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낭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성인형 치주염 환자의 치주낭 내 세균분포에 관한 암시야현미경적 연구 (Darkfield microscopic study of the bacterial morphotypes in the periodontal pockets of Korean adult periodontitis patients)

  • 박정민;남기윤;이인경;엄흥식;장범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247-25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ubgingival bacterial compositions between periodontally healthy and diseased sites. Subgingival plaque samples were obtained from 100 sites in 20 untreated adult periodontitis patients(experimental group), and 100 sites in healthy individuals(contro1 group). Before sampling, probing pocket depth(PPD) and clinical level of attachment(CAL), Plaque Index(PI), and Sulcus Bleeding Index(SBI) were recorded for each sampled sites. Microbi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bases of gingival sulci or periodontal pockets with sterile curettes. The samples were examined under darkfield microscope(${\times}$400). At least 150 bacteria were evaluated and categorized on the basis of bacterial morphology and motility, i.e. cocci, non-motile rods, motile rods, and spirochetes. In control group, subgingival microbial flora consisted of 73.7% of cocci, 20.0% of non-motile rods, 4.3% of motile rods, and 2.0% of spirochetes. The microbial samples from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51.5% of cocci, 19.4% of non-motile rods, 17.6% of motile rods, and 11.6% of spirochetes. The proportion of cocci was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in experimental group. Proportions of motile rods and spirochetes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The proportion of nonmotile rod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ulcus Bleeding Index and Plaque Index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bacterial compositio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examination of subgingival bacterial proportion may serve as more sensitive mirror of the local periodontal status than clinical parameters.

치주낭내 치아표면에 부착된 치은상피세포의 주사전자 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JUNCTIONAL EPITHELIUM ON THE TOOTH SURFACES IN PERIODONTAL POCKETS)

  • 정상덕;김종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11호통권186호
    • /
    • pp.961-971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xistence of the junctional epithelia on the tooth surface in periodontal pocket, and what wer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he junctional epithelia on the healthy and advanced periodontitis tooth. Fifteen premolar teeth from patients of Yon Sei University, Dental Infirmar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extration, the teeth were prepared and examined in Scanning electro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junctional epithelia from healthy tooth surface were irreguraly round, oval, polygonal and slightly elongated while those from periodontal pocket were so elongated that difficult to distinguished the individual cell boundary. 2. There were a lot of round space so called 'HOLE or WHORL' which seemed tunnel in periodontal pocket with advanced periodontitis. 3. Microvilli were going to destructed and disappeared on surfaces of junctional epithelia in periodontal pocket with advanced periodontitis. 4. There were a lot of Filopodia on Junctional epithelia from healthy surfaces. %. Junctional epithelia from periodontal pocket with advanced periodontitis contained more inflammatory cells than healthy junctional epithelia did.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에서의 치주낭 측정 평가 필요성에 관한 연구 (Necessity of measuring the periodontal pocket depth accord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in the mock national board examination)

  • 최용금;김은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24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requirement of measuring the periodontal pocket depth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mock national board examination. Methods: SPSS 25.0 (IBM SPSS Statistics) was used to perform the independent t-test for the recognition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interdisciplinary practical national board examination. A p-value < 0.05 was set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Participants showed a high recognition level for the requirement of measuring the periodontal pocket depth without any difference among disciplines. When periodontal pocket depth measurement was included in the national board examination, the educational and clinical work of dental hygienists was expected to be unified, and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was expected to be strengthen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periodontal pocket depth measurement in the practical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dental hygienists should be reviewed by a group of experts.

수종의 골이식재를 이용한 성견의 임플란트 주위 3면 골내낭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 findings of three-wall intrabony defect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in beagle dogs)

