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인지도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일부광역시의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오한나;박영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9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학생활 중에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G대학의 3년제 치위생과와 J 대학의 4년제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에 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은 97.5%, 일반대학생들은 80.6%가 인지하고 있었고(p<0.001), 치과위생사의 의료법상의 위치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의료기사가 52.8%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대학 학생들은 의료보조자가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2. 치과위생사의 주요 업무에 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위생과 학생들은 X-ray촬영과 스켈링이 42.3%로 가장 높았고, 일반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주요업무는 치과의사의 진료보조 업무가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전문직이다'라는 인식(4.05)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3.05)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반학과 학생에서도 '전문직이다'라는 인식(3.43)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2.9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위생과 학생들과 일반대학 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의료법상 위치에 관한 인식과 주요 업무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대학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정립하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업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 및 교육이 모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지역사회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인지도 조사 (Cognition and perception of community members about dental hygienist's job)

  • 정원균;손아란;정혜령;김정예;하정은;허승희;김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03-41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level of community members about dental hygienist's job of cognition and perception.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500 of community members located in Gumi, Seoul, Incheon, Wonju.(response rate 92%) The results of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Women, 30 age group, officer and house keeper who had were experienced scaling higher level cognition of dental hygienist than another groups. 2.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d oral examination, oral health consult, and the young group who had not experienced prosthodontic treatment had higher perception that dental hygienist main role is oral health care education. 3. The student who had experienced scaling had higher perception that dental hygienist's main role is oral disease prevention. 4. Over 30 age, women group who had experienced dental treatment between 6 month and 2 years had higher perception that dental hygienist main role is dental assistance At the conclusion of this investigation, We investigated that person's perception and cognition is promoted through scaling. Therefore we have to increase opportunity of oral health prevention and education role. In addition, we should notify dental hygienist with uniform, name tag and information about dental hygienist.

  • PDF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현안과제와 직무확충 방안 (Problems to Solve and Job Enlargement on the Inclusion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 이다솜;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40-348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요구와 논의가 있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치과의료인력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를 위한 선행과제와 의료인이 되었을 때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 259명, 치과의사 128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인식과 선행 과제, 긍정 및 부정적 효과와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해 치과위생사의 94.2%, 치과의사의 46.9%가 인지하였고, 치과위생사는 협회매체(52.5%), 치과의사는 치과신문(23.4%)을 통해 인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찬성도는 치과위생사의 95.0%, 치과의사의 64.1%였으며, 당위성은 치과위생사가 84.9%, 치과의사 51.6%였다. 당위성의 근거로 치과위생사는 업무 전문성과 교육과정 부합성이 높았고 업무 부합성이 낮았으나 치과의사는 의료체계 유사성이 높았고 교육과정 부합성이 가장 낮았다. 의료인화를 위한 선행 과제 중 직업적 영역에서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 모두 직업의식과 윤리의식이 높았다. 제도적 영역에서도 두 직종 모두 치위생교육 질 관리가 가장 높았으며, 학제 일원화가 가장 낮았다. 사회적 영역에서 치과위생사는 중앙정부설득과 국민공감대 형성이 높았고, 치과의사는 유관단체 협력과 중앙정부 설득이 높았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시 긍정적 효과는 치과위생사 인식 확장이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 모두 가장 높았고, 부정적 효과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임금상승 심화와 위임진료 증가가 높았고, 치과의사는 임금상승 심화와 구인난 심화가 높았다. 의료인화 시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로는 독자적 치주관리프로그램 운영으로 치과위생사(79.9%)와 치과의사(69.6%) 모두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는 치주관리를 위한 진단(44.4%)과 전신질환자 구강건강관리(44.0%), 비외과적 치주처치(41.3%), 근육 정맥주사(27.4%) 순이었고, 치과의사는 근육 정맥주사(44.1%), 비외과적 치주처치(34.3%), 전신질환자 구강건강관리(29.4%), 치주관리를 위한 진단(13.7%)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 의료인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의료인화와 관련하여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합리적으로 조정되고 합법화하는 데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System)

  • 김지현;황지민;박용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4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방문간호 중에서 치과위생사의 업무인 방문구강위생이 포함되어있으므로 치과위생사의 인지도를 파악하고자 2009년 1월부터 4월까지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치과병 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치과위생사의 방문구강위생업무 중 중요한 업무순위에 대해 1순위가 '관리적, 예방적 처치 영역', 2순위는 '구강보건교육 영역'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영역 중에서 중요한 교육분야는 '잇솔질'이 79.9%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예방적 처치 영역 중에서도 '잇솔질 실행'이 6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가 방문구강위생업무를 하기위해 치과의사의 지시서가 필요한 것에 대한 인지여부에서 38.2%가 '예', 61.8%가 '아니오'라고 응답하였다. '예'라고 응답한 치과위생사 중 근무경력이 '1년 이상-4년 미만'인 치과위생사가 치과의사의 지시서 필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1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3. 치과위생사가 노인장기요양소를 개설할 수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지에 대해 93.4%가 '아니오', 6.6%가 '예'라고 응답하였다. 학력에 따른 노인장기요양소 개설의향정도는 치과위생사의 학력이 '학사'인 경우가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인지정도에 대한 변수 중 '방문구강위생업무 시 치과의사의 지시서가 필요한 것에 대한 인지정도'와 '노인장기요양소 개설의향정도'와의 관계에서 음(-)의 상관관계(r=-0.300)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수급자에게 구강위생업무를 제공해야할 치과위생사의 인지도가 낮으므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치과위생사들에게 적극적인 홍보와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인지도를 높여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내원환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Patients about Dental Hygienists)

