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조골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ssessment of the permanent canine bone support after secondary bone graft In UCLP patients (편측성 순구개열 환자에서 이차 골이식후 맹출된 영구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에 관한 연구)

  • Park, Ki-Tae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6 s.89
    • /
    • pp.601-61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i alveolar bone support of the erupted Permanent canine through the reconstructed cleft region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canine on the non-cleft side. This study was limited to children with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ho underwent secondary alveolar iliac bone gvaft and the apices of the erupted canine roots were closed at the time of evaluation. With these criteria the study included 21 children whose average age at the time of bone graft reconstruction was 9.8 years, with a minimum of 12.4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evaluation.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use of iliac cancellous bone as the autograft material for reconstruction of the alveolar cleft. Cranial bone graft and other autogenous bone sources were excluded. Th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alveolar bone level of each canine. The percentages of root supported by the bone we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amount of root covered with the bone by the anatomic root length. The canine oi the non-cleft side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nd the canine on the cleft side was used as an experimenta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veolar bone support ratio between the control ($92.9\%$) and experimental canines ($8.7\%$). An average of $95\%$ level of alveolar bone support was achieved for the experimental canin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canine. Neither the presence of lateral incisor, nor the stage of root development of the canine at the time of the bone graft appeared to have affected the alveolar bone support ratio of the canine after the secondary bone graft.

  • PDF

CASES REPORT OF CLEFT ALVEOLUS REPAIR WITH PMCB GRAFT (치조골 파열환자의 자가망상골 이식을 이용한 치험례)

  • Lee, Dong-Keun;Choi, Seong-Hoon;Chung, Hyung-Bai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9-15
    • /
    • 1991
  • The cleft alveolus occurs about 75%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purpose of bone grafting is improve the maxillary growth, rehabilitation of continuty of maxillary arch and providing bone for periodontal support for unerupted teeth. The bone grafting for alveolar cleft defect repair are classsified; primary bone grafting, early secondary bone grafting secondary bone grafting and late secondary bone grafting. In this article, we reported the cases of PMCB grafts for repair of the alveolar clefts showed potential benifit to the patient to induce a normal maxillary growth and providing bone foor periodontal support of unerupted teeth.

  • PDF

Quantitative assessment of alveolar bone density change after initial periodontal therapy using digital imaging (디지털영상을 이용한 초기 치주처치후 치조골 밀도변화의 정량적 평가)

  • Ahn, Kyung-Hyun;Kim, Jae-Duk;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1 no.4
    • /
    • pp.777-785
    • /
    • 2001
  • 치주질환이 진행되는 동안이나 치주처치후 치유되는 과정에서 치조골의 변화가 야기되는데 방사선 사진은 치조골 변화를 감지하는 유일한 비외과적인 방법이다. 미묘한 치조골 변화의 진단은 치료시나 유지관리기 환자의 평가시 중요한 바, 최근에는 규격화시킨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골변화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도의 치주질환을 지닌 환자에서 국소마취하에 초기 치주처치를 시행한후 참조체와 함께 구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디지털화 한 다음 참조체 당량치를 이용하여 치조골의 밀도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치주질환에 이환된 환자 5명(남자 3명, 여자 2명 : 평균 47.4세)에서 탐침깊이가 5㎜ 이상이고 골내낭이 있는 제 $1{\cdot}2$ 소구치, 제 $1{\cdot}2$ 대구치 40개(상악 24개, 하악 16개)를 대상으로 구강위생교육과 치석제거술, 치근면활택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지수는 술전과 술후 8주째에 측정하였고, 방사선 사진은 술전, 술후 2주, 4주, 6주, 8주째에 촬영하였고, 구리 스텝웨지를 사용하여 규격화 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NIH image program(U.S.A)에 의해 분석되어졌고 이들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조골의 밀도는 초기치료후 2주째 까지는 감소된 양상을 보이다가 4주 이후로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 치조골의 밀도는 초기치료전과 비교시 초기치료수 6주째와 8주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상하악 간의 치조골 밀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볼때 초기 치주처치만으로도 치조골의 밀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clinical study on the alveolar crest height after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 in the cleft alveolus patients : Preliminary Study (치조 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성 골이식술 후의 치조정 높이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예비적 연구)

