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종사자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3초

치과용 유니트 수계의 미생물 오염 및 효과적인 관리 방법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nd Effective Control Method of Dental Unit Water System)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3-392
    • /
    • 2015
  • 치과치료를 위해 다양한 용도로 DCU에서 배출되는 물이 사용된다. 이 DCU 물의 질에 관한 계속되는 논란으로 인한 환자들의 불안감을 줄이고 양질의 치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DCU 물이 음용수만큼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DCU 물의 세균 오염 수준과 오염된 DCU 물의 임상적 위험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세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관리 방법들을 검토하였다. 여러 국가에서 DCU 물을 대상으로 오염도를 확인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DCU 물이 높은 수준으로 오염되어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오염된 DCU 물로 인해 감염된 일부 사례도 보고되었고 이는 DCU 물이 감염의 잠재적인 원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DCU 물로 인한 잠재적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소독방법을 사용하고 자체적인 모니터링 또한 시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제안되고 있는 여러 가지 수관관리 소독방법으로 인해 치과종사자들의 혼란이 야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소독방법을 보편화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안심시킬 수 있는 좋은 치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개선과 국내 치과 상황에 맞는 수관 관리 지침이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정치과에서의 손 위생과 건강신념간의 융합 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Hand washing and Health Belief on Convergence Study in Orthodontic clinics)

  • 이소영;이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15-122
    • /
    • 2018
  • 치과진료 환경은 병원 미생물에 쉽게 노출되어 종사자의 감염 위험성은 매우 높다. 그중 손은 감염의 중요한 매개가 되므로 손위생은 감염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에 치과진료 과목을 세분화하여 교정치과 진료실의 손위생과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손위생과 건강신념간의 차이 분석 결과 손 위생 관리 중요도와 손 위생 교육 경험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10)(p=0.000). 건강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손 위생 관리 중요도(p=0.014), 손 위생 교육 경험(p=0.010)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치과 감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본적인 방법인 손 씻기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을 예상 할 때 감염관리 교육은 건강신념을 확립하는데 높은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표준화된 치과건강보험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on the Necessity of Standardized Dental Health Insurance Education)

  • 유은미;오보경;김민영;최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7-84
    • /
    • 2022
  •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의 건강보험 청구 만족도 및 건강보험 지식정도에 따른 청구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지속 가능한 건강보험제도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 209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5월까지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건강보험 청구 만족도에 따른 치과건강보험청구 관련 전문인력의 요구도는 전문인력 자격요건(p<.05)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지식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인 자격증 유무에 따른 전문인력 요구도는 의료기관에 따라 청구 전문인력 필요 이유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치과건강보험 청구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치과의료기관 종사자의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al health professional)

  • 장종화;이영수;문애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95-404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al health professional.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97 oral health professional(mean age=$29.95{\pm}8.10$).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ruited when they attended the dental health form in Gwangju.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relation-oriented, innovation-oriented, hierarchy-oriented, task-oriented culture. Self-readership consisted of five factors: rehearsal/self-observation, self-goal establishment, self-esteem, self-criticism, self-rewar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was rank-oriented culture. The mean score of self-readership score was 3.51 out of a maximum 5 poi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elation-oriented culture, self-goal establishment, self-reward explained 41.9% and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self-esteem explained 48.6%.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readership was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development should be continued to develop the effective self-r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al healthcare professional.

치과상담업무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f dental counselor)

  • 김계표;이지영;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27-737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and their relationships in dental counselors to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related with dental counseling. Methods :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67 dental counselors working at dental clinic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June to August, 2012. The study used emotional labor questionnaires and Korean Occupational Job Stress Scale (Basic Version, KOSS-43) as an assessment scale. All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 9.2). Results : The levels of occupational stress and emotional labor in dental counselors were $47.26{\pm}8.36$ and $3.45{\pm}0.47$. Three subscales of emotional labor as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ttention of emotional expression norms and disharmony of emotion were related with occupational stress in dental counselors. The level of job stress was increased by the lower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and increased by the higher level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sharmony of emotion. Conclusions :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number of counselors, nurturing counseling workforce is essential to manage the job stress of dental counselors. Sufficient counseling with a patient in a comfortable counseling environment is important to reduce the job stress by emotional labor. Continuous service improvement through positive emotional service education is necessary to be implemented for counselors.

