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엽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 Choi, Young-Eun;Oh, Jang-Geun;Kim, Chang-Hw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2
    • /
    • pp.289-300
    • /
    • 2013
  • Forest vegetation of Hyangjeokbong (1,614 m) in Deogyu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flatland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shrub forest, grassland forest, afforestation and etc., while riparian forest was found under the category of flatland forest vegetation. Including 122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2 communities of riparian forest, the total of 124 communities were researched; the distributed colonies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42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37 communities of valley forest, 8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6 communitie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3 communities of shrub forest, 1 communities of grassland forest, 21 afforestation and 4 other communities.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ccount for 47.02 percent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takes up 57.48 percent of mountain valley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holds 77.53 percent of mountain coniferous forest holds, and Taxus cuspidate-Abies koreana community takes up about 50 percent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Mountain shrub forest and mountain grassland forest vegetation are concentrated mainly on the top of Hyangjeokbong and the ridge connecting the top and Jungbong. Meanwhile, riparian forest vegetation comprises 0.024% of the whole vegetation area in a study area.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Fraxinu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Pinus densiflora,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in a forest vegetation region in Deogyu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because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and Fraxinus mandshurica which are climax species in the area. However, in respect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the distribution rat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seems to increase gradually due to global warming and artificial disturbance.

Study on Rainfall Interception Loss from Canopy in Forest(I) (삼림(森林)에서 임관(林冠)에 의한 강우차단(降雨遮斷) 손실(損失)에 관(關)한 연구(硏究)(I))

  • Kim, Kyong Ha;Woo, Bo M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7 no.3
    • /
    • pp.331-337
    • /
    • 198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stand and stony characteristics on interception loss from canopy trees, throughfall and stemflow under the canopy of a pine stand and a hardwood stand were measured during 4-month periods July to October, 1986 at the Kwanak Arboretum near Anyang,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methods. The ma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overall throughfall collected during measurement period were 593.5mm(76.7%) in the pine stand and 663.1mm(81.8%) in the hardwood stand oui of total percipitation of 773.8mm. Combined regression analysis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total precipitation(P) and throughfall(T) in the pine stand as T=-1.8675+0.8320 P. in the hardwood stand as T=-8179+0.8805P. 2. And the sum of stemflow from measurement of total precipitation in the pine stand and the hardwood stand were 37.4mm(4.8%) and 15.5mm(2%), respectively. In total precipitation less than 2.5mm, stemflow were not measured in both the pine stand and the hardwood stand.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pine stand and the hardwood stand are S=-0.6155+0.0698P, S=-0.0497+0.0183P. The mean slope and intercept of the individual regression of stemflow on rainfall for each fewest stand indicate the proportion of the rain diverted to the trunks and trunk water capacity, respectively. 3. Interception loss accounted for 142.9mm(18.5%) in the pine stand and 125.2mm(16.2%), in the hardwood stand. 4. By quadratic predictive model of relation between interception loss and total incident rainfall, the extent of variance in interception loss explained was about 72% and 61% in the pine stand and the hardwood stand respectively.

  • PDF

임업에도 대량복제 묘목생산시대 열다 - 침엽수종 품종화 및 산림자원화에 크게 기여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43
    • /
    • pp.46-48
    • /
    • 2000
  • 산림청 임업연구원(원장 노의래)은 최근 침엽수종인 소나무, 낙엽송 및 리기테다소나무 등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 묘목을 대량생산하는 생물공학적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지금까지 임업에서는 접목이나 꺾꽂이 등의 무성증식방법으로 특정형질을 가진 복제묘목을 생산하여 왔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유실수, 포플러 등에 오랫동안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이 주로 활엽수 등에서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은 내년부터 솔잎혹파리에 강한 내충성 소나무, 형질이 월등히 우수한 낙엽송 및 리기테다소나무의 대량생산에 적용하여 단기간내에 솔잎혹파리 내충성 소나무 복제묘목을 보급함으로써 솔잎혹파리 피해가 없는 우량소나무 조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및 뉴질랜드와 같은 임업 선진국가에서는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우수 품종을 산업적인 규모로 대량 생산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소나무와 같이 2엽송(二葉松)인 경우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 식물체를 생산한 것은 세계적으로 드문 일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전자조작 등의 첨단 생물공학 기법을 나무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前)단계로서 침엽수 육종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임업도 농작물과 같이 특수한 품종을 육성할 수 있는 길을 터놓아 산림자원화와 산주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ies on a Korean Unrecorded Pamphilid -sawfly (hymenoptera, Symphyta ) Feeding on Korean Pine(II) -The life history (잣나무를 식해하는 한국미기록종 넓적잎벌(막혈목, 광요아목) 에 관한 연구(II)-생활사)

  • 이덕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5 no.1
    • /
    • pp.21-29
    • /
    • 1962
  • 본논문은 경기도광릉시험장에서 잣나물을 식해하는 잣나무넓적잎벌의 생활사를 1958-1961년에 조사연구한 것을 보고하는 것이다. 본충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는 동양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다. 1) 광릉에서는 6월중순부터 7월 하순에 걸쳐서 성충이 출현한다. 생활기간은 성충이 5(웅)-6(자)일, 란이 약 6일, 유충이 약 23일, 전용이 약 10.5개월, 용이 약 8일이다. 2) 산란은 신생침엽의 내측에 행하고, 1자충의 산란수는 38립가량되고, 일란을 산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3분간이다. 3) 유충은 5령을 경과한다. 유충은 토사에 의하여 침엽을 얽어서 집을 만든다. 이 소내에 보통 1마리의 유충이 서식한다. 4) 유충의 식초는 한국에 있어서는 잣나무뿐이다.

  • PDF

An Observation on the Birds Utilizing Nest-Boxe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Relation of Birds to Forestry Practice- (인공소상이용조류에 관한 관찰-특히 산림실제와의 관련에 대하여)

  • 원병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4 no.1
    • /
    • pp.21-28
    • /
    • 1961
  • 1. 본 조사는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약 4년간 서울 청량리 임업시험장 시험림내 약 5 ha 범위에 가설한 10여개의 소상에 번식한 산림조류의 번식경과미치 이용성적을 관찰한 것이다. 2. 소상이용조류 5 종중 박새 Parus major 짐야잰사두냔,북방쇠찌르레기 Sturina sturnina sturnina, 흰눈섭 황금새가 우점종으로 이용율이 높았다. 3. 박새는 침엽수림내의 우점종으로 특히 타종의 이용권내외의 임상적환경, 소나무, 잣나무 침엽수림내의 소상에서의 이용율이 좋았다. 4. 북방쇠찌르레기는 침엽수보다는 촬엽수와의 혼육림, 특히 도시부근 평지의 소림을 호서식처러 하며 식재한 종자식물 Sambucus latipinna 딱총나무, 벗나무열매를 즐겨 채식하므로 전기 재식종자식물은 본종의 유지번식상 효과적이었다. 5. 흰눈섭황금새는 활엽수나 혼육림내의 우점종으로 소상의 규격 및 구경이 제일 작으므로서 타종의 침해를 받을 우려도 적을 뿐더러 앞으로 보다 높은 이용율을 예상할 수 있다. 6. 소상이용조류중 특히 우점종에 대한 번식경과를 관찰기록하였다. 7. 소상침해동물을 조사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