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료적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Juvenile Probationers)

  • 김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79-49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비행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낮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을 통해 청소년들이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기효능감에 어떤 변화과정을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양적 분석 및 질적 분석을 병행한 통합적 접근방식이 실행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에서 체계적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 질적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태도와 적극적 참여 정도 부분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양적 분석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 기반 MBSR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자의 자기돌봄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주산;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23
  • 2000년대 들어 상담에 대한 관심과 상담 수요가 크게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직무 특성상 상담자들 또한 심리적인 어려움들을 느끼면서 상담자 스스로 자신의 정신 건강 및 유지를 위한 자기돌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담자는 많은 시간을 내담자와의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서 내담자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과 도움을 제공해 줌에 있어 지속적인 치료 과정을 함께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상황 대면을 통한 치료 과정을 함께하면서 치료의 긍정적인 면을 접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소진과 다양한 정서적 피로도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심리적·정서적 소진과 피로도에 대해 적절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상담자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자기돌봄이 필요하며, 상담자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마음 챙김에 기반한 MBSR 프로그램이 다양한 상담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는 상담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특히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경력 1년에서 5년 미만의 상담자 40명을 대상으로 주 1회기, 회기 당 2시간의 총 12주간의 MBSR 프로그램을 통한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효능감의 변화가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상담자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소진의 완화를 통한 안정적인 상담 현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관한 연구 - 성음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elf-Efficacy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using Pansori Creative Therapy Program - Focusing on Vocal Sound -)

  • 김천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1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성음 중심의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서울에 위치한 S 노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독거노인 6명을 선정하고, 이들에게 5단계로 구성된 성음 중심의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을 주 2회, 50분씩 총 6주 동안 제공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척도(박경민, 1994)를 사용하였고, 하위영역별로 대상자들의 사전 사후 점수 결과와 평균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션이 종결된 후에는 인터뷰를 실시하여 만족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전 사후에 측정한 자기효능감 척도의 점수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 < .05). 이에 대해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 결과는 일반적 요인과 신체적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요인은 증가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대상자들의 사후 인터뷰를 통해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입증해주고, 판소리의 치료적 특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노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 박경아;김정자;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1-258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광주·전남지역 노인건강센터, 노인복지관, 보건소, 경로당을 중심으로 284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노화불안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화불안은 연령,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 현재걱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연령, 학력, 종교,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게 나타났다. 건강을 오래 지켜나가고 안전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외래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장희정;김정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33-546
    • /
    • 2006
  • 배 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여러 가지 호흡재활프로그램 중에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호흡재활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국외 보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진료 받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 중 GOLD분류에 의한 II,III 병기 환자로 하였으며, 치료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선정, 비교하였다. 연구는 무작위할당 대조군 전-후연구로 이루어졌다. 저자들이 개발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을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치료군은 실시 전, 4주, 8주째는 1:1의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졌고 전화상담은 매주 1~2회 이루어졌다. 교육과 상담으로 대리경험, 성취경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매일 가정에서 운동훈련과 이완요법을 수행하도록 하여 성취경험과 정서적 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1:1의 교육과 상담만 제공하였다. 평가는 자기효능감, 평소 호흡곤란, 운동유발호흡곤란, 운동내구성은 6분 걷기 거리로, 폐기능, 삶의 질 등을 양 군에서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대조군보다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평상 시 호흡곤란, 운동 시 호흡곤란, 6분 걷기 거리도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폐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치료군에서 삶의 질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 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운동내구성,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 운동유발 호흡곤란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호흡재활치료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적 몰입간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rapeutic Flow in Stroke Patients)

  • 김지훈;김환;박준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53-262
    • /
    • 2017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적 몰입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치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15개 기관에서 뇌졸중 환자 168명을 대상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재활동기와 치료적 몰입을 평가하였다. 결과로 뇌졸중 환자의 치료적 몰입은 우울(r=-.349, p<.001), 스트레스(r=-.290,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r=.528, p<.001)과 재활동기(r=.186, p<.05)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치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beta}=.443$, p<.001)과 우울(${\beta}=-.155$, p<.0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치료적 몰입과 심리사회적 요인은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확인된바,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뇌졸중환자의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질 연구 (The Study of Stroke Patient's of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Qualty of Life)

  • 이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19-225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도과 삶의 질을 평가하고 뇌졸중환자의 사회적지지도, 자기 효능감과 삶의 질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P시에 소재하는 재활병원에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해있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1일부터 10 월 1일까지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활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모두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치료에 제공한다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Upper Limb Reaching task on Upper Limb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송승일;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59-6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인 만 39세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팔 뻗기 과제는 6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1회당 30분간 실시하였다. 과제 전-후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중재 전 왼손 10개, 오른손 40개에서 중재 후 왼손 22개, 오른손 43개로 증가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중재 전 41점에서 중재 후 70점으로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팔 뻗기 과제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Feature of University Students)

  • 이춘엽;박영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2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동년 6월까지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전라지역과 경상지역의 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여가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여가활동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여가활동 빈도를 파악하고,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빈도와 자기효능감, 감각찾기 유형의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을 알아보았다. 결과 :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빈도 및 자기효능감을 보면, 여가활동 빈도는 감각찾기 유형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모든 감각처리유형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감각찾기 유형의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은 헬스, TV시청, 쇼핑, 인터넷 검색과 웹서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p<.01). 결론 : 대학생의 감각찾기 유형에서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학생의 여가활동을 장려하고 그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처리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중재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양지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1-20
    • /
    • 2007
  • 장애아동의 부모, 특히 주양육자가 되는 어머니는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장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자녀 양육에 대한 현실적,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가 감소되어 무력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가 참여자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부천시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어머니 20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어머니는 약 8주에 걸쳐 15회기로 진행된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Abidin, 1990)와 '자기효능감 척도(The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GSE)'(Tipton & Worthington, 1984)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를 참여자들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마지막 세션에서 실시한 그룹 토론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와 녹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스트레스의 해소', '삶의 여유 공간 인식', '감정의 공유'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증진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나의 발견', '새로운 자극', '심리적 지지'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질문지와 녹취 전사본에서 도출된 내용들의 의미를 고찰해 볼 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 양육에 있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자신감이 증진됨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동의 양육으로 심리적인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어머니들에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자신감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