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노인부양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초

아로마요법이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roma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최승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69-10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입소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의 효과를 연구하여 치매노인과 부양자에게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 등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요양프로그램의 적용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설계로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은 시설입소 치매노인으로 의사소통이나 의사표시가 가능한 15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은 라벤더, 카모마일과 그레이프푸룻을 혼합하여 연구조원들이 아로마 손마사지법과 흡입법을 각각 1일 1회씩 총 15일간 3주 동안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아로마요법 후의 전체적 변화가 사전의 측정치는 1.47점, 사후1의 측정치는 1.09점, 사후2의 측정치는 1.01점, 사후3의 측정치는 0.71점으로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F=11.501, p<0.001)가 있었고, 실험시기의 차이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결과는 대화 또는 태도에서 근심, 걱정, 두려움, 공포의 기분, 우울한 기분, 눈에 띄게 수선스러운 동작, 눈에 띄게 저조한 행동, 수면장애 및 야간배회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로마요법을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양질의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면 치매노인의 심신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wareness of Aged Support, and Cognitive-Affective Empathy)

  • 제남주;박미라;양현주;김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00-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 C시의 대학생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었으며, 12시간의 치매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이었고, 자료조사는 실험군에게 프로그램 제공 전, 제공 후, 프로그램 종료 4주후에 시행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같은 시기에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Shapiro-Wilks 검증,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와 Independent t-test, Friedman test, Mann-Whitney U,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F=19.80, p<.001), 치매에 대한 태도(z=-4.10, p<.001), 부양의식(F=6.26, p=.017)은 집단과 시점 간에 유의한 교호작용이 있었으나, 인지-정서적 공감은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F=1.32, p<.256). 추후 치매 관련 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해당 내용을 강화하고, 인지-정서 공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를 검증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치매노인 가족 부양자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 정성희;황정해;오두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2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to assess the contents and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done using Medline, CINAHL, RISS, KISS, and DBpia to identify studies reported in English or Korean from 2000 to 2021. Results: A total of 1,162 articles were searched; finally, 23 artic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most applied intervention contents were knowledge provision and emotional support. Fourteen articles (60.9%) reported on complex interventions, including emotional, social support, relaxation, and various activities.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outcome variable in the reviewed literature was "burden," followed by "depression" and "coping strategy." Conclusion: The review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vidence and suggesting directions of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Effect of IADL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Expectation and Depression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25-13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이 높을수록 주관적 기대감은 낮아지고, 우울은 높아지며, 삶의 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삶의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제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확대와 우울증 감소를 위한 전문가의 주기적인 프로그램 제공, 부양자에 대한 국민연금의 부과급여 신설을 통한 주관적 기대감의 확대가 필요하다.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Dementia Education for the Nursing Method of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 유광수;소은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7-10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substantiality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to July 29 in 2012 with 137 subject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70) and a control group (n=67).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ed their nursing method four times, respectively, before the intervention, right after the intervention, and 2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n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t-test and $x^2$-test.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received the dementia education, the nursing metho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right after the intervention (t=8.33, p<.001) and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8.01, p<.001)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but their score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1.08, p=.28). Conclusion: The dementia educa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rsing method of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This study implies that further follow-up dementia education is necessary between 2 and 4 weeks to maintain the effectiveness.

치매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위한 주간보호시설의 프로그램에 관한 미국사례 연구 (Programs of Activities and Services of the Adult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in the U.S.A)

