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은 열구액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Influence of Smoking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흡연이 치은열구액 내 Matrix Metalloproteinase-9에 미치는 영향)

  • Hwang, Soo-Jeong;Kim, Young-Kwon;Yang, Seong-Ju;Cho, Hyun-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4
    • /
    • pp.339-344
    • /
    • 2011
  •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is considered important in tissue destruction in periodont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oking on MMP-9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GCF samples in upper incisors area from 332 male subjects were collected after the informed consent. The dental examination included the assessment of oral hygiene, gingival inflammation and probing pocket depth.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MMP-9 levels in GCF was performed utilizing and immunological procedure. The mean MMP-9 concentrations found in GCF of smokers(30.86 ng/ml) and quit-smokers(29.82 ng/ml) differed from non-smokers(11.33 ng/ml), adjusted by age, gingival index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p<0.001). Smoking seems to influence MMP-9 in GCF regardless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age. It means smoking can destruct the periodontal tissue for itself.

The effect of periodontal flap surgery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TIMP-1)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 수술이 치주염 환자의 치은 열구액 내의 MMPs와 TIMP-1에 미치는 영향)

  • Kim, Jhee-Hyun;Ko, Jea-Seung;Kim, Hyun-Ma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23-132
    • /
    • 2005
  •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열구액내의 MMPs 및 TIMP-1 과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치주 수술이 MMPs 및 TIMP-1의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총 14명의 치주낭 깊이 6mm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 이환자에서 치아를 선정하여, 치주낭 심도, 치은 지수(gingival index)를 측정하고, 치은의 조직학적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치아의 치주낭 연조직을 절취하여 H-E염색을 하고, 치은 절편에서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및 분포를 비교하였다. Perio-paper를 이용하여 치은열구액을 얻고, pyrogen-free water에서 추출하였다. 채취한 치은 열구액에서 ELISA-kit를 이용하여 MMP-1, 8, 9, 13과 TIMP-1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그리고 건강한 조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MMPs 혹은 TIMP-1이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와 가지는 연관성을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TIMP-1을 제외한 MMP-1, 8 ,9, 13 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치은 열구액 내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MMP-1(p=0.025), MMP-9(p=0.016) 와 MMP-13(p=0.009)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MMP-9 (p=0.011) 나 MMP-13(p=0.026) 은 건강한 대조군과 수술 전 사이에도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연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치은지수의 임상적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주 치료 전의 치주낭 심도와 치은지수와의 관계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낭 심도등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는 MMPs나 TIMP의 정량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MP-1, MMP-9나 MMP-13을 치주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염의 심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MMP-9와 MMP-13가 치주염과 가지는 연관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E EFFECTS OF TETRACYCLINE-CONTAINING GEL ON GINGIVAL CREVICULAR ENZYME ACTIVITY (치근활택술 및 테트라사이클린 젤의 부가적 사용시 치은 열구액내 효소활성도에 관한 연구)

  • Chang, Mee-Khyoung;Han, Soo-Boo;Kim, Kack-Kyun;Son, Seong-Heui;Shim, Chang-K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4 no.3
    • /
    • pp.443-457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과적 치주치료시에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테트라싸이클린 젤의 효과를 임상지수, 치은 열구액양 및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측정을 통해 평가함에 있다. 치주낭 깊이가 4mm 이상 6mm이하인 구치가 편악당 적어도 2개 이상 존재하는 중등도 치주염에 이환된 환자 23명을 선택하여, 한 편악에서는 치근활택술 만을 시행하였고, 다른 한 편악에는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치은연하로 주입한 뒤 치근면 처리하였다. 사용된 임상검사 지수는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 깊이, 치은부착 상실도 및 탐침시 출혈로, 각각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4, 12주에 검사하였으며,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검사를 위해 치은열구액을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1, 2, 4, 12주에 각각 채취하고 치은열구액 양을 조사한 뒤 Lactate dehydrogenase(LDH)와 Beta-glucuronidase(BG)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효소활성도는 LDH는 340nm에서, BG는 550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지수를 측정 비교한 결과 치근활택술 만으로 치료한 군과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치은건강의 현저한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상 두 군간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2. 치은열구액 양은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이 치근활택술만 시행한 군보다 치료 후 2주와 4주에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 LDH와 BG 효소 활성도는 두 군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고,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에서 감소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GINGIVAL CONDITION ON CHILDREN USING PERIOTRON (Periotron을 이용한 소아 치은 상태의 평가)

  • Shin, Jeong-Geun;Kim, Jae-Gon;Yang, Yeon-Mi;Kim, Sung-Hee;Baik, Byeong-Ju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3 no.3
    • /
    • pp.411-421
    • /
    • 2006
  • In children, during developing occlusion stage, many studies confirm a high prevalence of gingival inflammation. Preventio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ingival and periodontal disease is important because by establishing excellent oral hygiene habits in children,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can be on the decrease in adulthood. This study evaluated the gingival conditions of 50 children$(8.5{\pm}3.1years)$ and 20 $adults(26.1{\pm}3.3 years)$ receiving clinical examination and GCF test at the pediatric dentist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Jeonju, Korea. I estimated children's and adult's gingival states by measuring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using Periopaper and $Periotron^{(R)}$ 8000, gingival index, plaque index, DMF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GCF volume among the groups of the primary dentition, tooth erupting stage, complete eruption stage(p>0.1). But mean value of GCF is highest at the tooth erupting stage. 2. Comparing with adults, children have higher mean value of GCF volume with statistical differences (p<0.001). 3. There i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olume of GCF and gingival index (GI), plaque index(PLI) in both adults and children(GI; r=0.394, PLI ; r= 0.642). 4.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GCF volume and dental caries, composite resin treatments (p>0.05). But There i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CF and orthodontic treatments(p<0.001) 5. Primary dentition has higher mean value of DMFT than permanent dentition(p<0.001). But there is no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GCF and DMFT (p>0.1).

