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교정학회

검색결과 2,94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치열궁 형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 between Koreans and Egyptians)

  • 장갑수;석경은;;김윤지;김성훈;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34-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부정교합자 368명(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과 이집트인 부정교합자 94명(35 Class I, 32 Class II and 27 Class III)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 형태를 tapered, ovoid, squared의 3가지로 분류하여 두 인종 간 분포 특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이집트인은 한국인보다 대구치 간 폭경과 견치 간 폭경이 유의성 있게 좁았으며 ($p$ < 0.001), 대구치 간 장경과 견치 간 장경이 더 짧았다 ($p$ < 0.001). 이집트인에서는 3가지의 치열궁 형태가 동등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p$ = 0.46), 한국인에서는 square arch form (46.7%)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tapered arch form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18.8%). 본 연구의 결과는 기성품의 초탄성 호선을 선택할 때 인종 간의 차이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경 전후 경추골 성숙도에 관한 연구 (Maturation of cervical vertebrae in relation to menarche)

  • 이진화;강윤구;이기수;남종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8-35
    • /
    • 2009
  • 본 연구는 성장기의 여아에서 초경 전후 경추골의 발육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초경과 경추골 발육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초경 전후 1년 이내에 내원한 여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77매의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였다. 제3, 4경추의 외형을 트레이싱하고 경추 하연의 만곡도와 경추의 하연의 길이에 대한 전연의 길이의 비를 구하였다. 초경 전후의 시간적 관계에 따라 이 측정치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초경 시 제3경추 하연의 만곡도는 1.27(${\pm}0.18$) mm, 제4경추 하연의 만곡도는 1.06(${\pm}0.15$) mm, 제3경추의 하연의 길이에 대한 전연의 길이의 비는 0.73(${\pm}0.06$), 제4경추의 하연의 길이에 대한 전연의 길이의 비는 0.70(${\pm}0.05$)였다. 초경 전후 2년의 기간동안 경추골의 발육에 따라 외형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제3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하인의 길이에 대한 전연의 길이의 비, 제4경추 하연의 만곡도는 초경 전후 2년 간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제4경추 하연의 길이에 대한 전연의 길이의 비는 초경 이후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초경 전후 2년간 제3, 4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이미 나타난 후 점차 뚜렷해졌다. 경추골의 형태는 세로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나 세로보다는 가로의 길이가 긴 사각형이었다.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상의 제3경추와 제4경추의 발육 특징은 초경 전후의 여아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성장 평가를 위한 하나의 유용성이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Modification of surface pretreatment of white spot lesions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acy of resin infiltration

  • Yim, Hyun-Kyung;Min, Ji-Hyun;Kwon, Ho-Keun;Kim, Baek-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95-202
    • /
    • 2014
  • Objective: A low-viscosity resin (infiltrant) was used to inhibit the progression of white spot lesions (WSLs) and resolve associated esthetic issues. An alternative pretreatment was explored to increase the pore volume of the surface layer of the WSLs. Also, the penetration effects of the infiltrant were evaluated for various pretreatments. Methods: Sixty two artificial lesions were fabricated on bovine teeth. As a positive control, 15% HCl gel was applied for 120 seconds. Further, 37% $H_3PO_4$ gel was applied for 30 seconds using three methods. The samples were divided as follows: $H_3PO_4$ only group, $H_3PO_4$ sponge group, and $H_3PO_4$ brush group. The acid was gently rubbed with the applicators (i.e., a sponge or brush) throughout the application time.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in infiltration, twenty paired halves of specimens were treated with an infiltrant (ICON$^{(R)}$). Results: Thicknesses of the removed surface layers and infiltrated areas were evaluat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positive control and the 37% $H_3PO_4$ brush group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moved thickness (p > 0.05); however, the mean percentage of the infiltrated area was higher in the 37% $H_3PO_4$ brush group ($84.13{\pm}7.58%$%) than the positive control ($63.51{\pm}7.62%$, p < 0.001).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indicate higher pore volumes for the 37% $H_3PO_4$ brush group than for the positive control. Conclusions: Application of 37% $H_3PO_4$ with a brush for 30 seconds increased the pore volume of WSL surface layers and the percentage of infiltrated areas in comparison to the use of 15% HCl for 120 seconds.

