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조 파열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ASES REPORT OF CLEFT ALVEOLUS REPAIR WITH PMCB GRAFT (치조골 파열환자의 자가망상골 이식을 이용한 치험례)

  • Lee, Dong-Keun;Choi, Seong-Hoon;Chung, Hyung-Bai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9-15
    • /
    • 1991
  • The cleft alveolus occurs about 75%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purpose of bone grafting is improve the maxillary growth, rehabilitation of continuty of maxillary arch and providing bone for periodontal support for unerupted teeth. The bone grafting for alveolar cleft defect repair are classsified; primary bone grafting, early secondary bone grafting secondary bone grafting and late secondary bone grafting. In this article, we reported the cases of PMCB grafts for repair of the alveolar clefts showed potential benifit to the patient to induce a normal maxillary growth and providing bone foor periodontal support of unerupted teeth.

  • PDF

A clinical study on the alveolar crest height after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 in the cleft alveolus patients : Preliminary Study (치조 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성 골이식술 후의 치조정 높이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예비적 연구)

  • Choi, Jin-Young;Kim, Myung-Jin;Kim, Su-Gon;Eune, Jung-Ju;Choung, Pil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3 no.1
    • /
    • pp.1-9
    • /
    • 2000
  • 목적 : 치조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와 수술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를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각각 측정함으로써 치조정의 높이가 과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지와 치조골 이식술의 성공률이 치조열의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환자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자가장골 채취 후 분쇄피질망사골 형태 또는 block 피질망상골 형태로 이식한 편측성 치조열을 가진 환자 중 최소한 6개월이 경과한 환자 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두 술자에 의해 시술되었다.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의 높이와 치조열의 너비 및 수술후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은 치과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치조열의 너비는 모델이나 환자의 골결손부 근심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리고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을 1995년 Long이 제시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술전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치조열의 너비는 평균 6.9mm(1.9mm-12.1mm) 였다. 근심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중절치가 52개(92.9%), 측절치가 4개(7.1%)였고, 49명의 환자에서 완전맹출을, 6명의 환자에서 부분맹출(측절치 2개, 중절치 4개)을 보였다. 원심측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측절치가 25개(44.6%), 견치가 29개(51.8%), 소구치가 2개(3.6%)였고, 완전 맹출이 32.1%, 부분 맹출이 57.2%, 미맹출이 10.7%로서 완전히 맹출하기 전에 골이식한 경우가 67.9%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bony bridge가 나타났고, 절흔이 인접치 아래로 연장되지 않았으며, 치조골 이식술 후 oronasal fistula를 보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으므로 성공률은 100%였다. 술후 근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근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79%(평균), 원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원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87%(평균)로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치조정의 높이는 골결손부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근심측에서보다 원심측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치조열의 너비와 절흔의 양, 치조정의 높이 및 치조골이식 성공률과는 유의성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 PDF

Assessment of the permanent canine bone support after secondary bone graft In UCLP patients (편측성 순구개열 환자에서 이차 골이식후 맹출된 영구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에 관한 연구)

  • Park, Ki-Tae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6 s.89
    • /
    • pp.601-61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i alveolar bone support of the erupted Permanent canine through the reconstructed cleft region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canine on the non-cleft side. This study was limited to children with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ho underwent secondary alveolar iliac bone gvaft and the apices of the erupted canine roots were closed at the time of evaluation. With these criteria the study included 21 children whose average age at the time of bone graft reconstruction was 9.8 years, with a minimum of 12.4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evaluation.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use of iliac cancellous bone as the autograft material for reconstruction of the alveolar cleft. Cranial bone graft and other autogenous bone sources were excluded. Th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alveolar bone level of each canine. The percentages of root supported by the bone we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amount of root covered with the bone by the anatomic root length. The canine oi the non-cleft side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nd the canine on the cleft side was used as an experimenta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veolar bone support ratio between the control ($92.9\%$) and experimental canines ($8.7\%$). An average of $95\%$ level of alveolar bone support was achieved for the experimental canin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canine. Neither the presence of lateral incisor, nor the stage of root development of the canine at the time of the bone graft appeared to have affected the alveolar bone support ratio of the canine after the secondary bone graft.

  • PDF

3-Dimensional Analysis of Alveolar Molding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and Lip Pressure After Cheiloplasty in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편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의 3차원 분석)

  • Kim Na-Young;Kwon Sun-Man;Baek Seung-Hak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7 no.2
    • /
    • pp.93-10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구순구개열 (UCLP) 환자에서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PNAM) 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를 3차원 (3-D)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6명의 UCLP 환자 (평균 파열부거리: 10.46mm) 이며 PNAM 장치에 의한 치료와 rotation-advancement법에 의한 구순 봉합수술을 받았다 처음 내원시 (평균연령: $37.0{\pm}27.89$ 일), PNAM 치료를 받고 난 후이며 구순봉합수술 1달 전 (평균연령: $119.25{\pm}40.18$ 일), 구순봉합수술 2달 후 (평균연령: $190.81{\pm}42.78$ 일)에 상악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그 후 laser scanning machine (Orapix, Dimennex, Seoul, Korea) 과 3-D view software (3Dxer, Dimennex) 를 사용하여 3-D모형을 제작하였다. 선, 각도, 정중선변이, 거리, 면적 항목을 3-D 모형상에서 계측하고, 각 시기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도 치조골 후방부는 안정된 구조물이었다. PNAM치료에 의한 파열부 거리의 감소는 대분절 (greater segment) 의 내측 굴곡 (bending) 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대분절 (greater segment)의 전방 성장은 PNAM치료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구순 봉합수술 후에 회복되었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대분절과 소분절 사이의 전방부 각도의 증가는 구순 반흔 (lip scar) 의 압력에 의한 치조골 정형 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중선변이는 PNAM치료에 의하여 개선되었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Abnomalities of Number and Morphology in Cleft Alveolus Patients (치조열 환자에서 치아의 선천결손과 형태이상에 관한 연구)