  • PDF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on Periodontal Bio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for 1 Year: A Case Study (1년간 금연이 미치는 치은열구액 내 치주염 바이오마커 변화: 사례연구)

  • Hwang, Soo-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4
    • /
    • pp.525-536
    • /
    • 2014
  • Although tobacco use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biggest risk factors on periodontal health,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on i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ncentr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8, MMP-9 and interleukin (IL)-$1{\beta}$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of 11 quit-smokers for 1 year after smoking cessation. Eleven male subjects to maintain quit-smoking for 1 year participated the oral examination, GCF and saliva collection without periodontal treatments at baseline, after 2 weeks, 2 months, 4 months, 6 months and 1 year. To confirm quit-smoking, nicotine and cotinine concentrations in saliva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MP-8, MMP-9 and IL-$1{\beta}$ concentrations in GCF of upper anterior teeth are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Change of MMP-8 in GCF during smoking cessation showed fluctuation with decrease (5 subjects) or increase (2 subjects) or maintenance tendency (4 subjects). Changes of MMP-9 were decrease (6 subjects), or increase (2 subjects), or maintenance (3 subjects). Change of IL-$1{\beta}$ also showed fluctuation with decrease (5 subjects) or increase (3 subjects) or maintenance tendency (3 subjects). The subjects with increase tendency had the relatively smaller amount concentration of MMP-8 and MMP-9 at the baseline. It was unclear smoking cessation without periodontal treatment could affect MMP-8, MMP-9, and IL-$1{\beta}$ in GCF. Fluctuation of periodontal biomarkers during smoking cessation might result from feedback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iodontal cells.

Influence of the Sonic Power Toothbrush on Reduc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on the Amount of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in Periodontal Pocket (치주낭 내의 치은 염증의 감소와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전동 칫솔의 효과)

  • Hong, Ji-Youn;Chae, Gyung-Joon;Jung, Sung-Won;Um, Yoo-Jung;Choi, Seong-Ho;Kim, Chong-Kw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409-426
    • /
    • 2007
  • 세균성 치태는 치은의 염증과 치주 조직 파괴를 동반하는 치주염의 주요한 인자로서 치주 조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치태 조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12주 동안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염에 대한 임상 지수의 감소, interleukin-6 (IL-6) 농도와 치주질환 원인균인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효과를 일반 칫솔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총 82명의 환자를 선택하였으며, 30명은 일반 칫솔, 52명은 소니케어 전동 칫솔 군으로 분류하여 칫솔질 교육을 실시하였다. 전악을 전치부와 구치부로 나누어 초진, 1, 4, 12주에서의 치태, 치은 지수 및 탐침 시 출혈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을 보이는 치아 3개를 선택하여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고, 선택된 치아에서 초진, 1, 12주에 채취된 샘플을 통해 치은열구액 내의 IL-6 농도와 P. intermedia, A. actinomycetemcomitans의 CT값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니케어 전동 칫솔과 일반 칫솔군 모두 치은 염증을 나타내는 임상 지수 (치태지수, 치은지수, 탐침 시 출혈)는 12주 기간 동안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으나, 전동 칫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2. 전치부를 제외한 구치부 치아에서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은 12주 기간 동안 탐침 시 출혈의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3.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 깊이를 보이는 3개의 선택된 치아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는 두 군 모두 초진에 비해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18.47{\pm}10.05%$, 일반 칫솔군이 $14.19{\pm}8.16%$로, 부착 정도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24.26{\pm}12.51%$, 일반 칫솔군이 $15.65{\pm}9.92%$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4. 치은열구액의 IL-6 농도는 두 군 모두 12주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05)를 나타내었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전동 칫솔군은 51%, 일반 칫솔군은 37%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5. Prevotella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관찰에서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사용이 일반 칫솔에 비하여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태의 제거, 치은 염증 및 임상 지수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IL-6의 감소 경향에도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The Effect of Polycan-Calcium Gluconate Complex on Inflammatory Mediators from Periodontitis Patients (Polycan-Calcium Gluconate 복합제에 의한 염증인자의 감소 효과)

  • Kim, Ji-Hye;Kim, Ki-Rim;Jin, Hye-Jung;Im, Sang-Uk;Song, Keun-Bae;Choi, Youn-Hee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223-22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lycan-calcium gluconate complex on the levels of immune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 serum from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 total of 39 patients with periodontitis took placebo (placebo group) or polycan-calcium gluconate complex (treatment group) twice a day for 4 weeks. At baseline and 4 weeks,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subjects. The secretion level of interleukin $(IL)-1{\beta}$ in GCF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estern bl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8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GCF. Serum samples were analysed for MMP-8 by ELISA and C-reactive protein (CRP) by turbidimetric immuno assay. MMP-8 and $TNF-{\alph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at 4 weeks. The level of $IL-1{\beta}$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placebo group.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RP level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taking of polycan-calcium gluconate complex led to reduction of inflammatory biomarkers in serum and GCF of periodontitis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