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주세균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of Adults (성인의 타액 내 구강세균 검출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Hong, Mi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9
    • /
    • pp.5675-5682
    • /
    • 2014
  • As oral diseases are developed by mixed infections, not by any single element, an accurate analysis of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related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s required. In this study, saliva was collected from selected adults to determine if the bacteria that are well known as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ould be detected in their saliv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adults according to age, smoking, drinking and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s in the distribution of oral bacteria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oral bacteria. The study subjects were 120 adults ranging in age from 20 to 65 years. The experimen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5, to May 2014. The gDNA was collected from the saliva, and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for oral diseases was investigated by PC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 mutans was detected from 72 adults, and P. intermedia was detected from 88 adults. Both bacteria were detected from 54 adults, and no oral bacteria was detected in 14 adults. A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oral bacteria showed that smokers had a 2.8-fold higher risk of S. mutans than nonsmokers, and the former had a 3.5-fold higher risk of P. intermedia than the latter. Drinkers had a 3.3-fold higher risk of S. mutans than nondrinkers. Patients who suffered from systemic diseases had a 4.1-fold higher risk of P. intermedia than those with no diseases. Therefore, smoking, drinking and systemic diseases are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oral bacteria detection. More periodontal disease bacteria were detected from older adults, and more oral bacteria were found in adults who were in their 20s, as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ere more common in this age group. The adults in which oral bacteria were detected are more likely to have dental caries or periodontal diseases, and they should try to keep their mouth cavity clean and make regular visits to a dental clinic to prevent possible oral disease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etracycline-loaded Biodegradable Membranes in Experimental Periodontitis of Beagle Dogs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한 비글견에서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생분해성 차폐막의 항염효과)

  • Jun, Hyung-Sik;Seol, Yang-Jo;Park, Yoon-Jeong;Lee, Yong-Moo;Ku, Young;Rhyu, In-Cheul;Lee, Seung-Jin;Han, Soo-Boo;Choi, Sang-Mook;Kwon, Soo-Kyoung;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3
    • /
    • pp.583-599
    • /
    • 2000
  • 조직유도재생술 과정에 사용된 차폐막의 술 후 오염 혹은 시술부위의 감염으로 조직재생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테트라싸이클린은 넓은 범위의 치주 원인균에 효과적이고, 중성구 교원분해효소를 억제 함으로써 결합조직파괴를 억제하기 때문에 전신적 혹은 국소적으로 치주질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져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비글견에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시킨 후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을 이용하여 조직유도재생술을 하고서 테트라싸이클린의 유리반응을 관찰하는 것과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항염, 항균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2-3개월 전에 비글견의 구강에서 치조골 결손부를 형성하여 치주염을 유발시켰다. 결손부 형성 2-3개월 후 실험군으로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으로 조직유도재생술을 하였고, 대조군으로 테트라 싸이클린이 함유되지 않은 차폐막으로 조직유도재생술을 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치은판막술만을 하였다. 시술 전과 시술 후 1, 2, 4주 간격으로 치은지수, 치태지수, 치은열구액의 양 및 혐기성 세균과 호기성 세균의 군락수를 측정하였다. 술 후, 1, 3, 5, 7, 및 14일 간격으로 유리된 테트라싸이클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은 임상적 치은지수는 술 후 2, 4주째, 치태지수는 1, 2, 4주째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1주에서 혐기성 및 호기성 세균집락수는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을 사용한 군이 약물이 함유되지 않은 차폐막보다 유의성있게 적었다.(p<0.001)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은 처음 1일은 높은 농도로 유리되었고 그 후 1주일 동안 일정하게 MIC 이상으로 유리되었다. 하지만 14일째는 유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생분해성 차폐막은 1주이상 약제가 MIC 이상 유리되었고, 유리된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항염, 항균작용이 있어 치주조직 재생유도술시에 초기 치유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PDF

Effect of sonicates of Treponema denticola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에 의한 조골세포분화 억제효과)

