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두 규격방사선사진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1초

측두 규격방사선사진 촬영시 두부의 위치변화가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ENLARGEMENT RATIOS DUE TO CHANGES OF HEAD POSTURE ON LATERAL HEADFILMS)

  • 서영훈;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5-194
    • /
    • 2001
  • 측두 규격방사전사진 촬영시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수직회전 그리고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피사체의 수평회전에 따른 확대율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직회전 및 수평회전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입체적 기구를 제작하여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현상된 필름 상에서 선계측치 및 각도계측치에서의 확대율, 그리고 피사체의 정중시상면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적인 해부학적 구조물 간의 거리차에 의한 확대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시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부 고정장치의 양측 귀꽂이를 중심축으로 한 수직회전은 모든 계측치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중시상면의 수평회전이 커질수록 수평계측치에서는 대체로 확대율의 감소가 커지는 반면. 필름 우측의 수직계측치에서는 확대율의 점진적인 증가가, 좌측의 수직계측치에서는 확대율의 점진적인 감소가 나타나며, 동일한 회전량일 때 수직계측치에서보다 수평계측치에서 대체로 더 큰 차이가 나타나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의 촬영 시에는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과의 평행관계 유지의 중요성과 함께 피사체의 수평회전의 정도에 따른 필름의 부위별 확대율 변화의 유형을 숙지해야 할 것으로 가늠된다.

  • PDF

측두하악관절의 개구성 과두걸림 환자의 골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Skeletal Factors Related to Open Loc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남지나;이정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67-274
    • /
    • 2013
  •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의 개구성 과두걸림과 골격적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개구성 과두걸림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두부방사선 사진과 횡두개촬영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두개골의 골격적 특성 및 관절 융기의 기울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개구성 과두걸림 환자를 환자군으로 하고 개구성 과두걸림은 없지만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 기준(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RDC/TMD) Axis I에 따라 측두하악장애으로 진단된 환자를 측두하악장애 환자군, 개구성 과두걸림과 측두하악장애가 모두 없는 정상 환자를 정상군으로 설정하고 순차적으로 수집된 환자군 50명과 성별 및 연령이 일치하도록 무작위로 측두하악장애 환자군과 정상군, 각각 50명의 임상기록을 선별하였다.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절염이나 외상의 병력, 악안면 기형, 악안면 수술 병력이 있는 환자는 모두 제외하였다. 세 군의 측두두부규격방사선 사진과 횡두개촬영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골격적 특성과 관절 융기의 기울기를 측정하였다. 두개골과 하악과의 골격적 특성을 나타내는 측두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한 결과 개구성 과두걸림이 있는 환자군에서 하악의 전후방적 위치를 나타내어주는 saddle angle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개골에 대해 하악이 더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횡두개촬영 방사선 사진상에서는 개구성 과두걸림 환자군이 측두하악장애 환자군과 정상군보다 관절융기의 기울기가 더 크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개골에 대해 측두하악관절이 더 전방으로 위치하고 관절 융기가 더 급한 경사를 가질 경우 개구성 과두걸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RDC/TMD Axis I 진단에 따른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측두 두부방사선적 특징에 관한 연구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MD Patients based on RDC/TMD Axis I Diagnosis)

  • 안지연;김용우;김영구;이정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의 연구 진단 기준(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RDC/TMD)을 이용하여 구분된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의 골격적 양상과 TMD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교정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RDC/TMD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내원한 여성 환자들의 의무 기록 및 방사선사진을 검토하였으며 환자의 연령이 18세 미만이거나 전신 질환, 골격적 기형 또는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외상 병력이 있는 경우는 제외되었다. 총 96명의 여성 환자로부터 얻은 RDC/TMD Axis I 을 포함한 임상 검사 결과와 측방 두부규격방사선사진 (lateral cephalogram), 파노라마 방사선사진(panoramic radiograph) 및 횡두개 방사선사진(transcranial radiograph)을 이용한 방사선적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RDC/TMD를 이용하여 집단을 분류한 후 측방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의 각도 및 길이 요소들을 계측하여 안면의 골격 관계, 상하악 관계 및 치열 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및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육 문제를 진단하는 RDC/TMD Axis I 의 제 1 군 측두 두부방사선적 특징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2. 관절원판 변위를 임상적으로 진단하는 제 2 군에서는 개구 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가 있는 경우 관절원판 변위가 없는 정상 집단에 비하여 articular angle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관절통, 관절염 및 관절증을 진단하는 제 3 군에서는 articular angle, FMA, Bjork sum, posterior facial height 및 facial height ratio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TMD 진단군과 골격적 양상 사이의 관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RDC/TMD Axis I 각 군을 양분법적으로 분류한 뒤 동일 한 방식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제 1 군에서는 overjet, 제 2 군에서는 articular angle, facial height ratio 및 IMPA, 마지막으로 제 3 군에서는 articular angle, gonial angle, facial convexity, FMA, Bjork sum, posterior facial height, facial height ratio 및 ANB angl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RDC/TMD Axis I 을 이용하여 진단된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의 골격적 양상과 TMD 사이의 연관성 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RDC/TMD Axis I 임상 진단에 따라 진단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제 2 군과 제 3 군의 환자들에서 측두하악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으로 인한 골격적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RDC/TMD Axis I은 교정 전 혹은 교정 치료 진행 중에 임상 검사 및 일반 방사선사진으로부터의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정 치료 중 고려하여야 할 TMD 환자를 감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의 측방변위와 두개관형태 사이의 연관성 (RELATIONSHIPS BETWEEN MANDIBULAR LATERAL DEVIATION AND MORPHOLOGY OF THE CRANIAL VAULIT)

