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의학전문대학원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3초

정량광형광기를 이용한 어린이의 구강건강관리교육 효과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Home-using Portable Device for Children)

  • 이정상;김신;정태성;신종현;이은경;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1-30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휴대용 정량광형광기인 Q-scan을 이용한 구강관리교육이 어린이가 구강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효과적인 지를 평가하였다. 6 - 12세의 어린이 중 치아우식위험도 검사결과 중위험 또는 고위험도로 분류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Q-scan 사용군(I군)과 대조군(II군)의 두 군으로 나누고, Qray-cam을 이용하여 simple plaque score (SPS)를 평가한 뒤, 동일한 구강관리교육을 시행하였다. I군에게는 추가적으로 Q-scan을 매일 사용하게 하였다. 한 달 뒤 두 군 모두 SPS와 Cariview score를 재평가하였다. 두 군 모두 구강관리교육 후 Cariview score 및 SPS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 < 0.001). 두 군 간의 변화된 Cariview score 차이는 유의하였고(p = 0.022), I군에서 II군 대비 감소폭이 더 컸으며, SPS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937). 어린이의 구강위생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은 기존의 구강관리교육만으로도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나, 가정에서 휴대용 정량광형광기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은 구강관리에 대한 어린이들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데에 도움을 주므로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Application of various digital technique on full mouth rehabilitation: A case report)

  • 배민수;송광엽;안승근;박주미;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3-54
    • /
    • 2021
  • 디지털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보철 수복치료에 있어서도 많은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강스캐너와 3D printing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더 나아가 안면스캔 기술 또한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37세 여성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되고 장착되어 충분히 평가된 전악 고정성 임시수복상태를 구강스캐너와 안면스캐너, 3D printing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모와 조화를 이루는 최종보철물로 이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교합을 회복하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ADD-TOC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DD-TOC in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조용범;정창모;허중보;윤미정;이소현;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0-167
    • /
    • 2022
  • 잔존골 흡수가 진행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계획시 전통적인 총의치로의 치료보다는 임플란트를 식립 한 뒤 milled bar와 가철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attachment로 연결하는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Milled bar와 attachment를 사용하면 상악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의 증가뿐만 아니라 구개 피개 부위를 일부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할 경우 상부 보철물을 milled bar로 제작하면 임플란트 고정체 간에 연결고정되는 효과가 있어 저작과 같은 기능 하에서 역학적으로 유리해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기존의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한 뒤 잔존 치조골이 상당량 소실된 상악 무치악 환자로 양측에 각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와 ADD-TOC attachment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Attachment 장착을 통해 얻어진 부가적인 유지력을 바탕으로 구개부 피개량 감소하여 총의치 제작 가능하였고 이렇게 milled bar와 attachment를 병용하여 충분한 유지력 뿐만아니라 지지 및 안정을 얻음으로써 심미성 및 기능성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ttachment in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김민정;허중보;정창모;윤미정;이소현;조용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1-7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심한 골소실으로 인해 치관부 수직높이가 과도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임플란트 주변 골의 응력 증가 및 나사 풀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illed bar 및 가철성 보철물로 수복할 수 있는데, milled bar는 단일 임플란트 간의 일차적인 스플린팅 효과와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milled bar 사용 시 Advanced Dental Device-Treatment Of Choice(ADD-TOC), 자석 부착장치 같은 부가적인 부착장치 사용을 통해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추가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좌측 구치부 평활근육종으로 인한 절제술 후 심한 골소실 및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장기간의 하악 구치부 상실로 인한 대합치는 정출된 상태였다. 상악 좌측 대구치는 교정적 압하를 통해 교합평면을 회복하였고, 하악 좌측 대구치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 후 milled bar에 부가적인 부착장치인 ADD-TOC, 자석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치조골 흡수가 심한 하악 전치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가철성 보철물 수복 증례 (Zirconia removable prosthesis using a milled bar in patient with mandible anterior edentulous area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 case report)

  • 박진영;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김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0
    • /
    • 2024
  • 치조골의 흡수가 심한 하악 전치 부분 무치악 환자의 경우 치아가 위치해야 할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어렵고, 적절한 출현윤곽이나 치간 공극을 가진 고정성 보철물을 만들 수 없어 유지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다. 적절한 위치에 놓여 있지 못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절삭 가공 바(milled bar)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보철물로 제작하는 것은 하나의 좋은 치료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가철성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번 증례의 환자는 하악 전치부 무치악부에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보였던 환자로, 상악 전치부와의 수직적 공간이 매우 큰 상태였고 이상적인 곳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수 없었다. 식립할 수 있는 곳에 2개의 임플란트를 심고 절삭 바와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지르코니아 가철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심미적으로 만족스럽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화 열처리 후 모의소성된 금속-세라믹용 Pd-Ag-Au계 합금의 후열처리에 의한 경화기전 (Hardening mechanism associated with post-firing heat treatment of softening heat treated and then firing simulated Pd-Ag-Au alloy for bonding porcelain)