  • Choi, Bong-Kyu;Kang, Jung-Hwa;Jin, Seung-Wook;Ohk, Seung-Ho;Lee, Syung-Il;Yoo, Yun-J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1
    • /
    • pp.79-89
    • /
    • 2003
  • 치주질환은 세균감염에 의해 치조골이 파괴되는 염증성질환으로서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이다. Treponema denticola는 성인성 치주염의 병소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으로서 부착능 및 단백분해효소생성능과 같은 독성 인자가 밝혀져 치주조직 파괴에 있어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골개조는 조골세포의 골형성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의 균형에 의하여 유지되며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파괴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기능의 불균형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골세포에 대한 영향으로서 T. denticola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 denticola가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의 두개골세포로부터 조골세포를 분리한 후 T. denticola분쇄액으로 처리하여 본 세균이 조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ALPase) 활성, 석회화결절 형성 및 Prostaglandin $E_2\;(PGE_2)$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ALPase활성은 p-nitrophenylphosphate분해능, 석회화결절형성은 Von Kossa 염색법, 그리고 PGE2의 농도는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T. denticola분쇄액 (2.5 ug/ml)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ALPase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석회화결절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동일한 농도의 균분쇄액은 마우스 두개골세포의 $PGE_2$ 생산을 증가시켰다. 균분쇄액과 prostaglandin의 합성억제제인 indomethacin으로 세포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 T .denticola분쇄액에 의한 $PGE_2$의 생산은 감소되었으나, ALPase의 활성억제에는 변화가 없었다. 균분쇄액을 열처리하여 마우스 두개골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ALPase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T. denticola의 구성성분 중 열에 안정한 물질이 prostaglandin과 무관한 경로를 통해 조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을 시사하며 이와 같은 T. denticola에 의한 골형성억제가 치주염시 야기되는 치조골 파괴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hiitake mushroom extract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opathogens and inflammatory condi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치주 질환관련 세균의 항균 및 세포 염증에 대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효과)

  • Jeon, Yeol-Mae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8 no.2
    • /
    • pp.90-9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hiitake mushroom against periodontopathogens and its cytotoxicity for human gingival fibroblast. Materials and Methods: Shiitake mushroom was soaked in water and acetone, and the supernatant was dried to collect its extract. The susceptibility of periodontopathogens for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 was treated with the extracts, and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CCK-8 solution. Results: The water extract from shiitake mushroom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of periodontopathogens at 2.5 mg/ml (P < 0.05). The acetone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annerella forsythia at 0.32 mg/ml and Treponema denticola growth at 0.64 mg/ml (P < 0.05).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 was shown at a concentration of 2.5 mg/ml. The extracts with a concentration of 1.25 mg/ml appeared to be reduce cell viability after 4 h. Conclusion: The extracts of shiitake mushroom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itis-causing bacteria and relieving inflammation. Therefore, the extracts may be a candidat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Early Healing Stage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조직유도재생술의 초기치유에 있어서 클로르헥시딘의 영향)

  • Lee, Jung-Yeon;Han, Soo-Boo;Um, Heung-Si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7 no.4
    • /
    • pp.723-737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유도재생술의 초기치유시에 구강양치액으로 사용되어지는 0.1% 클로르헥시딘과 0.2%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했을 경우, 양치액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세균감염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30명의 성인형 치주염에 이환되어진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기치료(Scaling/Root planing/Oral hygiene instruction)를 시행한 후에 한 사람에 한 군데씩 선정하여 2급이나 3급의 치근이개부를 가지고 임상적으로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치간골내낭을 보이지 않는 치아에 통법에 따라 Gore-TexTM를 위치시켰다. 술후 5일간 항생제 (UnasynTM 375mg tablet p.o.tid)를 투여하고 차폐막을 제거할 때까지(4주 혹은 6주) 10명의 환자에게는 0.1% 클로르헥시딘을, 다른 10명의 환자에게는 0.2% 클로르헥시딘으로 구강양치를 하게 하고, 또 다른 10명의 환자에게는 구강양치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 1주일에 한번씩 전문가구강위생술식을 실시하였다. 4주나 6주 후에 차폐막을 제거하고 주사전자현미경, 혐기성 세균배양을 이용하여 세균감염정도를 비교하였다. 1.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시에 0.1%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했을 경우와 0.2%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했을 경우,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혐기성 세균배양시에 0.2%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했을 경우, 0.1%클로르헥시딘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적은 수의 세균 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클로르헥시딘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두 경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를 인지한 경우에는 세 경우 모두 비슷한 비율로 발견되었다.