Use of autonomous maximal smile to evaluate dental and gingival exposure

  • Wang, Shuai;Lin, Hengzhe;Yang, Yan;Zhao, Xin;Mei, Li;Zheng, Wei;Li, Yu;Zhao, Zhih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2-18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autonomous maximal smile (AMS) as a new reference for evaluating dental and gingival exposure. Methods: Digital video clips of 100 volunteers showing posed smiles and AMS at different verbal directives were recorded for evaluation a total of three times at 1-week intervals. Lip-teeth relationship width (LTRW) and buccal corridor width (BCW) were measured. LTRW represente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inferior border of the upper vermilion and the edg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for reproducibility, and the m-value (minimum number of repeated measurements required for an ICC level over 0.75), were calculated. Results: LTRW and BCW of the AMS were 1.41 and 2.04 mm, respectively, greater than those of the posed smile (p < 0.05), indicating significantly larger dental and gingival exposure in the AMS. The reproducibility of the AMS (0.74 to 0.77) was excellent, and higher than that of the posed smile (0.62 to 0.65), which had fair-to-good reproducibility. Moreover, the m-value of the AMS (0.88 to 1.05) was lower than that of the posed smile (1.59 to 1.85). Conclusions: Compared to the posed smile, the AMS shows significantly larger LTRW and BCW, with significantly higher reproducibility. The AMS might serve as an adjunctive reference, in addition to the posed smile, in orthodontic and other dentomaxillofacial treatments.

Distribution and phenotypes of hemifacial microsomia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anomalies

  • Yang, Il-Hyung;Chung, Jee Hyeok;Yim, Sunjin;Cho, Il-Sik;Lim, Seung-Weon;Kim, Kikap;Kim, Sukwha;Choi, Jin-Young;Lee, Jong-Ho;Kim, Myung-Ji;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41
    • /
    • 202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phenotypes of hemifacial microsomia (HFM)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anomali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9 Korean patients with HFM, whose charts, photographs, radiographs, and/or computed tomography scans acquired during 1998-2018 were availabl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Dental Hospital. Prevalence according to sex, side involvement, degree of mandibular deformity, compensatory growth of the mandibular body, and Angle's classific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anomal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Prevalence was not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55.0% vs. 45.0%, p > 0.05). Unilateral HFM (UHFM) was more prevalent than bilateral HFM (BHFM) (86.3% vs. 13.7%, p < 0.001). Although distribution of the Pruzansky-Kaban types differed significantly in patients with UHFM (I, 53.0%; IIa, 18.6%; IIb, 24.7%; III, 3.7%; p < 0.001),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occur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52.6% vs. 47.4%, p > 0.05). Among patients with BHFM, prevalence of different Pruzansky-Kaban type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same type on both sides (67.6% vs. 32.4%, p < 0.05). Despite hypoplasia of the condyle/ramus complex, compensatory growth of the mandibular body on the ipsilateral side occurred in 35 patients (14.1%). Class I and II molar relationships were more prevalent than Class III molar relationships (93.2% vs. 6.8%, p < 0.001). Forty-eight patients (19.3%) had other anomalies, with 50.0% and 14.4% in the BHFM and UHFM groups (p < 0.001). Conclusions: Patients with HFM require individualize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because of diverse phenotypes and associations with other anomalies.

안면골의 성장회전에 관한 연구 (VARIATION IN THE GROWTH PATTERN OF THE FACE: A LONGITUDINAL COMPUTERIZED RECTILINEAR CEPHALOMETRIC STUDY)

  • 김일봉;성재현;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3-140
    • /
    • 1985
  • Variation in the facial pattern and effect of the rotational jaw growth on the facial proportion were studied in seri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40 Korean children (25 boys, 15 girls) ranging in age from 6 to 13 years. According to Y-axis (N-S-Gn) growth change during the 7 years of period, the subject who had exhibited 'wave-like' manner of Y-axis growth change within ${\pm}\;2^{\circ}$ was classified to the Parallelwise group and the subject who had exhibited Y-axis increase more than $+2^{\circ}$ was classified to the Clockwise rotation group and the subject who had exhibited Y-axis decrease more than $-2^{\circ}$ was classified to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group. For the comparison of each group, a total of 22 morphologic variables were emplo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omputer morphometrics and statistical methods. On the basis of the finding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rends were established. 1. The Parallelwise group was $75\%$, the Clockwise rotation group was $12.5\%$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group was $12.5\%$. 2. The growth pattern of cranial base was related to the rotation of mandible. 9. Maxillary prognathism was occur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group and the rotation of palatal plane was occured in the Clockwise rotation group. 4. Mandibular prognathism was occured in the Parallelwise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groups, especially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group. 5. The degree of maxillo-mandibular divergency was constant in the Clockwise rotation group but decreas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the Parallelwise groups, especially in the Counterclockwise group. 6.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anterior upper facial height (N-ANS) and the posterior lower facial height ((Go-Me)-PN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ANS-Me) and the posterior upper facial height ((S-N)-PNS) between each group. 7. The growth increment and the size of the facial depth was not related to the growth pattern of the face but the growth increment and the size of the facial height was related to the growth pattern of the face. 8. Proportional change due to the facial growth rot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anterior lower face. 9. The most appare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was happened in the size of the posterior cranial base (S-Ba) and the facial length (S-Gn).

