 이형성이 있는 각화증이 7례(26.9%)이었고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은 2례, 침윤성 암(Carcinoma) 1례로 확인되었다. 4) 주 증상으로는 쉰 목소리를 전례에서 호소하였으며 증상이 나타나면서 내원하기까지의 지속시간이 24개월 이하가 19례(73.1%)로 조사되었다. 5) 흡연 경력은 17례(65.4%)이며 10-20년이 10례(38.8)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6) 재발은 모두 9례로서 1례가 침윤성 암으로 재발하였다.

  • PDF

중금속의 분리 및 검출을 위한 분석화학적 연구 (제 2 보) 킬레이트제-Amberlite XAD-7 침윤수지에 의한 Cu(II) 이온의 흡착 및 회수에 관한 연구 (New Analytical Methods for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Heavy Metals (II). A Study on the Adsorption and Recovery of Cu(Ⅱ) ion by Amberlite XAD-7 Resins Impregnated with Chelating Agents)

  • 이대운;음철헌;김태성;신두순;정구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8-314
    • /
    • 1987
  • 중금속 이온의 흡착, 분리 및 회수에 적합한 킬레이트제 침윤수지의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cupferron (CP), diphenylcarbazone (DPC), salicylaldoxime (SAO), thiosalicylic acid (TSA), 및 dimethylglyoxime (DMG)등의 킬레이트제를 선택하여 Amberite XAD-7 수지에 대한 흡착성을 조사하였다. 킬레이트제-XAD-7 침윤수지들을 만들고, 각 침윤수지들에 대한 Cu(Ⅱ) 이온의 흡착, 분리 및 회수능을 비교하였다. Cu(Ⅱ) 이온에 대해서 적절한 침윤수지로는 비교적 넓은 pH 영역에서 킬레이트제의 흡착이 안정하고 Cu(Ⅱ)와 넓은 pH 범위에서 정량적인 흡착을 보이는 SAO-XAD-7과 DMG-XAD-7 침윤수지임을 알았다. SAO-XAD-7 수지를 사용하여 Cu(Ⅱ) 이온을 공존하는 Ni(Ⅱ) 이온으로부터 분리하였다. Cu(Ⅱ)이온의 최적흡착량은 SAO-XAD-7 침윤수지의 경우는 수지 1g에 대해서 $7{\times}10^{-3}mmol$이며, DMG-XAD-7의 경우는 $2{\times}10^{-3}mmol$이다. 또한 흡착된 Cu(Ⅱ)이온. 1N HCl로 용출시켜 정량적으로 회수하였다. 한편 혼합 침윤수지에서의 Cu(Ⅱ)와 Ni(Ⅱ) 이온의 선택적 흡착성을 조사하였다.

  • PDF

방사선치료를 받은 근 침윤성 방광암의 예후 인자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in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Treated with Radiotherapy)

  • 정웅기;오봉렬;안성자;나병식;권동득;박광성;류수방;박양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30-138
    • /
    • 2002
  • 목적 : 근 침윤성 방광암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근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계획된 치료를 완료한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28명 중 남자가 21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환자의 연령은 49세에서 84세까지 분포하였고 중앙값은 72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으로 확진되었으며 grade 1은 1명, grade 2는 15명, grade 3는 9명, 불명인 경우가 3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6 MV 또는 10 MV X-ray를 이용하였으며 일회선량은 1.8 내지 2.0 Gy로 3문 내지 4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투여된 총방사선량은 59 내지 66.6 Gy였고 중앙값은 61.24 Gy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Cox 비례위험모델로 다변량 분석하였다. 결과 : 생존율은 1, 2, 3, 5년에 각각 76, 46, 33, $33\%$로 나타났다. 중앙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 있는 예후 인자로서 연령(70세 미만 대 이상), 성별, 당뇨병, 고혈압, 수신증 동반 여부, T-병기 (T3a 대 T3b 이상), TUR, 항암화학요법 여부, 방사선치료기간, 방사선량(60 Gy 미만 대 60 Gy 이상), 방사선치료반응정도를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이들 중 단변량분석에서 T-병기(p=0.078)와 방사선량(p=0.051)이 통계학적 의의에 접근하였으며 방사선치료반응 정도(p=0.011)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통계학적 의의를 가지는 인자가 없었다. 결론 : 근 침윤성 방광암에서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 인자로 방사선량, 방사선치료반응 정도가 단변량분석에서 의미있게 나타났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확인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더욱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전향적 무작위 임상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체 유방암세포에서 TPA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s 활성 및 침윤성 증대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 (Genistein Suppresses TP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s Activity and Cell Invasion in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s)