  • PDF

Longitudinal Study of the Subgingival Microbial Change after Tetracycline Topical Application (Tetracycline 국소도포가 치은연하 세균분포에 미치는 영향)

  • Choi, Kwang-Choon;Lee, Young-Hee;Lee, Jin-Yong;Chung, Chong-Pyoung;Son, Seong-Heu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 /
    • v.21 no.4
    • /
    • pp.503-513
    • /
    • 1986
  • Previous studies have developed the technique of topical application of tetracycline(TC) into the periodontal pockets and examined the change of clinical parameters and subgingival microbial morpho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effects of topically applied TC in a double-blind and split-mouth design. Thirteen patients with moderate periodontitis, who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TC application and scaling treatment, were examined. TC gel(3%) was used to apply into the selected periodontal pockets twice a week for 2 weeks. During the experiment, clinical parameters and subgingival microbial morphotypes were examined, and for isolation of black-pigmented Bacteroides(BPB) and streptococci, an anaerobic sample culturing was done at week 0, 2, and 7. In clinical observation the TC-scaled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of Gingival Inflammatory Index, Plaque Index, Sulcus Bleeding Index, pocket depth,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when compared to the TC-unsealed, placebo-scaled, and placebo-unsealed groups. The result of microbial morphotype observat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coccal form and a decrease of spirochetes in the TC-scaled, TC-unscaled, and placebo-scaled groups. The culture study of streptococci revealed that TC with scaling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S. sanguis I at week 2, but its proportion had returned to the base line level. The anaerobic culture study showed that BPB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C-scaled and TC-unsealed groups at week 7. Among BPB species, B. intermedius declined significantly with time treatment(week 2 and 7) in the TC-scaled and TC-unseal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ttled pathogenic microflora can be succeeded by nonpathogenic microflora in periodontal pockets after TC treatment.

  • PDF

Complete genome sequence of Fusobacterium nucleatum KCOM 1323 isolated from a human subgingival plaque of periodontitis lesion (사람 치주질환병소의 치은연하지면세균막에서 분리된 Fusobacterium nucleatum KCOM 1323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 Park, Soon-Nang;Lim, Yun Kyong;Shin, Ja Young;Roh, Hanseong;Kook, Joong-Ki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3 no.3
    • /
    • pp.219-221
    • /
    • 2017
  • Fusobacterium nucleatum is a Gram-negative, obligately anaerobic and rod- or filament-shaped bacterium. F. nucleatum is part of oral microflora and is a causative agent of periodontitis as well as is associated with a wide spectrum of systemic diseases of human. F. nucleatum KCOM 1323 (= ChDC F317) was isolated from a human subgingival plaque of periodontitis lesion. Here, we present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F. nucleatum KCOM 1323.

T lymphocyte response to periodontal complex bacterial biofilm (치주복합세균성 바이오필름에 대한 T 임파구 반응)

  • Choi, Jeom-IL;Kim, Sung-Jo;Kim, Su-Ji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1
    • /
    • pp.33-39
    • /
    • 2002
  • 본 연구는 P. gingivalis biofilm을 쥐에 면역했을 경우 숙주의 면역체계중에서 T 임파구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비교연구한 것으로 P. gingivalis biofilm은 단일 세균으로 구성된 것과, F. nucleatum과 복합된 것 공히 T 임파구가 유리하는 cytokine 중에서 IFN-gamma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명되어, 향후 숙주 면역방어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중요한 지침자료를 제공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