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계통군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ene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Japanese and Chinese-Taiwanese Dendrobium moniliforme (L.) Sw. (한국-일본과 중국-대만 석곡의 유전적 차이)

  • Kim, Young-Kee;Kang, Kyung-Won;Kim, Ki-Jo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2
    • /
    • pp.145-157
    • /
    • 2015
  • The nucleotide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and chloroplast rbcL, matK and psbA-trnH regions of 30 individuals of Dendrobium moniliforme from several localities in four countries and 28 related species of Dendrobium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fferences among Korean, Japanese, Taiwanese and Chinese D. moniliforme, an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D. moniliforme, which is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East Asia. A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Korean D. moniliforme and Japanese D. moniliforme form a monophyletic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ir nucleotide sequences. This confirms that they are the same species. However, the Chinese and Taiwanese D. moniliforme were polyphyletic. Various species related to D. moniliforme were located between the Korean-Japanese D. moniliforme and the Chinese-Taiwanese D. moniliforme, and other related species were found between individuals of Chinese-Taiwanese D. moniliforme. D. moniliforme is described in Japan, providing evidence that the Korean-Japanese D. moniliforme is the original species. In addit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Chinese-Taiwanese D. moniliforme complex is a mixture of a range of other speci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taxonomic identity of this species. In the Korean-Japanese D. moniliforme, there were almost no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localities, whereas the genetic heterogeneity was high among individuals of the Chinese-Taiwanese D. moniliforme.

Systematics of Korean Thalictrum L. based on a morphological cladistic analysis (형태학적 분계분석에 의한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

  • Park, Seongjun;Park, Seon-Jo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2
    • /
    • pp.89-99
    • /
    • 2009
  • We used Maximum parsimony and Neighbor-joining to investigat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genus Thalictrum in Korea with 39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plant materials were used for ingroup 21 taxa and outgroup 1 taxon including a Korean endemic plant. This study confirmed that Sect. Thalictrum and Sect. Camptonotum formed monophyletic group by 100% and 83% bootstrap values respectively, and Sect. Camptonotum appeared to be Sect. Thalictrum's sister group. Sect. Erythrandra and Sect. Physocarpum formed paraphyletic groups. Sect. Physocarpum except T. osmorhizoides appeared to be polytomy. Sect. Tripterium and Sect. Omalophysa formed an independent clade. The shape of stamen is the important character representing the phylogenetic pattern of the genus Thalictrum; the bat and filiform types might be derived from clavate type. The pollination patterns (entomophily, anemophily), and presence of calyx at flowering time may also be related to the evolution of the Thalictrum flowers.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획과 설계Ⅶ

  • 이순형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05
    • /
    • pp.23-26
    • /
    • 2008
  • 이번호에서는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파워컨디셔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컨디셔너는 크게 태양전지의 직류출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부와 계통측에 이상 등이 발생할 때 장치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계통연계 보호장치부로 구성된다. 인버터는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데 비하여 그동안 그 선정이나 적용사례를 보면 너무나 단순하게 선정되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레이 구성에 따른 군 단위 계획의 방향에 따라 인버터 용량과 제어방식이 정해지게 되는데 국내의 경우 대부분 특정 인버터에 맞추어 설계를 진행해 버리는 경우가 아주 많다. 메이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시설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정하도록 선정함으로써 최대 효율과 안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곳에 모든 기술적인 내용을 소개할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이 자료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정리해 보겠다.

  • PDF

전력기술.정보-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획과 설계Ⅶ

  • 이순형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06
    • /
    • pp.19-23
    • /
    • 2008
  • 이번호에서는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파워컨디셔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컨디셔너는 크게 태양전지의 직류출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부와 계통측에 이상 등이 발생할 때 장치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계통연계 보호장치부로 구성된다. 인버터는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데 비하여 그동안 그 선정이나 적용사례를 보면 너무나 단순하게 선정되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레이 구성에 따른 군 단위 계획의 방향에 따라 인버터 용량과 제어방식이 정해지게 되는데 국내의 경우 대부분 특정 인버터에 맞추어 설계를 진행해 버리는 경우가 아주 많다. 메이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시설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정하도록 선정함으로써 최대 효율과 안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곳에 모든 기술적인 내용을 소개할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이 자료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정리해 보겠다.

