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사회적행동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초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척도개발 및 타당화 예비 연구 - 11,12세 아동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a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11 -to 12- year old Korean Children)

  • 정희원;김경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27
    • /
    • 2005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imensionality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 instrument for assessing prosocial behavior was developed with 8 variables(orientation for prosocial values, caring, comfort and social equality, helping, harmony among peers, cooperation, donation, sacrifice and concession) using a 5-point scale of 37 items. The reliability for the scale of 8 variables ranged from.75 to.86 by Cronbach's. Construct validity was indicated by self-report, peer rating, and teacher rating.

  • PDF

남·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회화 양육신념 (Fathers' and Mothers' Socialization Beliefs Regarding Prosocial Behaviors of Boys and Girls)

  • 김예빈;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45-16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ther's and father's socialization beliefs regarding prosocial behaviors of boys and girls. The subjects were mothers and fathers of 60 children in Seoul.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both mothers and fathers responded to the Social Skills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arents' socialization beliefs regard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e importance of prosocial behavior, reasons for the importance of prasocial behaviors, attribution, and socialization strategy. 2)There are a few sex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parents' socialization beliefs.

  • PDF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장영숙;강경석;김희정
    • 아동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3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examined by 3 factors : adaptation to school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bility to control emotions. Subjects were 195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ren's age but not gender.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others among the prosocial behavi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s autonomous parenting style. Unexpectedly,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id not vary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style.

  • PDF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양경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5-8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410 children aged 3-6 years, who completed scales of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a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ly,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Secondly, children's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affect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irectly. Thirdly, children's self-esteem have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etween Their Prosocial Behaviors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 노미나;권연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1-4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151 children(aged 5-6)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ordinate spheres of 'controlling' and 'playing' i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2)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rosocial behaviors. (3) When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controll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id not show an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children's self-regulat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prosocial behaviors.

멀티미디어 동화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media fairytale activities on infants' prosocial actions)

  • 김용숙;성영란;유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98-4510
    • /
    • 2015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멀티미디어 동화와 그림 동화 듣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교수-학습 과정에 효과적인 교수매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 D어린이집 만 5세 각 20명씩 총 40명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 멀티미디어 동화 듣기 활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대인관계형성 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질 높고 다양한 교육을 위해서는 기존의 평면적인 교수매체 보다는 멀티미디어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Involvement of Mother and Father)

  • 장영애;이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19-62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involvement on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149 mothers, 149 fa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Duncan's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chool children behaved prosocially more when their mothers or their fathers took warmth-acceptance of parenting behaviors. They showed lower prosocial behaviors when their fathers conducted more rejection-restriction or more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of parenting behaviors. Second, preschool children prosocially behaved more when their mothers and their fathers were more involved in parenting. Thir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prosocial behaviors was warmth-acceptance of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s.

미국 한인 이민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양육실제와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 (The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Social Emotional Outcomes of Korean Immigrant Mothers with Different Acculturation Strategies)

  • 신지연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9-195
    • /
    • 2010
  • 미국의 한국계 이민가정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부모의 문화적응과 자녀양육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국 동부지역의 88명의 한인 이민어머니와(M=35.9세 SD=3.77) 2-6세 유아를(M=4.29세 SD=1.06; 49.4% 여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1) 양육실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2) 유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3) 양육실제와 아동의 사회 정서적 행동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문화를 균형지게 통합한 어머니들이 미국문화에서 고립되거나, 두 문화에서 모두 소외된 어머니들보다 자녀에게 더욱 긍정적인(애정표현, 합리적 문제해결, 자율성 격려) 양육실제를 사용하였으며 자녀들 또한 정서적 문제행동은 적은 반면 친사회적 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Design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Based on Brain-Compatible Learning Principles)

  • 안경숙;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5-73
    • /
    • 2017
  • 본 연구는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집단 연구대상은 K광역시에 위치한 I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7명, 비교 집단의 연구대상은 S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8주 동안 16회에 걸쳐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연령별 만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미술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창의성의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점수가 높았다. 둘째,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도움주기, 의사소통 능력,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친사회성 정책홍보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ocial PR Appeals on Policy Acceptance: a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 안사이;김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05-717
    • /
    • 2016
  • 본 연구는 물부족이나 환경오염 방지와 같이 정책이 미치는 개인적인 혜택이 매우 추상적일 뿐 아니라 혜택의 수혜에 장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책PR 메시지가 개인에 대한 이익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사회를 위하는 친사회성을 강조해야 할 때,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즉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과정에서 정부 신뢰도, 관여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메시지 소구유형과 정부 신뢰도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정부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더 효과가 크고, 정부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성적 소구가 더 효과가 컸다. 관여도의 경우 정책수용효과에 미치는 주효과는 발견되었으나 메시지 유형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역시 소구유형과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별은 정책수용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연령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