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노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박경아 (조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정자 (호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오명화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06.24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From April 2019 to August 2019, 284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cusing on senior citizens' health centers, welfar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health centers, and senior citizen centers in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aging anxiety scale and a self-efficacy scale. Studies have shown that aging anxiety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conomic level, health condition, and present concern, and self-efficacy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economic level and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age anxiety, the lower the self-efficacy.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to establish specific strategic measures for successful aging that can keep healthy for a long time and maintain a safe life.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광주·전남지역 노인건강센터, 노인복지관, 보건소, 경로당을 중심으로 284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노화불안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화불안은 연령,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 현재걱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연령, 학력, 종교, 경제적 수준,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게 나타났다. 건강을 오래 지켜나가고 안전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Lasher, K. P., & Faulkender, P. J.(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2. 최현보(2014). 노인의 노화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 자원봉사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 서울대학교.
  3. 정성식(2015).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거주 40~5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박사학위). 한국항공대학교.
  4.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5. 김미영(2014).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행동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8(1): 53-79.
  6. Lorig, K., Laurin, J., & Gines, G. E.(1984). Arthritis self-mamagement. A five year history of a patient education program. Nursing Clinics of America, 19(4): 637-645. https://doi.org/10.1016/S0029-6465(22)01852-7
  7. 조진희(2013).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예측 모형(박사학위). 한양대학교.
  8. 김신미, 김순이(2009). 노인의 노화불안과 삶의 질. 정신간호학회지, 18(2): 207-218.
  9. 신경일(2015). 성인여성의 노화불안: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29-346.
  10. 정겨운, 백지영, 이성아(2012). 자세 변화에 따른 기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 51(1): 231-251.
  11.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2. 오현수(1993).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23(4): 617-630.
  13. 김순이(2005). 일 지역 노인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7-15.
  14. Yun, R. J., & Lachman, M. G.(2008). Perceptions of aging in two culteres: Korean and American view on old age. Journal of Cross Cultural Gerontology, 21: 55-70. https://doi.org/10.1007/s10823-006-9018-y
  15. 김순이, 이정인(2007).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4( 1): 103-109.
  16. Harris, L. A., & Dollinger, S. M. C.(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87-194.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19-3
  17. 김정희, 박지영(2015).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210-22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210
  18. 왕명자(2010).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1): 101-1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1.101
  19. 김신미, 김순이(2008).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81-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