  • Seo, Min-Gyo;Leem, Dae-Ho;Ko, Seung-O;Shin, Hyo-Keu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3 no.1
    • /
    • pp.1-10
    • /
    • 2010
  • 구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 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선천성 치아 발육 이상이 구순열 또는 구개열 가진 환자에게서 종종 보고되고 있다. 이런 치아 이상은 과잉치, 결손치, 크기, 형태, 맹출시기, 법랑질 광화 등의 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구순열 또는 구개열을 가진 환자의 선천성 치아 결손 발병률을 결정하여 정상인과 비교하는 것이다. 2. 상하악에서 파열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의 제2소구치 결손가능성을 비교 하는 것이다.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구순구개열로 진단한 환자 중 2005년 1월~2009년 8월까지 전북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치조열부위 자가골이식수술을 받은 32명의 환자로 초진시의 교정 chart, 구강악안면외과 chart, x-ray(파노라마, 치근단사진, 교합사진(상악), 석고 모델, 구강내 외 임상사진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53.1%)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 하악 제2소구치 순이었다. 구순구개열군이 구순치조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구개열군 내에서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2. 왜소치는 71.6%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측절치에서 가장 많았다. 구순치조열군이 구순구개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3. 치조열을 가진 환자에 있어 상/하악간 제2소구치의 선천적 결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구순구개열이 인접한 상악측절치의 발생중인 미성숙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파열부위와 좀 더 떨어져 있는 상악 제2소구치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침을 이번 연구를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for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편측성 순구개열 신생아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 Baek, Seung-Hak;Yang, Won-Sik;Kim, Sukwha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6 s.71
    • /
    • pp.905-914
    • /
    • 1998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PNAM) appliance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reat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NAM appliance on alveolar molding. Samples were consisted of 4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3 males and 1 female, mean age=23.2 days after birth) who were treated with PNAM appliances i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verage alveolar cleft gap between the greater and lesser segment was 8.27mm and average duration of alveolar molding treatment was 9.7 weeks. These patients' models were obtained at initial visit (T1) and alter successful alveolar molding (T2). Seven linear and five angular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ing photometry and digital caliper.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SPSS win ver. 7.5 program.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values. 1. The posterior part of alveolar segments are the stable structures during alveolar molding treatment period in infants. 2. Forward growth of the greater segment may be hindered by the action of alveolar molding. 3. The closure of cleft gap during alveolar molding were usually due to inward and backward bending of the anterior part of the greater segment and outward bending of the whole lesser segment.

  • PDF

Analysis of alveolar molding effects in infants with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hen treated with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양측성 순구개열 신생아 환자의 수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치료에 의한 치조골 조형(molding) 효과의 분석)

  • Nahm, Dong-Seok;Yang, Won-Sik;Baek, Seung-Hak;Kim, Sukwha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9 no.6 s.77
    • /
    • pp.649-661
    • /
    • 1999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present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PNAM) appliance for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reatment and 2)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NAM appliance on the alveolar molding of the premaxilla and the lateral segments. Subjects consisted of 8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7 males and 1 female, mean age at first visit = 61.6 days after birth) who were treated with PNAM appliances i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verage alveolar cleft gap between the premaxilla and the lateral segment was $8.09{\pm}5.03mm$ and average duration of alveolar molding treatment was $8.8{\pm}3.1$ weeks. These patients' models were obtained at initial visit (T0) and after alveolar molding (T1). 20 linear and 14 angular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ing photometry and digital caliper,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Microsoft Excel 97 program. Paired t-test was used to discriminate the effect of alveolar molding by PNAM appliance. 1. Closure of the alveolar cleft gap in bilateral cleft cases by molding therapy was completed successfully, 2. Alveolar molding inhibited outward growth of lateral segments and produced inward bending of lateral segments. 3. By bending the anterior part of the vomer, the premaxilla could be rotated and moved. posteriorly via alveolar molding. Conclusion This appliance can be applied to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with satisfactory results before cheiloplasty.

  • PDF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PNAM) appliance and cheiloplasty on alveolar molding of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완전 편측성 순구개열 신생아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와 구순열 수술이 치조골 정형에 미치는 효과)

  • Kim, Na-Young;Lee, Shin-Jae;Baek, Seung-Ha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3 no.4 s.99
    • /
    • pp.235-245
    • /
    • 2003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NAM appliance and cheiloplasty on alveolar molding. Samples consisted of 16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10 males and 6 female, mean age=37.0 days after birth, average alveolar cleft gap=10.46m), who were treated with PNAM appliances by one orthodontist and rotation- advancement cheiloplasty by one surge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verage duration of alveolar molding treatment was 13.10 weeks and these patients were recalled at average 8.31 weeks after cheiloplasty. These patients' models were obtained at initial visit (T0, mean age : $37.0\pm27.89$ days after birth), after successful alveolar molding (T1, mean age : $119.25\pm40.18$ days after birth), and after cheilopasty (T2, mean age : $190.81\pm42.78$ days after birth). Seven linear and five angular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1 : 1 photometry and soft ware program(V-ceph. Cybermed. Seoul, Kore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05 level. 1 The posterior parts of alveolar segments were the stable structures during alveolar molding treatment period and after cheiloplasty in infants. 2. The closure of cleft gap during alveolar molding was usually due to backward bending of the whole part of the greater segment. 3. Although forward growth of the greater segment was hindered by alveolar molding, it resumed after cheiloplasty. 4. Increase of anterior inter-segment angle after cheiloplasty was due to the molding effect of the lip scar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