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솔질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의 구강건강실태 (Oral Health Status of Needy Old Residents in Urban Area)

  • 손우성;허복;박수병;김진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2-89
    • /
    • 1996
  • 도시 고령 영세민들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주민들 중 44세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구강건강행동과 구강건강실태를 조사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 잇솔질횟수는 44-54세에서 1,9회, 55-64세에서 1.7회, 65세이상에서 1.7회이었고, 식후 잇솔질률은 44-54세에서 73.7%, 55-64세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0.6%, 65세이상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6.5%이었다. 2.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44-54세에서 15.5개, 55-64세에서 16.4개, 65세이상에서 26.6개이었다. 3. 우식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3.9%, 55-65세에서 11.6%, 65세이상에서는 11.7%이었고, 상실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55.5%, 55-65세에서 62.8%, 65세이상에서는 77.4%이었으며, 처치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0.0%, 55-65세에서 25.0%, 65세이상에서는 10.9%이었다. 4. 건전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16.4개, 55-64세에서 15.6개, 65세이상에서 5.4개이었고, 현존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23.7개, 55-64세에서 21.6개, 65세이상에서 10.9개이었다. 5. 치면세마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75.0%, 55-64세에서 83.3%, 65세이상에서 76.9%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16.7%, 55-64세에서 13.3%, 65세이상에서 15.4%이었다. 6. 치면세마 필요분악률은 44-54세에서 59.3%, 55-64세에서 71.5%, 65세이상에서 71.5%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분악를은 44-54세에서 5.6%, 55-64세에서 4.1%, 65세이상에서 5.7%이었다. 7.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 재흡수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Properties of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 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8-226
    • /
    • 2018
  •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의 재흡수성과 표면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불소가 방출되지 않은 복합레진 Transbond $XT^{(R)}$, 불소 방출성 복합레진 $Blugloo^{(R)}$$LightBond^{(R)}$,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Rely $X^{TM}$ Luting $2^{(R)}$, 재래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R)}$를 사용하였다.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 방출량을 측정하였고, 불소 재흡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편에 3가지의 불소 제품(APF gel,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을 도포하였으며,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여 불소방출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표면조도 측정기와 FE-SEM을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 조도 및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에서는 다른 불소 제품인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뿐만 아니라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한 후에도 불소의 재흡수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Tooth Mousse $Plus^{(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서 부분적인 미세 필러 입자의 탈락을 보였다. Fluor Protecto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 Rely $X^{TM}$ Luting $2^{(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기포가 생긴 부분을 제외하고 매끄러운 양상을 나타내었다.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 APF gel을 도포했을 때는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때 치아우식 예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불소 방출량을 고려한다면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가적극 추천되며, 불소 제품으로는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가 APF gel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소가 함유된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였을 때도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혈구 접착 결핍 증후군 환아의 치과적 처치 (DENTAL MANAGEMENT OF LEUKOCYTE DEFICIENCY IN A CHILD WITH SEVERE ORAL INVOLVEMENT)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6-30
    • /
    • 2007
  • 전신적으로 면역이 결핍된 백혈구 접착 결핍증 환아에서는 정기적인 구강 위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치면세균막의 제거를 통해 국소적인 자극원을 감소시킴으로써 구강 내 자극에 대한 동통이나 구취 감소가 가능하고 진행되는 치주조직의 파괴 양상을 어느 정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내원을 통한 관리도 중요하지만 잇솔질 교육을 통하여 환자 스스로 가정에서도 구강 위생 관리를 시행토록 하여야 하며 향후 감염원이 될 수 있는 원인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시멘트 취급 근로자들에 대한 구강위생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ccupational Diseases and Dental Hygiene of Laborers in Cement Industry)

  • 박일순;정미애;한지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5-12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dental hygiene status of workers in cement industry in an effort to serve as a basis for enhancing their dental hygien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0 laborers from the cities of Curi, Donghae and Samcheok who handled cemen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 l. The workers investigated found their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ory, getting a mean score of 323. They also expressed a high job satisfaction with a mean score of 333. 2. They didn't have a big interest in oral health. By age group, those who were aged between 36 and 40, or who cared less about health management, showed a higher interest in oral health. Besides, the laborers who kept smoking for a longer period, or who drunk more, expressed greater interest. 3. The toothbrushing method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periodontal health, by 45.0% of the workers, and the next most crucial one was regular dental examination, followed by refraining from smoking and staying away from sweet food in the order named. 4. Concerning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455%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ore than half them didn't pay enough attention to toothbrushing. 5. Regarding scaling, the large number of the workers, 42.4%, had no experience to get their teeth scaled, 37.6%, the greatest percentage, didn't have their teeth scaled because it seemed to make their teeth painful or cold. 6. As for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67.6%, the great number of them, had no experience to receive dental health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cement-related workers generally neglected dental health management.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correct their wrong oral health knowledge or habit to make their oral cavity more healthy. To make it happen, it's required to provide oral health education and promote organized dental health projects.