  • 곽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23-13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dult day care center as a place for the elders and adults and to develop an initial understanding of the services and activity programs for adult day care for the cognitively-impaired in the U.S.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 Adult Day Care Centers(ADC) from 2001 to 2002 by personal interview and the documents about the programs. ADC programs provided primarily social, recreational, and health activities and services in a group setting. Centers offered participants to socialize, enjoy peer support, and receive health and social services in a stimulating and supportive environment that promotes better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those centers offered not only professional health care, occupational.speech.physical therapies but also socio-recreation and therapeutic-recreation services.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박창제;이성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831-84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유형별 부양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경로를 분석하여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비확률표집을 통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와 노인요양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1부, 노인요양시설 107부 총 258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은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성비율과 고연령, 사별의 비율이 높고, 자녀수는 많았다. 둘째, 시설이용 노인은 평균적으로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에 비하여 ADL제한이 심하고 주요 질병으로 치매나 중풍의 비율이 높고 요양등급의 수준이 높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는 시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에 비하여 여성, 고연령, 저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관계는 배우자와 며느리의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나쁘고 소득이 낮은 편이었다. 넷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경로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로 1차 스트레스 요인이 2차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경로방향이 다르고, 2차 스트레스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도 다르다. 특히 방문요양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보여주지만 노인요양시설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다섯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인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들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방문요양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모두가 직접 영향을 미친 반면,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중 근로갈등과 가족갈등이라는 두 개의 요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아상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경로를 반영하여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매노인 주 부양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인자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Caregiv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김정순;김명수;김수옥;유연자;원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2-241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pairs of demented elders and their caregiv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elders and the caregivers, Barthel index and SF-36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analysis procedure include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core of overal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was 288.62 in norm-based scoring.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HRQoL of the demented elders' caregivers were burden, the age of the caregiver, ADL and gender of the demented elder, and these factors explained 34.5% of HRQoL. Conclusion: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caregivers' HRQoL were burden, the age of the caregiver and ADL. The effective social support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resp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the level of burden and to increase HRQoL in demented elders' caregivers. Further studies and efforts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preceding factors of burden and HRQoL.

  • PDF

치매노인과 부양자를 위한 휴식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고찰 - 국외 휴식서비스 중재연구를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Effects of Respite Care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Caregivers)

  • 김진선;이은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77-10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pite car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reviewing published intervention studies on the effects of formal respite care for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 prevented or delayed rate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atients. Method: Two computerized databases (MEDLINE, CINAHL) were searched to find respite care-related articles published from the year of 1981 to 2000. A total of 49 published articles were identified. Of them, nine studies, which met for the in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were included.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evidence of the effect of respite care on, not only caregivers' burden, stress, depression and well-being, but also the rate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atients. It was noteworthy that dementia patients reported fewer problems in behavior, although cognitive functioning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bilities continued to decline. However, these findings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because of methodological problems, such as non-random sampling, non random group assignment, a small sample size, uncontrolled confounding variables, limited period of services, and no specific types of services.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intervention studies of respite care being conducted in Korea with the corrections of methodological problems suggested from this study.

  • PDF

일부 농촌 지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 장인순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60-7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level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and to choose priority care group, thereb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reduce the caregiver's burd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from June 10 to October 8, 1994. The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Caregiver Burden Inventory by Novak(1989) and Zarit et al(1982), severity of dementia by Hughes Scales (1982), ADL by Lawton (1971), patients' family caregiving activity by pre-survey and reference review(Lee, 1993 ; Jang, 1990 ; Yoo, 1982). The subjects were 60 family caregiver of senile dementia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burden was evaluated over average, the mean of family burden was 61.24.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the severity of dementia(F=30.52, p<0.001), ADL(F=5.43, p<0.01), PADL(F=6.14, p<0.01), caregiver's health status(F=6.05, p<0.01), a view of patient's prognosis(F=4.08, p<0.05),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F=19.64, p<0.001),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s(F=7.16, p<0.001), the frequency of caregiving activity(F=5.31, p<0.01). 3. ADL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family caregiver burden(R2=0.6611). In addition to this, the severity of dementia,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accounted for 79% of family caregiver burden. 4. The criteria of priority care group were as follows ; the mean of family caregiver burden was above 58, above of moderate ADL,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 above of 8 hours, above of moderate dementia. By the the severity of dementia, number of priority care group, mild dementia was 10(43.4%), moderate dementia 23 (92.0%), sever dementia 12(100.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