치과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n dental practitioners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 전한솔;이진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9-197
    • /
    • 2015
  •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에 종사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로 구성되었다(n=126). 설문지는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교육 관련 문항, 치과 보철 치료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에 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에 대한 설명 후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인지도와 실천도는 1에서 5 사이 값을 갖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고, 직종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 시행하였으며, 인지도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7%는 치과 보철 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 교육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보철치료와 관련된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의 평균값은 각각 $2.72{\pm}0.80$, $1.58{\pm}0.88$으로 나타났다. 감염 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62{\pm}0.9$, 받지 못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31{\pm}0.49$로 나타났다. 현재 근무하는 곳에 감염 관리 지침서가 있는 응답자의 인지도는 $3.01{\pm}0.91$, 없는 응답자의 경우 $2.56{\pm}0.70$로 나타났다. 결론: 1. 대학 교육과정 중 감염 관리 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무지에 감염 관리 지침서를 갖고 있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했으며,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실천도는 인지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여대생의 치과치료 공포감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a relevant factor on dental treatment fear using dental fear survey in college women)

  • 홍선화;박종;한미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8-10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fear of dental care and analyze the related factors between reliability for members in dental office and fear of dental care, dental office. Methods : Located in Gwangju, 260 college women who had dental experience in the past year were surveyed. SPSS windows ver. 11.0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related factors in the fear of dental care and the reliability about dental health care workers of one way ANOVA, Tukey test for Post-Hoc test. and were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fear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fear will be higher whe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considered lower, the reliability of dental health care workers is lower(p<0.05). Evasion and overall fear, overall fear and stimulations of dental care, stimulations of dental care and overall feeling were related(p<0.05). Conclusions : The reliability of dental health care workers is lower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considered lower, the fear of dental care increase and everage number of brushing has increased, the fear of dental care decrease.

Williams Syndrome 환자에서의 scissor bite correction: 증례보고 (SCISSOR BITE CORRECTION IN PATIENTS WITH WILLAMS SYNDROME: A CASE REPORT)

  • 지은혜;최형준;김성오;손흥규;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4
    • /
    • 2011
  • 11세 여환이 저작시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구강 검사 결과 하악 우측 구치부의 scissor bite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시 환아는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나 타냈고 이에 1년 동안 정기 검진을 하여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 후 교정치료가 가능하였다. Williams Syndrome 환자의 경우 사교적이며 친밀한 성격임에도 치과종사자나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수 있어 치료를 시작하기 전 환자와 치과 종사자간의 관계 형성을 통한 신뢰를 획득함으로 더 나은 질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방사선 검사 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노출 평가 (Radiation Exposure Evaluation Depending on Radiation Workers' Locations during Dental Radiography)

  • 정천수;김지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33-438
    • /
    • 2015
  • 치과방사선 검사에 있어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위치에 따라 방사선 노출 정도를 평가하고자 촬영실과 납유리, 조작대에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장치로는 Standard(Max-GLS, Shinhung), 파노라마(PCH-2500, Vatech), 세팔로(PCH-2500), Cone beam CT(PHT-30LFO, Vatech)이며, 방사선측정기는 PM1405 장비이다. 촬영조건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인자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그 결과 촬영실 안에서는 Cone beam CT가 98 uSv/h로 가장 높았으며, standard가 0.4 uSv/h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 파노라마가 촬영방식이 다름으로 인하여 세팔로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납유리 표면과 조작대에서는 구강내와 파노라마, 세팔로는 모두 기록준위 이하로 측정되었지만, Cone beam CT는 누설선량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방사선작업종사는 적절한 방호도구를 하고 촬영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또, 방사선실의 구조 또한 효율적으로 설계해야 할 것이다. 치과방사선검사는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와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적절한 방호 대책이 필요하다.

치과용 CAD/CAM 밀링기에 대한 치과의료종사자들의 선호도 조사 (Survey study on the Preference of Dental Medical Personnel for Dental CAD/CAM Milling Machines)

  • 송은성;김봉주;임영준;이준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8-198
    • /
    • 2018
  • 목적: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치과영역에서도 다양한 보철물 제작을 위해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e (CAD/CAM) 시스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CAD/CAM 시스템은 전통적인 방식의 보철물 제작의 단점을 극복하여, 치과의사와 치기공사가 보철물을 제작할 때, 환자에게 한 두 번의 병원 방문으로도 정확하고 정밀도 높은 보철물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의 CAD/CAM 시스템 현황 및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새로 장비를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설문 조사는 서울대학교 치과 병원을 포함한 전국 298 명의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및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2 개월간 우편을 통해 실시하였다. 결과: 치과용 CAD/CAM 밀링기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밀링기의 성능(64.43%)이었으며 용도는 치과보철물 제작과 임플란트용 맞춤형 지대주 제작이 49.3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응답자의 약 60% 이상이 CAD/CAM 밀링기가 만족할 만한 성능으로 개선된다면 새로운 장비의 구매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결론: 설문조사 분석결과, 성능이 개선된 CAD/CAM 밀링기 디지털화 및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치과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