  • 신상욱;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94-606
    • /
    • 1996
  • 저자는 하악골의 측방 변위를 보이는 악안면 비대칭증례에서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두개부 형태와 악안면부의 비대칭성과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하악골의 편위정도는 평균 $-3.12{\pm}3.80$ 이며 절대치의 평균은 $2.50{\pm}2.82$ 이였다. 2.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비편위측과 편위측에 대한 유의성 검정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그 차이의 평균은 전두부(Y10, Y9, Y8, Y7, Y6)에서는 편위측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측두부(Y5, Y-1, Y-2, Y-3, Y-4, Y-5, Y-6)에서는 비편위측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3.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술전의 하악골의 평균 편위는 $1.3983{\pm}3.521$ 이며 절대치의 평균은 $3.95{\pm}2.85$ 이였다. 4.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수술에 의한 변화량 (PT2A-PT1A) 에 대한 재발량(PTLA-PT2A)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수술에 의한 이동량이 많을 수록 재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하악골 편위정도에 대하여 두개관 형태(비변위-변위차이)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변위가 클수록 전두부에서는 비변위측이, 후두부에서는 변위측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6. 정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골의 변위 정도에 대한 두개관(비변위-변위)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Y4(P<0.05), Y3, Y2, Yl, 0, Y-1, Y-2, Y-4, Y-6(P<0,01), Y-5(p<0.001) 등의 위치에서 하악골의 변위 정도가 클수록 비변위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7. 정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골 재발에 대한 두개관(비변위-변위)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P>0.05), 측두부에서는 비변위-변위 차이가 클수록 재발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수면다원검사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이용한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Treatment Outcome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Polysomnographic and Cephalometric analyses)

  • 김성헌;김이비;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203-21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표준 수면다원검사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분석을 이용하여 하악전방이동 장치의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27명의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측두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 및 계측점을 이용하여 SNA, ANB, $AH{\bot}MP$, AH-C3, SPT, PNS-U, NAS, SOAS, MOAS, HAS 등을 분석하였으며,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제작하여 장치 장착 전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장치 장착 전후 수면무호흡지수, 산소포화도, 각성지수 등을 비교하였고 무호흡-저호흡지수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 계측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하악전방이동장치 장착 전후 전체 수면무호흡지수, 최소 산소포화도 및 전체 각성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또한 장치 장착 전후 NREM수면에서 산소분압과 무호흡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던 반면 REM수면에서는 산소분압과 무호흡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없었다. 장치 장착 전후 수면의 단계에서 stage I의 유의한 감소, stage II와 REM수면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stage III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두부규격방사선사진 계측치중 SNA와 SOAS가 전체 수면무호흡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NAS는 앙와위 수면무호흡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하악전방이동장치의 효과는 환자의 ANB 각도가 클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표준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 장착 전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하악전방이동장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분석은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III급 부정교합을 지닌 $6\sim14$세 아동의 중두개저각에 따른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특징: 측두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한 횡단누년적 연구 (A CROSS-SECTIONAL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N CRANIOFACIAL SKELETAL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 AGED 6 TO 14 WITH CLASS III MALOCCLUSIONS)