  • PDF

치과내원 환자들의 치주조직건강인식도 분석 (An Analysis on Dental Clinic Inpatients' Awareness about Their Periodontal Health)

  • 이선미;김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19-224
    • /
    • 2007
  •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 내원환자들의 치주조직건강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2개 치과의원과 1개의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1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치주조직인식정도는 3.40점으로 예방인식이 3.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리인식은 3.0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치주조직건강인식도 차이에 있어서는 성별과 직업에서 전체 치주조직건강인식도 및 각 세부영역별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각 세부영역별 상관관계는 예방인식과 원인인식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예방인식과 증상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보건 실천정도와 치주조직건강 인식정도의 차이에 있어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스켈링 경험이 있는 경우가 모든 영역에 있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기장읍 치면열구전색 사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arents on School Based Fissure Sealant Program at Gigang-eup, Korea)

  • 전은숙;이정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7-241
    • /
    • 2006
  • 본 연구는 치면열구전색 사업의 확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2002년부터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기장읍 소재의 3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8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우식예방수단 중에서 치면열구전색의 상대적 중요도는 100점 만점에 50.1점으로 잇솔질이나 식이조절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 치면열구전색 사업에 대한 인지자율은 93.3%였으며, 치면열구전색 사업 목적에 대한 정인지자는 96.3%였다. 3. 치면열구전색 사업 찬성여부에 대해서는 '좋다'가 94.1%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별, 학력별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치면열구전색 사업의 인지획득 경로별 응답률은 '전문가(치과병의원, 보건소)'가 5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치면열구전색 실시 후 64.5%가 유지상태를 살펴보았으며, 96.4%가 치면열구전색 후 재검사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

42개월 경과시점의 양치교실사업이 구강건강과 아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Oral Health and Chil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School after 42 Months)

  • 조민정;궁화수;황수정;송은주;최유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4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작된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양치교실 실험군 59명과 대조군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6월- 9월까지 구강검사와 COHIP를 비롯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군 간의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인 건강인식에 차이를 보여 이들 변수를 통제한 후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식경험영구치수, 우식경험영구치면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면세균막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아동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양호하였다(p<0.01). 4.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불소와 치아홈메우기 사업에 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구강보건행위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6. 대조군이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과 비교하여 학교집단잇솔질사업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p<0.05) 따라서, 초등학교 양치교실사업은 치면세균막지수 감소효과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치아우식경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치아우식예방법이 요구되며 양치교실 운영시 양치교실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운영방안과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세치제를 짜는 방법에 따른 사용량 조사 (A Study on the Amount of Dentifrice by the Way to Apply Dentifrice Tube)

  • 김희경;배수명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07
    • /
    • 2008
  • 본 연구는 실제적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구강보건교육자인 치위생과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Pea-size로 짜는 방법과, 가로짜기로 짜는 방법으로 짠 세치제 양을 비교하였고, 5~7세 어린이 66명을 대상으로 평소 잇솔질 시 통상적으로 세치제를 짜는 방법과, Pea-size 및 가로짜기 방법으로 짠 양을 비교하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위생과 학생들이 Pea-size 방법으로 짠 세치제의양은 0.40 g, 가로짜기 방법으로 짠 세치제의 양은 0.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로짜기로 짰을때 더 적은양의 세치제를 짜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2. 5~7세 어린에서는 평소 통상적으로 짜는 방법대로 짠 양이 0.40 g, Pea-size 방법으로 짠 세치제량은 0.43 g, 가로짜기 방법으로 짠 세치제량은 0.26 g으로, Pea-size 방법으로 짠 세치제량 가장 많았다. 따라서 현재 구강보건교육시 권고하는 Pea-size 방법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3. 어린이들이 세치제를 짜는 방법별로 사용된 세치제량을 비교해 본 결과, 가로짜기 방법으로 짠 세치제량을 Pea-size로 짠 세치제량과 비교했을 때 약65%,통상적인 방법으로 짠 세치제량과 비교했을 때 약 60% 감소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서 가로짜기방법으로 짠 세치제량의 편차가 더 적은 것을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4. 가로짜기 방법은 부모나 어린이에게 구강보건교육 시 짜는 방법을 보여주며 교육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불소세치제 사용량의 감소로 부주의한 불소 섭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어린이에게 추천할 수 있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계열 학생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ther majors)

  • 정미경;김윤미;홍세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15-627
    • /
    • 2011
  • Objectives : The study has three aims: 1) to assess the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ther college students towards oral and dental care, 2) to provide grounds for developing an oral and dental health educational program, and 3) to improve the oral and dental health status among the college student popul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0 students who included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J health college and other majors from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0, to June 3, 2011. The collected 50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 1. As for a daily toothbrushing frequency,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a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did that more often than the other majors(p<0.001). Concerning awareness of the toothbrushing method and the time for the change of the toothbrush, the rolling method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than the others(p<0.001). 2. In regard to education experience about the toothbrushing method and 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toothbrushing method, 64.7% of respondents ever received education about the toothbrushing method(p<0.001). 3. As to scaling experience and gingival bleedi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had more scaling experiences(p<0.001), and the other majors who underwent gingival bleeding from time to time outnumbere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did(p<0.01). 4. In relation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found themselves to be in better oral health than the other majors(p<0.001), and the latter had more parts of the mouth in which they didn't feel well than the former(p<0.01).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oral health(p<0.001) and felt more uncomfortable in chewing(p<0.05). The other majors felt more uncomfortable in pronunciation(p<0.01).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strong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otivation, and self-care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s oral health and dental care compared to other college students. It suggested that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llege student pop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ir concern for oral and dental issues and to improve their oral and dental health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