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관경사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6초

변연융선평면을 계측기준으로 한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에 관한 연구 (Crown angulations of posterior teeth of normal occlusion measured from marginal ridge plane)

  • 임성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31-740
    • /
    • 1998
  • 이전의 preadjusted appliance 개발을 위한 치관경사도의 계측에 있어서는 교합평면을 계측기준으로 사용했는데, 교합평면은 Spee 만곡으로 인해 브라켓 부착점들을 연결하는 선(Andrews' plane)에 평행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ee 만곡에 영향받지 않으며, Andrews' plane에 보다 평행한 계측기준으로 각각의 구치의 근, 원심측 변연융선을 잇는 가상선을 설정하고, 이를 변연융선평면으로 명명하였다. 교합평면과 변연융선평면으로부터 각각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여 비교한 결과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한 치관경사도가 특히 상, 하악 제 1소구치(P<0.05) 및 제 2대구치(P<0.01)에서 Spee 만곡의 영향을 받음을 발견하였다. 구치부 치아들의 치관경사도는 Spee 만곡의 양에 따라 변해야만 인접치간 변연융선의 불일치가 생기지 않는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다소의 Spee만곡을 갖는 정상교합자 표본에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계측한 치관경사도를 Spee 만곡이 없는 교합평면이 치료 목표의 일부인 bracket system에 적용하는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치관경사도와 Spee 만곡 사이의 부조화는 Spee만곡이 straight wire에 의해 완전히 leveling되었을 때 변연융선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치부 브라켓 slot이 변연융선평면에 평행하도록 브라켓 경사도를 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정상교합자의 치관경사도에 관한 연구 (Clinical crown angulation and inclination of normal occlusion in a large Korean sample)

  • 이신재;안석준;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31-340
    • /
    • 2005
  • 치관경사도 연구는 부정교합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 및 더욱 편리한 교정 장치 개발과 관련한 기초 자료로써 중요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307명(남자 187명, 여자 120명)의 대표본 성인 정상교합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자료의 신뢰성 검증이 병행된 치관경사도를 보고함으로써 치과교정학 임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도출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치관경사도 측정을 위하여 정상교합자 표본의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 각도 및 협설측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전후 측정자간 및 측정자 내의 신뢰성 검증을 시행하였고. 남녀간의 성차와 기존 연구자료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가 대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높은 신뢰성 지표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상교합자의 치관경사도는 변동이 심한 것이 관찰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 연구들에 대비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자료상의 차별성은 고찰할 수 없었으며 변동의 양상 또한 선학들이 보고한 자료와 유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치관경사도 측정시 드러난 정상변동을 해석하여 개별 적합성이 최대로 증진된 효율적인 치과교정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좀 더 발전된 수학적·통계학적 모형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변동에 따른 치관경사도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racket on the Crown Inclination)

  • 장연주;김태우;유관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01-411
    • /
    • 2002
  • 정교한 교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브라켓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많은 원인에 의해 브라켓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에 변화가 있을 때 이것이 치관경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의 정상교합자 표본 중 상태가 양호한 10명(남자 6명, 여자 4명, 평균 연령 22.3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 이들의 치아모형을 laser scanner를 이용, 3차원적으로 스캔을 시행하였고,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스캔된 치아모형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였다. 각 모형에 대하여 Bracket plane을 설정하였고, 각 치아에서 Bracket plane에 수직이며 치아의 장축을 지나는 Tooth plane을 순협면에서 결정한 뒤 Bracket plane상에서의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였다. 이로부터 Bracket plane을 상하로 0.5mm, 1.0mm, 1.5mm 변위시켰을 때의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였다. 각 계측 항목에 대해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과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중절치, 측절치, 견치, 대구치와 하악소구치, 대구치에 있어서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치관경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상악전치와 대구치, 하악소구치와 대구치에서는 기준평면으로부터 수직적으로 같은 양만큼 변위되었다 할지라도 보다 교합면쪽에 위치하는지, 보다 치은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치관경사도의 변화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3.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변화가 있을 경우 상악전치부와 대구치, 하악구치부, 이 중 특히 하악구치부의 치관경사도는 임상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므로 브라켓을 위치시킬 때 주의를 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병원 환자의 하악 제3대구치 맹출 양상과 치관주위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ericoronitis and Eruption Stat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among Patients at Dental Hospital)