  • 문희일;문상권;김창성;;이용근;조규성;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39-455
    • /
    • 2003
  • 연구목적 : SLA surface dental implant 주위의 3면 골내낭에서 xenogeneic demineralized bone matric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새로이 개발된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사용한 치료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로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12kg에서 15kg 정도되는 성견을 사용하였다. 20개의 SLA surface implant가 사용되었으며, 성견 하악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전에, 각각의 임플란트 근심면에 straight fissure bur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3면 골내앙(근원심 5mm ${\times}$협설 3mm ${\times}$깊이 3mm)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 결손부에는 demineralized bone matrix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넣은 것을 각각 실험군으로, 이식재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주 후에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조직학적 소견상 임플란트 주위에 급성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은 매우 적은량의 신생골을, ${\beta}$-TCP을 이용한 골내낭에서는 약간의 기저부에서 유래된 신생골이 관찰된다. ${\beta}$-TCP granules 가운데로 상당량의 측면의 골에서 유래된 신생골 형성이 보인다. xenogeneic DBM putty에서는 많은 량의 신생골이 기저부에 형성된 것을 볼수 있으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식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흡수되지 않은 이식재를 임플란트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골내낭 안의 이식재들은 모두 connective tissue로 둘러 싸여 있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이식재에서 기인한 신생골 형성과 임플란트 표면에 신생 골유착의 조직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체스형의 칫솔모 형태가 치태 및 치은염, 치주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wly designed toothbrush on plaque control, treatment of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 채중규;신철우;서종진;최성호;조규성;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131-139
    • /
    • 1999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 the effect of newly designed toothbrush(Chess tip : experimental group), conventional toothbrush(control group) on plaque control,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The results of 4weeks post-research by clinical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are as follows. 1. In analysis of plaque index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2,4 week. 2. In analysis of gingival index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1,2,4 week. 3.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decrease in periodontal pocket depth after 4week,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4 week. 4.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decrease in bleeding on probing after 4week,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4 wee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ewly designed toothbrush has beneficial effects as additional aid of mechanical treatment at the point of periodontal pocket, plaque control, and bleeding on probing.

  • PDF

치주낭 측정시 probe 굵기에 따른 환자의 통증과 측정값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pain experienced by patients during periodontal examination using thinner versus thicker probes)

  • 김수한;홍기석;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93-200
    • /
    • 2007
  • During periodontal examination and periodontal recall visit, patients might feel pain. Probing with 0.45mm diameter probe, "overprobing" into connective tissue underlying periodontal pocket could be the primary aspect of pai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performed during recall visit, was to compare the levels of pain experienced by patients during periodontal probing using probes with the tip diameter of either 0.45mm or 0.63mm. Twenty patients were enrolled: 3 periodontists each exammined 20 patients at the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each patient at six sites per tooth, diagonal maxillary/mandibular quad-rants were probed with 0.45mm diameter and 0.63mm diameter probe. Lower pain responses following probing with the 0.63mm diameter probe as compared to the 0.45mm probe were observed for patients of therapist 2 and the upper VAS quartile Groups(P<0.05). For therapist 1 and 3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Patient worry about the pain while dental treatment procedures. If therapist use 0.63mm diameter probe while periodontal examination and recall visit, the patient's pain and discomfort could be reduced. Therefore, patient will cooperate more during the treatment, which leads to a better result. Dental therapists should make an effort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comfort during treatment. Dental therapist periodically should evaluate this part of their skill by asking patients and promote this skill.

치주질환자에서 근관치료의 유무에 따른 수직 치근 파절의 실태분석 (Analysis of vertical root fracture in endodontically versus nonendodontically treated teeth o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 김명준;장현선;김동기;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413-426
    • /
    • 2005
  • 수직 치근파절은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치과의사가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직 치근파절의 임상적 특징, 진단적 증상을 파악하여 향후 근관치료된 치아나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서 수직 치근파절의 유발인자와의 관련성 및 고찰을 통해 수직 치근파절의 예방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대상은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최근 2년간 144명의 환자에서 근관치료를 받았거나 받지 않았던 치아 중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수직 치근파절로 진단된 156개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불확실한 증례에서 수직 지근파절의 최종 진단은 외과적 탐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금이 간 치아와 관련될 수 있는 치근파절의 증례의 경우는 제외되었다. 근관치료된 치아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 환자의 나이와 성별, 치아종류 및 파절된 치근부위, 자각증상의 유무를 기준으로 각각의 수치와 백분율로 분류하였다. 수직 치근파절의 증상과 증후별로 분류하였으며, 진단방법에 의한 분류, 치료방법에 따른 분류,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에 따른 분류를 시행하고 통계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관치료를 받지 않았던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의 발생율은 58%였다. 2. 성별에 따른 발생률에 있어서 남성의 호발양상을 나타내었다. 3. 근관치료된 치아에 있어서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 비해 호발연령이 낮았다. 4. 전치부의 수직 치근파절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강한 교합력을 필요로 히는 구치부에서의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5. 수직 치근파절의 가장 주된 증상 및 증후는 깊은 치주낭 깊이였다. 6.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은 평균 5.7년이었다. 7. 다수 증례에 있어서 3개 이하의 결손치를 가졌고, 자각증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괴에서 한국인에 있어서 근관치료를 받지 않은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은 드문 현상이 아님을 알 수 있었고 남성과 구치부에 있어서의 높은 발생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강한 교합력, 딱딱한 음식의 저작습관, 치조골 흡수에 따른 낮은 저항성, 골 유연성의 저하 등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수직 치근파절은 아직까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여전히 어려운 상태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진단방법 및 더 나은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리고, 향후 보다 많은 증례에 대한 분석, 치주질환에 이환되지 않은 경우의 분석, 치료 후 생존 기간에 대한 고찰 등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소년원학교 학생의 구강건강 실태와 구강건강 인식도 (ORAL HEALTH STATUS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F STUDENTS IN JUVENILE PROTECTION EDUCATION INSTITUTIONS)