  • 김성민;유영준;조미향;권용훈;김형일;설효정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5-106
    • /
    • 2015
  • Hardening mechanism associated with post-firing heat treatment of softening heat treated and then firing simulated Pd-Ag-Au alloy for bonding porcelain was examined by observing the change in hardness, crystal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By post-firing heat treatment of as-cast, solution treated and pre-firing heat treated specimens at $650^{\circ}C$ after casting, the hardness value increased within 10 minutes. Then, hardness consistently increased until 30 minutes, and gap of hardness value among the specimens was reduced. The increase in hardness after post-firing heat treatment was caused by grain interior precipitation in the matrix. The softening heat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increase in hardness by post-firing heat treatment. The precipitated phase from the parent Pd-Ag-Au-rich ${\alpha}$ phase with face-centered cubic structure by post-firing heat treatment was $Pd_3$(Sn, In) phase with face-centered tetragonal structure, which has lattice parameters of $a_{200}=4.0907{\AA}$, $c_{002}=3.745{\AA}$. From above results, appropriate post-firing heat treatment in order to support the hardness of Pd-Ag-Au metal substructure was expected to bring positive effects to durability of the prosthesis.

조립식 교합 평면 인기 장치 POP (PNUD Occlusal Plane) Bow 시스템을 이용한 3D 프린팅 CAD-CAM 의치치료 증례 (Treatment of upper and lower 3D printing CAD-CAM dentures using the POP (PNUD Occlusal Plane) Bow system, a prefabricated occlusal plane transfer device: A case report)

  • 이설화;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44-54
    • /
    • 2023
  •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환자의 교합평면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다. 특히,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 교합평면은 의치가 연조직을 올바르게 지지하고 안모와 심미적 조화를 이루며 제대로 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안정적인 저작작용을 위한 균형 있는 교합관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통적으로 환자의 악간 관계와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를 진료실에서 기공실로 전달하기 위해 교합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안궁(facebow)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나, CAD 상으로 이를 옮기는 과정에서는 여러 한계점이 있었다. 이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최근 조립식의 POP(PNUD Occlusal Plane) Bow system이 개발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POP Bow system을 적용하여 환자의 교합평면 정보가 잘 반영된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치료 의치를 제작하였고,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

골격성 III급 무치악 환자에서 전치부 중립대를 고려한 총의치 제작 증례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of a skeletal class III edentulous patient considering anterior neutral zone: a case report)

  • 김수헌;김형준;박상원;임현필;박찬;장우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91-99
    • /
    • 2024
  • 골격성 3급 무치악 환자의 경우 총의치 제작 시 잔존치조제 관계를 고려하여 교차교합을 형성해 줌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얻을 수 있다. 골격성 3급 악간관계에서 전치부를 정상교합 관계로 형성하는 것은 전방 캔틸레버를 가중시켜 의치의 안정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환자들은 총의치를 사용할 때 기능적인 면 뿐 아니라 심미적인 면 또한 중요시한다. 전치부 인공치들이 어떻게 배열되느냐에 따라 총의치의 심미성이 좌우되어, 골격성 3급 악간관계를 갖는 무치악 환자에서 정상교합이나 절단교합을 활용한 총의치 제작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3급 악간관계를 갖는 무치악 환자에게 상악 전치부에 중립대를 고려하여 전치부 절단교합을 형성하여 의치를 제작하였고, 우수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맹출 중인 제1대구치의 근관 치료 후 엔도크라운을 통한 수복 증례 보고 (Post-endodontic Restoration on Erupting Permanent First Molars Using Endocrown with a Polyglass Composite Resin: Report of Two Cases)

  • 정현태;김선미;김재환;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1-118
    • /
    • 2019
  • 구치 근관 치료의 임상적 성공은 근관 치료 후 수복에 의해 결정된다. 다양한 방법들이 근관 치료된 구치를 수복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소아청소년치과학 영역에서 근관 치료가 필요한 맹출 진행 중인 영구 구치의 전통적인 포스트 코어 및 전장관 수복은 어려움이 많고 과도한 치질 삭제를 유발한다. 치수강을 통한 적절한 유지력이 제공된다면 엔도크라운(Endocrown)은 보존적이고 심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치아 형성은 크라운-코어 일체형의 수복물을 구성하기 위해 치은연과 같은 높이의 버트 조인트(butt-joint) 변연과 치수강 내부 전체의 유지 와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증례 보고는 광범위하게 손상된 부분 맹출된 제1대구치의 엔도크라운을 통한 심미적이고 보존적인 수복의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적층가공을 이용한 임시의치 제작 및 기존방식의 임시의치와의 비교 증례 (Fabrication of additive manufacturing interim denture an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interim denture: A case report)

  • 김현아;임현필;강현;양홍서;박상원;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83-489
    • /
    • 2019
  • 디지털치의학의 발달과 함께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한 3D 제작산업이 최근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의치 제작 또한 최근의 디지털치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CAD/CAM 제작방법은 크게 두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절삭가공, 적층가공, 밀링과 같은 절삭가공은 블록 형태의 재료를 깎아 제조하는 기술을 토대로 하며, 3D printing과 같은 적층가공은 재료를 적층 방식으로 쌓아 올려 제조하는 기술을 토대로 한다. 적층가공은 밀링이 어려운 복잡한 구조의 제작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적층가공방법이 레진상 총의치 제작에 이용되었다. 디지털방식을 적용한 의치의 사용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