  • 전은숙;이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5-279
    • /
    • 2007
  • 본 연구는 하악 제3대구치의 맹출 양상이 치관주위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양산시에 소재한 N치과병원에 하악 제3대구치 발거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의 좌 우측 분포도, 경사도, 매복정도, 하악지 전연에서의 위치, 하악 제2대구치와 제3대구치 사이의 거리는 $X^2$-test, 치관주위염 유 무와 제 변수와의 상관성은 Pearson 상관관계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 제3대구치에 대한 치관주위염의 발생은 연령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하악 제3대구치의 경사도에 있어서 치관주위염이 가장 호발된 군은 근심경사군이었다. 3. 하악 제3대구치의 매복정도와 치관주위염의 발생은 Level a, Level c, Level b순으로 나타났다. 4. 하악 제3대구치의 하악지 전연에서의 위치는 Class II, I, III의 순으로 치관주위염이 호발하였다. 5. 하악 제2대구치의 원심 백악법랑경계에서 하악 제3대구치의 근심 백악법랑경계까지의 거리가 좁을수록 치관주위염이 호발하였다.

  • PDF

정상교합자 설측치관형태 및 설측치열궁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LINGUAL SURFACE OF CROWN AND LINGUAL ARCHFORM OF KOREAN ADULT WITH NORMAL OCCLUSION)

  • 김영림;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9-221
    • /
    • 1995
  • 한국인에게 적합한 설측교정장치와 이상적인 설측 치열궁 아치와이어 제작의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정상교합자 경석고 모형 30개를 재료로 하여 설측치관의 형태와, 후지타 설측 브라켓을 위치시킨 모형에서 설측치열궁 형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치아에 대한 치관의 근원심 경사도와 설면의 순설측 치관 경사도의 평균치를 얻었다. 각 치아에 대한 브라??? 위치에서 설면의 수평 및 수직적 형태를 얻은 결과 대구치, 소구치, 견치는 상하악이 비슷한 모양을 보였으며, 강하악의 중절치와 측절치도 비슷한 모양을 보여 각각 브라켓 기저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켈 부착위치에서의 평균 설측치열궁 형태를 얻은 결과, 그 형태는 전치부는 반원형이며 견치와 소구치 사이에 강한 오프??? 밴드가 있는 버섯 형태로서 소구치간 및 제2소구치와 대구치간에도 오프??? 밴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간의 평균 설측치열궁 형태는 상악은 거의 일치하였고 하악은 여자가 남자보다 다소 작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 PDF

전부 피개관의 치아 형성 시 축면 경사각에 대한 조사 (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Prepared Tooth for full Veneer Crowns)

  • 김성진;배아란;우이형;김형섭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21-32
    • /
    • 2010
  •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는 치관 수복물의 유지와 저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다양한 구강 내 환경과 술자의 능력에 따라 이상적인 경사도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와 실제 임상에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실험의 연구 자료는 K대학 부속 치과병원 중앙 기공실을 통하여 보철과 전공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과 일반 기공소를 통해 일반 개업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을 수집한다. 연구 방법은 각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면을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뒤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치아의 삭제 각도를 측정 한 뒤 항목별( 1. 술자 집단별 분류,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류,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류 )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국내 임상가의 지대치 형성시 축면 경사각의 평균은 $15.02^{\circ}$ 표준 편차는 ${\pm}10.13^{\circ}$였다. 1. 술자 집단별 분류에 대한 분석 일반 치과의 집단의 측면 경사각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축면 경사각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석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측면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치아의 전후적인 위치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상악과 하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도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악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석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와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5) 협설측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협설측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에서 임상에서 치아 삭제시 이상적인 축면 경사각을 얻기 힘들며 이는 술자의 경험과 악궁 내에서의 위치, 삭제 양식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관경사도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A STATISTICAL STUDY OF CLINICAL CROWN INCLINATION IN KOREAN'S NATURALLY OCCURRING OPTIMAL OCCLUSION)

