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면체형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20대 남성의 상반신 측면형태에 따른 치수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Changes of Men in the 20′s - Focusing on the Lateral View of their Upper Bodies -)

  • 곽연신;김애린
    • 복식
    • /
    • 제54권2호
    • /
    • pp.149-165
    • /
    • 2004
  • In this study, the photographic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men in the 20's were made. and pattern making professionals visually evaluated their side photos to classify lateral views. These data were analyzed by being compared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select objective standards, and body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lected standard. In addition, body features were defined according to lateral views based on measurement items and indices, and standard lines and determining factors for visual evaluation which determines lateral views were revealed. Back length - front length size smaller than 1.5cm was named as the lean-back type, 1.5∼3.9cm was named as the straight type. and that larger than 3.9cm was named as the bend-forward type. In the straight type, the bisection point of waist depth was located at a similar place to tragion level vertical line. In the lean-back type, the point was at the front of tragion level vertical line. In the bend-forward type, the point was at the back of tragion level vertical line.

청년기 여성의 하반신 체형에 관한 연구-직접계측항목으로 분류한 하반신 체형 유형과 둔부의 측면.후면 유형과의 대응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ng Aged Womens Lower Body Types-correspondence Lower Body Types by Direct Measurements with Side and Back View Types from Waistline to Gluteal Furrow Line-)

  • 문명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420-1431
    • /
    • 2001
  • This research was done to classify lower body types by direct measurements, side and back view types from waistline to gluteal furrow line individually, and to analyze correspondence these lower body types with side and back view types from waistline to gluteal furrow li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18 to 25 years old residing in Pusan urban area. Type 1(long and slim) of lower body types by direct measurements was correspond with Type 1(slim curve) and Type 4(slim and protrusive hip) of side view and Type 3(wide and curve) and Type 4(trapezoid shape) of back view. Type 2(short and thick) of lower body types was correspond with Type 3(thick and droopy hip) of side view and Type 1(wide and straight) of back view. Type 3(short and slim) of lower body types was correspond with Type 2(slim and flat hip) of side view and Type 2(narrow and curve) of back view.

  • PDF

20대 남성 체형 연구(제2보) -측면 체형 분류- (A Study of Body Shapes of Korean Males in their Twenties(part 2) - Classification of Lateral Body Shapes -)

  • 석혜정;김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0-27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wenties males'lateral body shapes into a few representative types and to give each type a name to symbolize its typical shape clearly .297 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anthropometric and 31 photographic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each subject. The data were reduced to 7 factors. The factor score composing the lateral body shapes was classified into 3 clusters. As the result the lateral body shapes of the males were classified into I, S, types.

한국 성인용 표준 휠체어의 인간공학적 설계 (Ergonomic Design of Standard Wheelchair for Korean Adults)

  • Lee, Sang-Do;Yoo, Byung-Chul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4-98
    • /
    • 1993
  • 본 논문은 신체 발육이 정상 성인으로 성장한 후 후천적인 신체의 장애 즉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으로 일시적 장애자에 적합한 표준형 휠체어의 표준 규격을 설정하였다. 또한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검토 분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한국인 체형에 적합한 휠체어 제작에 기여하고 또한 좀더 나은 활동으로 사용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제작 보급되고 있는 휠체어의 규격을 측정하고 본 연구에서의 인체측정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좌위 유지나 휠체어의 쾌적성, 보조자의 휠체어의 조작등에서 사용자의 심리적, 감각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인 체형에 알맞고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표준형 휠체어를 설계하였다.