  • Choi, Jin-Young;Kim, Myung-Jin;Kim, Su-Gon;Eune, Jung-Ju;Choung, Pil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3 no.1
    • /
    • pp.1-9
    • /
    • 2000
  • 목적 : 치조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와 수술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를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각각 측정함으로써 치조정의 높이가 과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지와 치조골 이식술의 성공률이 치조열의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환자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자가장골 채취 후 분쇄피질망사골 형태 또는 block 피질망상골 형태로 이식한 편측성 치조열을 가진 환자 중 최소한 6개월이 경과한 환자 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두 술자에 의해 시술되었다.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의 높이와 치조열의 너비 및 수술후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은 치과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치조열의 너비는 모델이나 환자의 골결손부 근심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리고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을 1995년 Long이 제시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술전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치조열의 너비는 평균 6.9mm(1.9mm-12.1mm) 였다. 근심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중절치가 52개(92.9%), 측절치가 4개(7.1%)였고, 49명의 환자에서 완전맹출을, 6명의 환자에서 부분맹출(측절치 2개, 중절치 4개)을 보였다. 원심측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측절치가 25개(44.6%), 견치가 29개(51.8%), 소구치가 2개(3.6%)였고, 완전 맹출이 32.1%, 부분 맹출이 57.2%, 미맹출이 10.7%로서 완전히 맹출하기 전에 골이식한 경우가 67.9%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bony bridge가 나타났고, 절흔이 인접치 아래로 연장되지 않았으며, 치조골 이식술 후 oronasal fistula를 보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으므로 성공률은 100%였다. 술후 근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근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79%(평균), 원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원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87%(평균)로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치조정의 높이는 골결손부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근심측에서보다 원심측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치조열의 너비와 절흔의 양, 치조정의 높이 및 치조골이식 성공률과는 유의성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 PDF

Effect of vitamin C deficiency on the rate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and alveolar bone remodeling (비타민 C 결핍이 guinea pig의 실험적 치아이동속도와 치조골 개조에 미치는 영향)

  • Kim, Mi-Kyung;Lee, Young-Jun;Lee, Ki-Soo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3 s.110
    • /
    • pp.196-206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tamin C deficiency on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and bony remodeling processes. Thirty six male guinea pig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the given amount of vitamin C (normal group: 5mg/day, deficient group: 0.2mg/day) and 75gm of force was applied to the maxillary incisors.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day 0. day 1 day 3, day 5. day 7 and day 14 after force application and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was measured and tissues were studied histolog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collagen fiber in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of the deficient group wa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n the stretched side. the osteoblastic activity and alveolar bone formation of the normal group increased in a time dependent manner during experimental periods, but the deficient group showed less activity and formation.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in the deficiency group was more than in the normal group at day 0. day 1, day 3, day 5, and day 7.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 deficiency of vitamin C resulted in a defect of collagen synthesis of the periodontium and inhibition of bone formation and stimulation of bone resorption with rapid tooth movement in early periods of force application.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level alteration around narrow implants placed in narrow alveolar ridge using guided flapless surgery (폭이 좁은 치조골에서 컴퓨터가이드를 이용한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로 식립한 narrow implant의 방사선학적 평가)

  • Jeong, Seung-Mi;Choi, Byu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8 no.4
    • /
    • pp.306-312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adiographic outcomes around narrow-diameter implants placed using guided flapless surgery at longer than 6 month post-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 implants were assessed in 12 patients for the sites where 0.5 - 1.5 mm labial bone was covering the implants, using CBCT.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servation of crestal bone was observed in the narrow-diameter implants. Conclusion: Guided flapless implant surgery may be important in preventing bone loss around the narrow-diameter implants that are placed in narrow alveolar ridges.

A study on the change of alveolar crest height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교정치료와 관련된 치조골 높이 변화에 대한 연구)

  • Kang, Kyung-Hwa;Lee, Kyung-Won;Kim, Sang-Cheo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5 s.82
    • /
    • pp.599-611
    • /
    • 2000
  • Alveolar crest is the section of interproximal alveolar bone which includes the free edge of the alveolar process. An increase of the normal forces within limits of tolerance leads to deposition of new bone. If forces are beyond the limits of tolerance, resorption of bone will result whether the force produces pressure or tens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changes of alveolar bone levels in mesial and distal surface of the left, right first molar, by using pre-treatment, post-treatment panorama films. Two hundreds sixteen subjects were divided into adolescent group of 104 subjects and adult group of 112 subjects, to which orthodontic treatment with a bicuspid extraction (adolescent group-50 subjects, adult group-50 subjects) or without a nonextraction (adolescent group-54 !subjects, adult group-62 subjects) was applied by fixed appliances. Pre- and post-treatment Panorama films were traced, and alveolar crest height was measured. Amounts of changes in alveolar crest height by treatment were calculated md compared in terms of side of tooth, extraction,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pre-treatment alveolar crest bone levels were compared, levels of adul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dolescent group. 2. Post-treatment alveolar crest bon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reatment levels. 3. When changes of alveolar crest height were compared, between adolescent and adul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4. When changes of alveolar crest height were compared, significantly larger changes were noticed in ex윤action than nonextraction cases. 5. When changes of alveolar crest height were compared, significantly larger changes were noticed in maxilla than mandible. 6. When mesio-distally compared, significantly larger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distal than mesial sides of adult group.

