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식 지수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stimation of Erositivity Using an Impact Disdrometer in East of Alagoas (충격 입자 분포 탐지기를 이용한 침식도 추정)

  • Tenorio, R.S.;Kwon, Byung Hyuk;Moraes, M.C. da S.;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2
    • /
    • pp.371-378
    • /
    • 2020
  • Rainfall is one of the most active forces that cause soil erosion. The action of rain on the soil exerts an erosive power caused by the impact of the drops, which fall with variable speed and kinetic energy, depending directly on the diameter of the dro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lgorithms capable of estimating rainfall erosivity for the region of Maceió-AL. For this purpose, erosion rains were collected between 2003 and 2006 using a RD-69 disdrometer, which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measures rainfall distribution in a range of 1 min. The determination of algorithms in the form of power equation to estimate was adjusted with one and two independent variables (amount of rainfall, duration and maximum intensit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d plain stability evaluation Index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plain (홍수터에서의 홍수위험도 예측을 위한 홍수터 안정성 평가 지수 개발)

  • Ku, Young Hun;Song, Chang Geun;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9-69
    • /
    • 2016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다른 국가들과 다르게 대하천사업 이후 하천의 홍수터에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의 침식과 퇴적 등과 같은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Ku et al., 2013). 따라서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수치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2차원 수치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Sato et al., 1989). 또한 하천에서의 2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침식과 퇴적에 관한 친수시설 안정성 평가 지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정된 지수를 통해 홍수터에서의 홍수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국가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홍수터에 대한 활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홍수에 따른 홍수터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한국에서도 홍수터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Song et al.(2016)이 다른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제내지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 지수를 홍수터에 도입하여 실제 태풍에 의한 홍수위험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한 연구 정도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instein-Krone 공식(1962)을 이용하여 침식과 퇴적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Transient Erosion and Deposition Index(TEDI)와 Steady Erosion and Deposition Index(SEDI)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지수를 실제 자연하천에 적용하여 태풍 사상에서의 산정된 지수를 통해 홍수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two-dimensional model in river flood plain (2차원 모형 기반 하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연구)

  • Ku, Tae Geom;Song, Chang Geun;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2-112
    • /
    • 2017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대하천 및 중 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터는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되다가, 강우 사상이 종료된 이후에는 유사가 퇴적되어 복구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홍수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계산된 수리적 인자들을 이용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하천 홍수터 공간을 거의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사례는 드문 실정이며, 도시침수로 인한 제내지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내지 홍수위험도 지수를 국내 홍수터에 도입하여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에는 침식 및 퇴적을 올바르게 고려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홍수터 내에서 침식과 퇴적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터 수리적 안정성 지수를 산정하고 과거 연구된 실내 수리실험 자료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의 실제 태풍 사상에 의한 침식 및 퇴적의 상대적 공간분포를 산정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Sensitivity of Runoff and Soil Erosion in the Burnt Mountains (산불지역의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

  • Park, Sang-Deog;Shin, Seung-Sook;Lee, Kyu-S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
    • /
    • pp.59-71
    • /
    • 2005
  • Mountain watersheds are a lot of problems about soil erosion because of frequent wildfire occurrence. Runoff and soil erosion caused by the rain on a hillslope after wildfire are dependent on cover factor. And these has been a decrease by the cover factor recovery following time passage. The present paper defines the dynamic sensitivity of runoff and soil erosion that is the rate of runoff volume and soil erosion weight to rainfall energy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sensitivity for variation of cover factor, I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ther parameters and sensitivities, the sensitivity is the most dependent on the cover factor and the relation is exponential. The sensitivities after wildfire have suitable relation with treatment method for the mitigation of burnt forest and wildfire inten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tion of soil erosion sensitivities come upon the range of stability in 5 years after wildfire.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Using Observed Erosion Rate (침식률 측정자료를 이용한 2차원 퇴적물 수송모형의 개발)

  • Jeong, Tae-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6
    • /
    • pp.687-699
    • /
    • 2001
  • A 2-dimensional numerical sediment transport model has been developed by using erosion rates observed by SEDFLUME. The model un boundary-fitted coordinate can reduce inaccuracy of sediment model with accurate erosion data. Suspended transport and bed load transport are included in the model together. The model results gave good agreement with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1-d channel and was more accurate than that of HIDAS of 1-dimensional model. The model applied to an enlarging channel to check model performance in 2-dimensional domain. Bed coarsening reduced erosion and deposition.