  • 최영현;김성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64-969
    • /
    • 2012
  • Genistein은 대두 및 그들의 부산물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isoflavone의 일종으로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F-7 및MDA-MB-231 유방암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활성 및 발현과 침윤성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genistein은 12-O-tetradecanoyl phorbol-13-acetate (TPA)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MMP-2 및 -9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차단하였으며, 이는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MMP-2 및 -9의 발현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matrigel invasion assay를 통하여 genistein은 두 유방암세포의 침윤성을 완벽하게 차단하였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genistein의 세포독성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in vivo 동물 실험을 통한 부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암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식이 소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돌 (Indol-3-Carbinol)이 인체대장암세포 HT-29 세포의 투과성 밀착결합조절과 세포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dol-3-Carbinol Regulated Tight Junction Permeability and Associated-Protein Level and Suppressed Cell Invas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 김성옥;최영현;최원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1호
    • /
    • pp.13-21
    • /
    • 2008
  • 본 실험은 인돌의 인체 대장암세포의 경과 및 전이억제와 TJ 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인돌은 십자화 야채류인 양배추, 컬리플라워, 브로클리 등에 존재하는 glucosinolate, glucobrassicin의 대사산물 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돌이 대장암 세포 HT-29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었다. 상처회복 실험을 통한 세포이동성과 세포 침윤성 실험결과 인돌이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성을 억제하였고 투과성상피세포의 전기적 저항성 측정치는 인돌 처리 세포에서 증가하였다. HT-29 세포에서 과발현을 나타내는 밀착결합 단백질인 claudin-1, claudin-5 발현은 인돌 처리로 유전자의 전사수준과 단백질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돌이 HT-29 세포의 밀착결합과 그 구성 단백질 중 claudin 발현 현상을 회복시키므로 암 경과와 전이 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연 항암화합물인 인돌은 대장암 세포 HT-29에서 밀착결합 단백질인 claudin-1, -5을 억제하여 밀착결합을 활성화하므로 암 진행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인돌에 의한 새로운 기전을 보고합니다.

젊은 여성의 경계성 엽상종양에서 생긴 침윤성 유관암: 증례 보고 (Invasive Ductal Carcinoma Originating from a Borderline Phyllodes Tumor in a Young Female: A Case Report)

  • 박혜미;임효순;기소연;이효재;이지신;박민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71-976
    • /
    • 2021
  • 유방 엽상종양은 전체 유방 종양의 1% 미만을 차지하는 드문 섬유상피종양이다. 엽상종양은 유관주위 버팀질 세포에서 기원하여 상피 성분과 버팀질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며, 조직학적으로 양성, 경계성, 악성으로 구분된다. 엽상종양의 상피 성분에서 암이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상의학적 소견은 명확히 정립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21세 젊은 여성에서 경계성 엽상종양 내에서 생긴 침윤성 유관암을 경험하였기에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영상의학적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흰쥐에서 고농도 산소 흡입에 의한 급성 폐손상 시 호중구성 산화성 스트레스의 역할 (Presumptive Role of Neutrophilic Oxidative Stress in Oxyge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문용석;김지혜;이영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464-470
    • /
    • 2008
  • 연구배경: 산소독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 대한 기전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에서 보이는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에 따른 조직의 손상이 산소독에 의한 손상에서도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Plastic cage 내의 기압을 1기압으로 고정하고 흰쥐에게 순수한 산소를 48시간 호흡시킨 후 호중구가 폐장 내로 침윤함으로써 나타나는 급성 폐손상을 생화학적인 지표 및 형태학적인 관찰 등을 통하여 검사하였다. 결 과: 흰쥐에게 순수한 산소를 48시간 호흡하게 한 경우 폐부종, 호중구의 침윤, 폐장 내 MDA 및 $cPLA_2$ 활동도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형태학적으로도 탐식구 특히 호중구의 침윤에 따른 폐장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결 론: 산소독에 의한 급성폐손상의 기전은 고농도의 산소에 의한 산소기 생성이 그 원인으로 생각 되지만 산소기의 작용기전은 부분적으로 $cPLA_2$활성도 증가에 의한 호중구의 조직 내 침윤에 따른 이차적 산소기 형성이 그 원인으로 생각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호중구에 폐장 내 침윤에 따른 손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