  • PDF

3-Dimensional Analysis of Alveolar Molding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and Lip Pressure After Cheiloplasty in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편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의 3차원 분석)

  • Kim Na-Young;Kwon Sun-Man;Baek Seung-Hak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7 no.2
    • /
    • pp.93-10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구순구개열 (UCLP) 환자에서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PNAM) 와 구순 봉합수술의 치조골 정형효과를 3차원 (3-D)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6명의 UCLP 환자 (평균 파열부거리: 10.46mm) 이며 PNAM 장치에 의한 치료와 rotation-advancement법에 의한 구순 봉합수술을 받았다 처음 내원시 (평균연령: $37.0{\pm}27.89$ 일), PNAM 치료를 받고 난 후이며 구순봉합수술 1달 전 (평균연령: $119.25{\pm}40.18$ 일), 구순봉합수술 2달 후 (평균연령: $190.81{\pm}42.78$ 일)에 상악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그 후 laser scanning machine (Orapix, Dimennex, Seoul, Korea) 과 3-D view software (3Dxer, Dimennex) 를 사용하여 3-D모형을 제작하였다. 선, 각도, 정중선변이, 거리, 면적 항목을 3-D 모형상에서 계측하고, 각 시기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도 치조골 후방부는 안정된 구조물이었다. PNAM치료에 의한 파열부 거리의 감소는 대분절 (greater segment) 의 내측 굴곡 (bending) 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대분절 (greater segment)의 전방 성장은 PNAM치료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구순 봉합수술 후에 회복되었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대분절과 소분절 사이의 전방부 각도의 증가는 구순 반흔 (lip scar) 의 압력에 의한 치조골 정형 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중선변이는 PNAM치료에 의하여 개선되었다. PNAM치료 동안과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lveolar bone turnover dur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병 백서에서 실험적 치아이동중의 치조골 교체)

  • Lee, Ki-Soo;Lee, Taek-Woo;Kim, Sung-Ji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3 s.86
    • /
    • pp.357-36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lveolar bone turnover in diabetic rat, and to compare the alveolar bone turnover during tooth movement in diabetes with that in normal control Eighty Male Sprague-Dawley strain rats(8th week) were divided into normal control(N), normal-tooth movement (N-tm), diabetes(D), and diabetes-tooth movement(D-tm) groups. Eighteen days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diabetes was induced with a singl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50 mg/kg of body weight in citrate buffer as vehicle via the tail vein. Maxillary first molars of rats were moved mesially by 40 grams of the closed coil spring.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1d, 3d, 7d, and 14d experimental period, and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maxillary first molars were assayed biochemically for acid phsophatase(ACP)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as bone resorption markers, and alkaline phosphatase(ALP) and osteocalcin(OC) as bone formation markers. TRAP and OC concentration in serum and alveolar bone of 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N group, and especially OC concentration decreased mote following diabetes prolonged, which showed the decreased skeletal and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formation potential in diabetic rats. In N-tm group compared with N group, alveolar bone ACP and TRAP concentrations were highest at 1d and 3d(p<0.01), decreased after then, and showed lowest at 14d, and alveolar bone OC concentration was higher at 3d, 7d, and 14d(p<0.001) and showed a tendency of peak level at 7d. which showed the peak of concentration of bone resorption markets at 1d-3d and those of bone formation markers at 7d. In D-tm group compared with N group, alveolar bone ACP and TRAP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3d, 7d and 14d(p<0.001), and tended to reach peak value at 7d and persisted through 14d, and alveolar bone ALP and OC concentration increased but not different from that of N group.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in D group were greater than that of N group at all experimental period. Tho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during diabetes, the alveolar and skeletal bone undergo low bone turnover and the mote amount of tooth movement, hut because the peak time of alveolar bone resorption activity was delayed and sustained in longer period of tooth movement and alveolar bone formation a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normal tooth movement, the periodontal space is supposed to be larger doting tooth movement.

  • PDF

The effec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lipopolysaccharide on rat periodontal tissue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가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Chong-Cheol;Cui, De-Zhe;Kim, Young-J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297-310
    • /
    • 2007
  • 치조골 흡수는 파골세포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한 골의 무기질과 유기질의 파괴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세균성 산물, 주로 내독소는 치은조직 내에서 염증세포의 유주, 사이토카인 생산, 조직파괴 효소 분비 및 파골세포 활성 등의 국소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A. actinomycetemcomitans는 급진성 치주염의 원인 균주중 하나로 그 내독소는 치조골의 흡수와 관련된다. MMP-13은 세균성 산물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MMP-13이 치주질환의 진행과 골 흡수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와 MMP-13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에 의한 MMP-13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세포배양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백서 구개부 치은에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하여 흡수가 진행되고 있는 치조골에서 파골세포의 분화와 MMP-13의 발현을 TRAP 염색,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MP-13 mPNA의 발현은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1ug/ml)로 24시간 자극한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생리식염수로 자극한 세포에 비하여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마우스 대식세포에서는 TRAP 양성 세포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한 백서 치주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더 심한 골소실을 보였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과 대조군 모두 치조골에서 관찰되었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으며,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다. MMP-13 면역양성 반응은 치주염군에서 거친 골연을 갖는 치조골상에 배열된 조골세포와 그 인접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MMP-13 면역 양성 반응이 치조골 표면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속가 MMP-1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파골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치조골의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또한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투여에 의한 실험적 모델은 백서에서 중등도의 골 소실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모델로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