  • PDF

A review on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using disdrometer: a case study of Sangju (광학우적계를 활용한 강우 운동에너지 산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 Yeon, Min Ho;Van, Linh Nguyen;Song, Min Geu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9-129
    • /
    • 2022
  •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은 주로 강우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농경지 유실, 탁수 발생, 하천 통수능 저하 등 여러 수문학적·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역 내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의 토양유실 및 유사의 발생량을 산정하는 것은 토양보전 대책 수립 시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침식-유사유출의 물리적 과정은 크게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raindrop)'와 '지표류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overlandflow)'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는 수침식(water erosion)의 첫 번째 과정 중 하나로 강우 시 낙하하는 강우 입자들이 갖는 운동에너지가 지표면을 타격할 때 토양체로부터 토양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토양분리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 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 KE)의 정확한 계산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후 및 지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강우 운동에너지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은 주로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I)와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식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인 상주지역에 광학우적계(disdrometer)를 설치하여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측된 37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KE-I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외 및 국내에서 제시된 선형(linear), 멱함수(power-law function),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 형태의 강우 운동에너지 공식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K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체적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Sanchez-Moreno et al. (2012)가 제안한 멱함수 형태의 공식이, 비시간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Kinnel (1981)이 제안한 지수함수 형태의 공식이 각각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astal Disaster Resilience Measurement Model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cusing on Coastal Erosion Cases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 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안침식 사례를 중심으로)

  • Seung Won Kang;Moon Suk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7
    • /
    • pp.713-723
    • /
    • 2023
  • Climate change is significantly affecting coastal areas, and its impacts are expected to intensify. Recent studi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risk assessment in coastal regions increasingly integrate the concepts of recover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model for coastal hazard recovery resilience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Before constructing the measurement model,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coastal hazard recovery resilience, establishing a conceptual framework that included operational definitions for vulnerability and recovery resilience, along with several feedback mechanisms. The measurement model for coastal hazard recovery resilience comprised four metrics (MRV, LRV, RTSPV, and ND) and a Coastal Resilience Index (CRI). The developed indices were applied to domestic coastal erosion cases, and reg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index grad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recovery resilience metrics provided insights into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coastal erosion recovery resilience at each location. Mapping the composite indices of coastal resilience indicated that the areas along the East Sea exhibited relatively lower coastal erosion recovery resilience than the West and South Sea regions. The developed recovery resilience measurement model can serve as a tool for discussions on post-adaptation strategies and is applicable for determining policy priorities among different vulnerable regional groups.

Analysis on Rainfall Seasonality using Precipitation Concentration Index (강수집중지수를 이용한 강수의 계절성 분석)

  • Lee, Joon-Ha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89-293
    • /
    • 2012
  • 강수량의 계절적 집중의 정도를 의미하는 계절성은 토양침식과 작물의 재배 및 성장, 댐 운영 등 수자원 관리를 위한 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호우사상이 대부분 4월부터 10월 동안에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도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수의 계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강수집중지수를 적용하였다. 강수집중지수는 1년 동안의 강수분포의 시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1980년에 제안되었으나, 국내에는 아직까지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6개 관측지점의 1957~2010년 기간 동안의 연단위 강수집중지수와 계절성 지수를 각각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강수의 계절성을 분석하는데, 강수집중지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Laboratory Study on Erosional Properties of Fine Cohesive Sediments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Hwang, Kyu-Nam;Kim, Hyun-Min;Ahn, Ik-J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5
    • /
    • pp.473-48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erosional properties for cohesive sediment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A series of eros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Chonbuk annular flume, which is the first one constructed in this country and verified with validities. Each erosion tests were conducted under a uniform bed condition but a different bed density respectively, and its critical shear stress for erosion(${\tau}_{ce}$) as well as the erosion rate coefficient (${\varepsilon}_M$) were determined quantitatively. Since the erosional properties of the cohesive sediments vary largely depending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properties of Saemankeum sediments were also estimated and their effects on the erosion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Saemankeum sediments, it can be seen that ${\tau}_{ce}$ increases from $0.26N/m^2$ to $0.52N/m^2$ and ${\varepsilon}_M$ decreases exponentially from $14.28mg/cm^2\;hr$ to $6.02mg/cm^2\;hr$, as the bed density varies from $1.17g/cm^3$ to $1.34g/cm^3$. The erosional parameters of Saemankeum sediments are found to be remarkably different in quantity as compared with those for cohesive sediments from other sites. Particularly, ${\tau}_{ce}$ for Saemankeum sediments is known to be larger than that of Kunsan sediments but similar with that of Shihwa sediments, while ${\varepsilon}_M$ for Saemankeum sediments is shown to be smaller than that for Kunsan sediments.

SEMMA Revision to Evaluate Soil Erosion on Mountainous Watershed of Large Scale (대규모 산지유역 토양침식 평가를 위한 SEMMA 개선)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Lee, Jong Seol;Lee, Kyu S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9
    • /
    • pp.885-896
    • /
    • 2013
  • SEMMA (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 should be revised to apply on mountain watershed of large scale. In this study, the basic structure of original SEMMA and methods to calculate main parameters are reviewed and the revised parameters are presented to expand a range of application. SEMMA-Ic is new model revised by a rate of vegetation cover which is substituted for index of vegetation structure to use specially NDVI for large scale a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Nash-Sutcliffe simulation efficiency for the revised model decreased rather than those of original model. However the evaluation of the revised model on watershed showed the approximate simulation with measured sediment yield and the underestimated simulation when sediment yield is large. The additional research for channel erosion is needed so that soil erosion model for hillslopes is used to estimate sediment yield from a water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