  • 김종성;진근호;홍성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15-733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ome clinical aspect of the crown inclination in Korean's naturally occuring optimal occlusion, and to statistically compare the crown inclination at Andrews' FA points group and another bracket slot level group based on marginal ridges. The materials consisted of study models of 30 patients (14; Korean's males, 16; Korean's females) who have nonorthodontic normal occlu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tandard deviation, range of clinical inclination in the Andrews' FA points and another bracket slot level were obtained. 2.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Andrews' FA points group and bracket slot level group based on marginal ridge was non significant (p > 0.05). But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in FA points group was more stability than marginal ridge group. 3. A lingual crown inclination at FA points in the upper posterior teeth existed (canines through molars). 4. The lingual crown inclination at FA points in the lower dentition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the incisors through the second molars.

  • PDF

정상 교합자의 치관 경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ROWN INCLINATION IN NORMAL OCCLUSIONS)

  • 정돈영;손병화;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5-165
    • /
    • 1986
  • Recently, straight-wire appliance is widely used with great concern in clinical orthodontic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information of the straight-wire appliance and to determine the crown inclination in clinical orthodontics. The author analyzed the study model of 78 individuals with normal occlus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maximum value, minimum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crown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teeth were obtained. 2. The lingual crown inclination of upper tooth had constant value from first premolar through second molar, the lingual crown inclination of lower tooth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canine through second molar. 3. As Howes' ratio was decreased, the crown inclination of upper incisors was increased. 4. Narrowing the upper arch, the crown inclination of upper incisors was increased.

  • PDF

정상교합자의 안이평면에 대한 개개 치아의 순, 협설측경사와 근원심경사 (The Angulation and Inclination of Individual Tooth to FH Plane in Normal Occlusion)

  • 황해상;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91-802
    • /
    • 1998
  • 교합기에 거상된 정상교합자 31명의 진단모형에서 치아 FACC의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해 약간 변형시킨 T.A.R.G.를 이용하여 안이평면에 대한 각 치아 FACC의 순, 협설측경사와 근원심경사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dot$상, 하악 각 치아의 FACC의 순, 협설측경사와 근원심경사를 측정하여 각각의 기준치를 얻었다. $\cdot$치아 FACC의 순, 협설측경사는 상, 하악 치열 모두에서 전방치아에서 후방치아로 갈수록 점점 설측으로 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cdot$치아 FACC의 근원심경사는 상악치열에서 중절치와 측절치는 거의 비슷한 경사도를 가지고 견치부위에서 후방치아로 갈수록 점점 원심으로 경사되는 양상을 보였고, 하악 치열에서는 전방치아에서 후방치아로 갈수록 점점 근심으로 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cdot$상, 하악 모든 치아에서 어느 한 치아의 치관 근원심 경사와 순, 협설측경사는 인접치아들의 치관 근원심경사와 순, 협설측경사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Straight Wire Appliance를 위한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관 형태에 관한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TEETH ON THE KOREAN NORMAL OCCLUSION)

  • 이원유;박영철;임경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01-609
    • /
    • 1998
  • 한국인에 적합한 preadjusted bracket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인 성인 정상 교합자 14명을 대상으로 crown angulation, inclination, in and out, molar offset angle을 구했다. 정상 교합자 14명의 cast를 3차원 스케닝한 후 스케닝한 모델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기존의 모델을 직접 수작업으로 측정할 때보다 정확하고 빨리 측정할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각 치아의 치축 경사(angulation), 치관 경사도(inclination), in and out, molar offset angle을 구하였다. 2. 3차원 스케너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