  • PDF

성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과 염상처리를 이용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분석 (Analysis of Lower Somatotype on Adult Women and Appearance Analysis of Flare Skirts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 이수정;홍정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2-258
    • /
    • 1999
  •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체계측을 실시하여 직접 계측치와 지수치를 이용하여 주축요인분석을 한 결과 도출된 인자를 독립변수로 군집분석을 한 하반신 체형변인과 직물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착용실험을 한 결괴는 다음과 같다. 1.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형상 분석 결과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드레이프 면적과 드레이프 계수는 드레이프의 면적이 크면 드레이프 계수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직물의 노드수는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많이 형성되고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지수 값은 작은 값을 가진다. 노드지수 값이 크면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나고 작으면 노드의 고저가 불균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인체 측정치수의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 허리너비와 엉덩이너비의 차이 값이 큰 마름모형 체형변인에서 노드수는 많이 나타나고 노드지수 값은 작게 나타났다. 통형에 가까운 체형변인은 노드지수가 큰 값을 나타내므로 노드의 고저가 균일하게 나타났다. 직물의 노드수가 많으면 노드산 평균은 낮고, 노드지수 값이 큰 반면 노드수가 작으면 노드산펑균이 높으므로 노드산과 곡의 고저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적정의 중량을 가지지 않으면 노드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의복 외관의 좋은 외관형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결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2.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면의 최대횡경은 인체측정값의 너비항목과 최대종경은 두께항목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면비의 값이 크면 최대횡경의 값이 크고 최대종경의 값이 작은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형상이 나타나고, 단면비의 값이 작으면 최대횡경 값이 작고 최대총경 값이 큰 원형에 가까운 단변형상으로 나타났다. 3.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형상 분석 결과 정면처짐분은 둘레항목, 너비항목 시아항목의 차이 값이 작을수록,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비교해 보면 기혼여성의 체형이 너비, 둘레항목사이의 치어 값이 적기 때문에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측면처짐분은 인체측정값의 두께항목과 상관이 깊어 앞부분은 배두께가 클수록, 뒷부분은 엉덩이두께가 클수록 처짐분량이 크게 나타났다. 후면처짐분은 정면과 같이 S시료에서 드레이프성이 좋을수록 처짐분이 크고, 엉덩이너비는 크고, 엉덩이두께가 작올수록 처짐분이 크게 나타났다. 4. 플레어 스커트의 3차원 입체형상은 외관형상의 굴곡이 낮아 평평할 수록 이미지의 평균값은 높고 편차는 낮게 나타났다. 체형변인에 의한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 형상을 정면, 측면, 후면에서 이미지 값 분포로 비교해 보면 정면, 후면보다 측면의 외관이 평활하여 이미지 분포폭이 좁게 나타나고 최빈값을 중심으로 회색에 가까운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불 수 있다. 5. 체형변인에 따른 플레어 스커트의 주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법으로 얻은 결과를 3차원 업체형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6개의 영역을 측정한 결과 플레어 스커트는 체형유형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주름의 수와 주름강도가 다르게 나타나 위 아랫부분의 주름폭은 차이가 있었다. 위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려올수록 주름높이 폭은 커졌다. 그러므로 주름의 높이와 플레어 스커트의 헴라인 단연형상의 노드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름의 높이가 높으면 노드 각도는 작은 값을 보이고, 주름의 높이가 낮으면 노드각도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중년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Torso Patterns for Middle Aged Women)

  • 이진희;조현정
    • 복식
    • /
    • 제51권8호
    • /
    • pp.111-121
    • /
    • 200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상반신을 대상으로 기존원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이를 기본으로 제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상반신 토루소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35세에서 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으며, 45세를 전후로 체형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 전기(35세∼45세), 중년 후기(46세∼59세)로 나눠 연구하였다. 연구원형 제작을 위해서 97년 국민체위조사보고 자료에 나온 35세∼59세에 해당하는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원형을 설계하고 이를 CADsystem을 이용하여 각 Pattern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 4가지 원형의 실험복을 제작하여 착의 실험을 통해 객관적 평가 11항목, 주관적 평가 23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연구원형을 제작하였고 제작 후 연구원형의 신체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원형과 마찬가지로 착의 실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원형들이 착용시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으로 인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관상으로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량이 중년여성 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역시 중년여성의 체형과는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중년 전기에 비해 중년 후기에서 수정 보완이 더 요구되었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등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으로 인해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들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져 뒤 허리부분의 수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연구원형에서는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앞목기준선을 위로 2cm 올려 주었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을 각각 2cm더 주어 제작하였으며 중년 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뒤허리부분의 문제점을 허리중심선 설정시 1∼2cm안쪽으로 설정하여 체형변화를 반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원형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착의 평가 결과는 착용시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이 없어지고 외관상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이 기존원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전·후기 모두 기존원형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중년여성의 상반신 측면체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Properties of Upper Body Somatotype of Lateral View for Middle-aged Women)