  • 정영정;정서영;강병진;백광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9-549
    • /
    • 2009
  •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학생의 치아우식증, 치주조직 상태와 구강건강에 대한 실태 및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소년원학교에 수용되어 있는 13~20세 남녀 청소년 342명의 우식, 상실, 충전 치아 수와, 상하악 좌우 제1대구치와 상악 우측 중절치, 하악 좌측 중절치의 출혈/치석/치주낭 존재 유무를 검사하였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 조사와 비교할 때, 일반청소년에 비해 소년원학교 학생의 우식 치아, 우식경험 영구치, 출혈, 치석, 천치주낭을 보이는 치아 수가 많았다. 2. 여자가 남자보다 우식경험 영구치 수가 많았으나(p<0.05),건전 치주조직을 보이는 치아 수는 많고, 천치주낭을 보이는 치아 수는 더 적었다(p<0.05). 3. 여자가 남자보다 자신의 구강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p<0.05), 대다수(79.2%) 청소년이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4. 소년원학교 학생의 71.5%가 치과치료에 대한 불안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그 비율이 높았다(p<0.05).

  • PDF

일부 보건소 모자보건실 연계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Case study on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with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 손정희;김상희;배수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69-276
    • /
    • 2019
  • 본 연구는 제천시보건소 모자보건실을 이용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시범운영의 구조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를 통하여 보건소에서 치과위생사가 지역사회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회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9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결과 4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40.4%에서 14.0%로(p<0.05),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은 4.6%에서 2.7%로(p=0.180), 치석형성 치아 보유율은 23.7%에서 0%로(p<0.05) 감소하였다. PHP Index(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는 2기 임산부의 경우 1차 1.7점에서 3차 1.4점으로 개선되었고, 3기 임산부의 경우 1차 2.4점에서 1.3점으로 개선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적용 및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성견의 2급 치근 분지부 결손에서 자가골막 이식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 (The Use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for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the Dog)

  • 남승지;정현주;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1-257
    • /
    • 2000
  • 자가골막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유도재생술의 이상적인 차폐막이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들을 만족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재생 술식에 적용시 임상적으로 다른 차폐막을 사용한 정도의 치주낭 감소와 임상적인 부착증진을 얻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적인 긍정적인 결과가 치주조직의 재생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험은 성견의 하악 소구치에 2급 분지부 골결손을 형성하고 상악 견치의 협측 변연치은 정상 3 mm 하방에서 채취한 자가골막을 이식한 경우와 자가골막에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잡종 성 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모두 3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골결손부의 외과적 처치 후 치주판막으로 봉합한 군, 실험 I군은 골결손부에 외과적 처치 후 자가골막만 이식한 군, 실험 II군은 골결손부에 자가골막과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한 군으로 하였다. 희생은 각각 술후 2, 4, 12주에 시행하였고 광학 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적으로 잘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시 2주째에 대조군은 상피의 근단이동이 심하였고 홈하방 부위에서만 골조직의 개조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자가골막을 이식한 실험 I, II군에서는 상피의 하방이동은 미약하였고 홈상방으로 많은 골양조직이 관찰되었다. 조직계측학적으로 상피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와 1 2주째에 큰 변화가 없었다. 치주조직의 신부착 양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1 2주에 4주보다 더 증가하였으며 실험 I, II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 I, II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식된 자가골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막이 주위조직과 생착되어 4주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식된 자가골막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차폐막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