  • PDF

치주인대의 응력 분포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 최광철;김경호;박영철;한정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24
    • /
    • 2001
  • 원하는 형태의 치아이동을 얻기 위해서는 M/F(Moment/Force) ratio의 조절이 필요하며, 이출 위해서는 치아의 저항중심의 위치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치아주위 환경을 비교적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는 치조골상과 치아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장치를 제작하고, LVDT출 이용한 3차원 운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힘에 대한 3차원 공간상에서의 치주인대 응력 분포 양상 및 치아 저항중심과 회전축의 위치변화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견치에 원심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치아의 저항중심의 위치는 힘의 크기와는 무관하였으며, 치근의 치경부측 약 $29\%$ 부위에 위치하였다. 이는 2차원 모형($42\%$) 보다 치관 쪽에 위치한다. 2. 모멘트만 가하는 경우 치아의 저항중심과 회전축은 일치하였다. 3. 치아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증가하는 경우 방향에 관계없이 치아는 정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4. 힘이 가해진 위치, 저항중심, 회전축간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했다 (a x b = $49.6\;mm^2$). 이 관계식을 통해서 수평력이 가해질 때 예상되는 치아운동 양상을 알 수 있다. 5. 수평력이 가해질 때 회전축의 위치는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 PDF

지속적 및 간헐적 가압력이 치주인대 배양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pressure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권숙이;배성민;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9-605
    • /
    • 1997
  • 지속적 및 간헐적인 가압력이 배양치주인대 세포의 ALP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 때, 세포배양기 속의 특수제작된 사각상자에 배양접시를 넣은후 실험 기간동안 $300g/cm^2$의 압력 을 지속적으로 가한 군, 그리고 $300g/cm^2$의 압력을 10분간 가압시킨 후 10분간 가압이 중지되도록 한 간헐적 가압군, 그리고 압력을 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 실험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의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압 24시간 군에서는 간헐적 가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P<0.05). 2. 가압 48시간 군에서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ALP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가압 72시간 군에서는 지속적 가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P<0.01).

  • PDF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의 치료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N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BY FINITE ELEMENT METHOD)

  • 안석준;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9-232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를 사용한 환자의 치료 전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변화를 각 요소별로 나타내며, 이러한 변화와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앵글 II급 1류 부정 교합을 가진 73명을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각각의 치료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한 후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및 치료시작시기와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SAS ANOVA, p<0.05), 치료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이유를 보고자 두개저의 길이(Ba-N)를 기준으로 1군에서 2군으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효과와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2. 치료시작 연령과 치료효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료효과와 치료기간 사이에서는 상악체, 상악절치, 하악절치, 전안면, 전상안면, 전하안면, 하악지 등을 대표하는 유한요소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4. 유한요소 분석 결과 골격보다는 치아를 대표하는 요소의 변화가 더 컸다. 특히 상악절치의 위치, 하악절치의 위치, overbite 등을 나타내는 요소의 변화를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5.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개저 (Ba-N)의 길이를 중심으로 유한요소로 분석 한 결과 두군사이에 골격 및 치아의 위치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료결과가 나쁜 군에서 상악의 후하방 회전, 하악의 후방위치, 상악전치의 상대적인 설측경사, 하악절치의 상대적인 순측경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발육중인 생쥐 하악 과두에서 연골 및 골의 특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RNAs characteristic of cartilage and bone in the developing mandibular condyle of mice)

  • 지국섭;윤영주;박주철;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52
    • /
    • 2004
  • 하악과두 연골이 발생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발생 16, 18일과 출생 1일, 5일, 10일, 20일 및 30일 후의 ICR생쥐의 하악과두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고, 생쥐 I형, II형, X형 교원질, Indian hedgehog (IHH) 및 BMP-4 등의 mRNA 발현을 in-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1. 생쥐 I형 및 II형 교원질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 및 성장과정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I형 교원질 mRNA는 휴지층과 증식층의 상부에서 관찰된 반면 II형 교원질은 휴지층과 증식층 그리고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관찰되었다. 2. 하악과두 연골은 성장에 따라 비대연골층이 계속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비대 연골층의 세포들은 특징적으로 X형 교원질 mRNA의 발현을 보였다. 3. BMP-4 mRNA는 하악과두 연골 원기와 골화중인 하악골체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4. IHH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과정에서 증식 연골층의 하부와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