  • 김소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9
    • /
    • 2003
  • The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well-fitted clothes for middle-aged women. The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the upper body of lateral view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4 postures, straight posture, leaning back posture, bent forward posture, and swayback postur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front of leaning back posture was longer and wider than that of straight posture, and its front neck depth was deeper. Its front interscye breadth was wider and back interscye breadth was narrower. S.N.P. B.P. front waistline length, waist front length, front diagonal length, chest shedder length, front waistline shoulder line length were longer, and S.N.P. scapular back waistline length, back length, back shoulder length, back diagonal length, shoulder line back waistline length were shorter. On the contrary, the front of bent forward posture was shorter and narrower than that of straight posture, and its back neck depth was deeper. The properties of swayback pos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bent forward posture. Its front was shorter and narrower, but the results of front neck depth and back neck depth were like those of straight posture.

노년 여성의 몸통 측면 자세에 따른 체형 판별 (Discrimination of Lateral Torso Types by Posture for Older Women)

  • 박선미;한현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5-4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objectively classify the lateral torso posture types and functions of older women. We used 3D body scan data of 119 women aged 70-85 years from the 6th SizeKorea project. First, we defined three torso axes to represent the lateral torso posture types: posterior waist-back, back-cervical, and whole torso axes. Next, we asked experts to select one of four lateral torso posture types-stooped, straight, leaning back, and swayback postures-by looking at the lateral photographic data of 119 older women. To identify the axis that best represented each lateral torso posture type, a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ngle of each of the three torso ax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n expert's visual classific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analysis, the whole torso and backcervical axis angl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for judging lateral torso posture types. Subsequently, we developed a classification function to determine which of the four lateral torso posture types of a particular participant was applicable for a new individual.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the objective classification of the lateral torso postures types of older women.

20대 남성의 피하지방 분포경향에 관한 연구

  • 김기엽;박명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7-105
    • /
    • 1997
  •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신체의 활동량 감소, 과잉 영양공급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체형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형을 변화시키는 여러 요인 중에서 피하지방으로 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 피하지망 계측기를 사용하여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19 .approx. 24세를 집단1, 25 .approx. 28세를 집단2로하여 각 집단간의 피하지방 분포경향과 각 집단간의 피하지방 계측피를 요인분석하여 남성복 의복제작 및 현대남성의 올바른 체형해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피하지방이 침착하기 쉬운 부위는 허리앞1/2과 배앞 1/2로 나타 났고, 피하지방이 침착하기 어려운 부위는 하퇴전면으로 나타났다. 피하지방두께 계측에서 집단간 유의 차 검증결과 20대 후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폭으로 지방침착이 일어났다. 집단1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1은 허리부위, 요인2는 체간부1/2과 체간부 측면부위로 나타났다. 집단2의 요인분석결과 요인 1은 윗가슴부위와 허리부위, 요인2는 전체적부위로 나타났다. 전체집단에서는 요인분석결과 요인1은 상 지, 하지부위, 요인2는 허리부위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와 함께 피하지방 침착이 체간부 하부인 허리 와 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고생(16~18세)의 체형 분류(II) -측면 및 전신체형 분류-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 Girls` Body Shapes(II) -Lateral and Whole Body Shapes-)

  • 장혜경;김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5호
    • /
    • pp.152-164
    • /
    • 1999
  • As the latter part of th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girls\` body shapes,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high school girls\` lateral body shapes and by combining the result with that of the authors\` precedent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ir frontal body shapes, to classify the whole body shapes into presentative clusters. Subjects consisted of 205 high school girls in Kwangju aged 16 through 18 years. 55 anthropometric and 29 photographic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each subject. For more effective data analysis, these measurements were tansformed into some calculated indexes. These indexes were reduced to 8 factors and these factors classified the lateral body shapes into 3 clusters. The compound types of the whole body shapes resulting from frontal and lateral body shape analysis resulted in 9 representative cody typ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