  • 박수배;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5-145
    • /
    • 2000
  • 부정교합의 분류가 치아의 위치적 관계에 의해 구분되면, 동일한 집단에 속하더라도 이들의 안면두개골은 서로 다른 구조적 관계를 지니고 있어 이들을 동일시 할 수 없으며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특징에 의한 분류가 필요하다. 저자는 $6\sim14$세 사이의 III급 부정교합 아동 135명의 측두방사선규격사진을 7, 9, 11, 13세의 연령으로 구분한 후, 중두개저각 $40.3^{\circ}$를 기준으로 이보다 작은 집단(하악전돌효과군)과 큰 집단(하악후퇴효과군)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특징을 횡단 누년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모집단의 39.3%가 하악전돌효과군으로, 60.7%가 하악후퇴효과군으로 나타났으며, 두 개저, 비상악복합체 상악골 및 하악골의 전후방적 길이 그리고 전안면높이와 후안면높이 등의 수직적 길이가 하악후퇴효과군에서 크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많은 수가 좁고 긴 얼굴형 (leptoprosopic faceform)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으며, 두 군간에는 형태적, 구조적인 차이와 함께 시기적으로도 각기 다른 성장양태를 보이는 것으로 가늠된다.

  • PDF

악관절규격촬영시 적절한 입사각의 결정 및 재현성의 평가 (DECISION OF PROPER PROJECTION ANGLE AND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IN TRANSCRANIAL RADIOGRAPH)

  • 류정수;최순철;이상한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99-107
    • /
    • 1991
  • 저자는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기에서 건조 두개골 10개의 basal view와 lateral view상에서 측두골의 추체와 접형골의 후상상돌기가 악관절부위에 중첩되지 않는 수평면과 수직면에서의 입사각을 구하였고 Denar사의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하고 고정장치와 cephalostat를 사용하여 촬영된 방사선사진의 재현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심방사선의 입사각은 수직면에서는 24.5±4.1°, 수평면에서는 3.0±5.7°였으며 재현성을 검정하기 위해 건조두개골의 악관절부위에 임의의 3점을 계측하였든 바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한 고정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4.60±0.25㎜, AC간의 거리 16.76±0.27㎜, BC간의 거리 8.79±0.18㎜이었고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9.03±0.14㎜, AC간의 거리 19.95±0.24㎜, BC간의 거리 10.08±0.0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은 상당히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 더욱 재현성이 좋았다.

  • PDF

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측두하악관절 단층방사선사진 계측치간의 상관관계 (Relation of the measuring values in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TMJ tomographs)

  • 한진우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1호
    • /
    • pp.19-26
    • /
    • 2007
  • Purpose : To examine whether the maxillofacial skeletal morphology correlates with the condylar position and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of articular eminence using measurement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individualized sagittal temporomandibular joint (TMJ) tom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 I compared measurements of 202 TMJs of 101 orthodontic patients of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1 used Pearson's correlation for comparison of the measuring values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individualized sagittal TMJ tomographs. Results : Large occlusal plane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width of posterior eminence slope,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and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Large mandibular plane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superior joint space,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and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Large genial angle tendency showed de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de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and anterior position of condylar head. Large anterior facial height and large posterior facial height tendency showed increased width of posterior slope of eminence, increased depth of articular fossa, increased posterior slope angle of eminence and posterior position of condylar head. Conclusion : Maxillofacial skeletal morphology has correlation with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of TMJ. Individualized sagittal TMJ tomograph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natomical analysis of TMJ.

  • PDF

I급과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어린이의 두개저의 성장변화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CRANIAL BASE AND FACIAL STRUCTURES IN CHILDREN WITH CLASS I AND III MALOCCLUSIONS AGED FROM 7 TO 12 YEARS : A CEPHALOMETRIC STUDY)

  • 이미숙;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5-105
    • /
    • 2001
  • 두개저의 길이와 폭경 그리고 굴곡의 정도는 그 하부 구조물인 상악골을 포함한 비상악복합체 및 하악골의 길이와 폭경 그리고 전후방적 위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역할하며, 이에 따른 안면골의 다양한 구조물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각기 다른유형의 부정교합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측두방사선 계측학에서 두개저의 열리고 닫힘을 표현하는 계측치로 흔히 사용되는 안장각(N-S-Ba, N-S-Ar) 또는 중두개저각$({\angle}MCF)$ 등과 I급과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어린이들의 안면골 계측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평가하여 두개저의 굴곡정도가 안면골을 구정하는 각 구조물과 부정교합 유형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sim12$세 사이의 I급과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어린이의 측두 규격방사선사진(208매)을 계측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평가한 결과, 안장각보다는 중두개저각이 안면골의 구조과 부정교합의 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III금 부정교합 어린이의 중두개저각과 안면골의 각 구조물들은 $9\sim11$세 사이에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늠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