  • 박성숙;조평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1-197
    • /
    • 2010
  • 본 치과내원환자의 치과위생사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2009년 10월~11월 일부지역 치과 병 의원에 치료목적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조사하였으며 회수한 204부중 기입이 부정확한 7부를 제외한 197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과내원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영역별로 인식도를 알아 보기위해 평균과 표준 편차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 ANOVA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 진료업무의 신임도에 관한 인지도에서는 cronbach $\alpha$ .601, 치과위생사의 행동의 긍정적인 경험도에 대하여 cronbach $\alpha$ .787를 나타냈다. 1. 치과내원환자의 성별에 따른 치과위생사 주요업무에 관한 인식에서 남자 44.1%, 여자 51%가 환자진료를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관리업무가 전체 2.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응답자의 경우는 환자관리의 업무는 중요도가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치과위생사의 불만족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자각감정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남자의 74.2%, 여자의 53.8%는 '치과위생사에 대하여 불쾌한 느낌을 받은 적이 없다'고 조사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7). 전체 응답자의 63.5%가 치과위생사에게 대하여 긍정적인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현재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임상에서도 환자위주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3. 치과위생사 근무처에 대한 인식도에 대하여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0.47로 조사 되었고 30~40대가 0.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20대가 0.29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p<.032). 또한 치과위생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0.39로 조사되었고 20~30대가 0.49로 가장 높고 10~20대가 0.2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2). 10~20대들이 치과위생사에 근무처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양질의 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하여 청소년층의 인식 변화를 시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관한 인식도를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0.69로 조사되었고 20~30대가 0.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60대가 0.61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p<.040). 5. 치과위생사 진료업무의 신임도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2.77로 조사 되었고 30~40대가 2.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20대가 2.38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치과위생사의 진료업무에 대한 신임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으므로 진료시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치과동료들 간의 협조를 통하여 치과위생사들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조사된 진료업무에 대한 신임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6. 치과위생사 행동의 긍정적인 경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3.37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50~60대가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20대와 30~40대가 3.29로 낮게 나타났다.

치과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조사 (The Opinions of Dental Related Major Students on Dental Hygienists)

  • 김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83-589
    • /
    • 202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치과 관련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과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치의학과, 치위생학과, 치기공과, 간호학과 학생들로 나누어 각 25명씩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항목으로는 일반적인 정보, 치과위생사의 의료인화에 관한 찬반과 그 이유,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 범위 및 의료행위 업무, 치과위생사 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생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빈도분석과 𝑥2-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치과위생사의 의료인화에 대한 찬반 의견으로는 찬성이 56.2%로 반대 40%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에 따라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의견은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는데, 찬성의 경우 치위생학과에서 90%로 가장 높고 간호학과에서 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법적인 업무에 대한 인식과 업무 중 의료행위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학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의 의료인화를 위한 지지와 참여를 얻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을 때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교육은 학생때부터 이루어진다면 더욱 확고한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및 선호도 변화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Chang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linical Application Experience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in Dental Hygienists)

  • 장경애;허성은;강현경;이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35-140
    • /
    • 2018
  • 본 연구는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 경험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및 선호도에 대한 변화를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와 경상 남 북도 지역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경험이 있을수록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경험은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과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은 디지털 구강스캐너 인지도와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인지도는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선호도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국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이 있을수록 그 인지도 및 선호도가 높아져 치과위생사의 업무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디지털 구강스캐너 관련 지속적인 교육과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 및 교육 요구도 (Status of dental physical therapy work and hygienists' educational needs)

  • Kim, Myoung-Hee;Jeong, Hyun-Woong;Hwang, Young-Su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15-321
    • /
    • 2022
  • 연구목적: TMJ 물리 치료를 제공하는 치과병의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 구강내과학에 수반되는 치과 물리치료의 교육내용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을 살펴보고 치위생학에서의 관련 교육의 중요도 및 수요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임상에 종사하고 있는 총 14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치과 물리치료 업무 경험 및 중요성, 관련 업무에 관한 치위생학 교육 수요도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절반에 가까운 49.3%가 치과 물리 치료 업무수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근무 영역은 주로 TMJ 자극치료 인증 클리닉이었다. 응답자 140명 중 88.6%가 '물리치료 작업이 중요하거나 중요해질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84.3%가 '치위생사에게 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물리치료의 경험이 없는(50.7%) 임상 치과위생사들에서도 치과에서 물리치료 업무의 중요성의 인지 및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치과위생사가 보다 실질적인 임상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치위생 교육과정에서의 치과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의료기사법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요구도 (The Awareness about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and Job Demand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서혜연;최유리;강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33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과 외부 병.의원 임상실습, 그리고 의료기사법(이하 의기법)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임상현실에 맞는 치위생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치과위생사의 실제 임상 업무와 현행 의기법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도구를 이용하였으며, 표본은 536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9.0K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행 의기법 객관적 인지정도는 여자(9.14±1.11)가 남자(8.56±1.79)보다 높았으며(p=0.043), 학제에 따라 인지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639), 임상실습의 횟수가 많을수록 의기법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p=0.045).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업무 현실을 반영한 융합된 법 개정이 필요하며, 치과계에서도 치과위생사를 보조 인력수준으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업무동반자라는 인식변환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 황윤정;조영식;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0-6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4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일부지역 만 20세 이상 성인 608명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는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후 치석제거 인지여부 비교에서는 '알고 있다'라는 집단이 76.9%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석제거 시술에 대한 만족도, 재 이용, 권유의사에서는 학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석제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졸 미만과 치과위생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인에게 권유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유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졸 미만과 타인에게 권유를 받았거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그리고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시행하였을 때와 치석제거 전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와 권유의사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치과위생사는 술식 전에 미리 환자와의 유대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며, 또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인 치석제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추후 치석제거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