  • PDF

Phylogenetic study of the section Adonanthe of genus Adonis L. (Ranunculaceae) based on ITS sequences (ITS 염기서열에 의한 복수초속 복수초절(미나리아재비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Son, Dong Chan;Park, Beom Kyun;Ko, Sung 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6 no.1
    • /
    • pp.1-12
    • /
    • 2016
  • DNA sequences of nrITS regions obtained from 49 accessions represent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within the section Adonanthe of the genus Adonis were analyzed to test the previous intra-se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determin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ven accessions of A. amurensis Regel et Radd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did not form a monophyletic group, as some of the accession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endemic species A. ramosa Franch., which implies that the current species delimit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amurensis is problematic. Adonis pseudoamurensis W. T. Wang, which is frequently misidentified as A. ramosa in Korea, formed a segregated group, which suggests that they should not be considered as conspecific taxa. Accessions from A. shikokuensis Nishikawa et Koji Ito, A. multiflora Nishikawa et Koji Ito, and A. pseudoamurensis formed a clade, but monophyly of each species was not evident. The nrITS data did not support the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by Wang, who classified sect. Adonanthe into four series, as most of these were found to be either polyphyletic or paraphyletic.

A taxonomic note of the genus Lilium section Martagon in Korea (한국산 백합속(Lilium) 내 말나리절의 분류학적 검토)

  • Song, Ji-Hee;Lee, Woong-Bi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1
    • /
    • pp.46-50
    • /
    • 2017
  • The genus Lilium comprises about 100 species and is a major element of the family Liliaceae in temperate region of North Hemisphere. In the light of recent studies on the genus, we tried to examine the taxonomy of three Korean species (L. hansonii, L. tsingtauense, and L. distichum) belonging to section Martagon. The four available chloroplast regions (rbcL, matK, ndhF, and atpB) in Lilium spec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a maximum likelihood phylogeny. As a results, three Korean species of section Martagon formed a monophyletic group. However, they nested within paraphyletic section Sinomartagon. Further, the discussions on taxonomic affinities of Korean species have made based on comparison between topology of phylogenetic tree and morphology.

Effect of Vanadium Addition on the Cavitation Erosion Resistance of Fe-Cr-Ni-Si-C Hardfacing Alloy (Fe-Cr-Ni-Si-C계 경면처리 합금의 Cavitation Erosion 저항성에 미치는 Vanadium 첨가의 영향)

  • 김경오;김준기;장세기;김선진;강성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11a
    • /
    • pp.72-72
    • /
    • 1998
  • 원자력발전소 1차계통내 밸브의 경면처리(hardfa따1잉에 사용되는 재료는 $90~343^{\circ}C$의 고온과 높은 접촉응력 그리고 급격한 압력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마모성과 내식성 그리고 cavitation erosion 저항성이 우수한 Co계 Stellite 합금이 현재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Co가 원력발전소 1차계통의 방사선장을 형성하는 주요 원소로 알려지면서 S Stellite 합금을 대체할 수 있는 Fe계 경면처리용 합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Fe계 경면처리용 합금의 개발은 적절환 팝금원소를 첨가하여 적충결함에너지를 낮춤 으로써 전위의 교차슬립을 억제하여 표면을 경화시키고, 소성변형을 억제하여 마모저항성을 향상시키려는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Cr-Ni-Si-C 합금에 Fe계 합금의 적충결함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vanadium을 0, 1, 2wt%첨가하여 첨가량의 변화가 cavitation erosion 저항성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avitation erosion 실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vibratory type으로 A ASTM G-32 규격에 따라 제작된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25{\pm}2^{\circ}C$의 온도의 증류수 속에 잠긴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시면은 지름 16mm, 두게 7mm의 버턴형태로 vanadium 첨가량을 변화시킨 조성을 아크 용융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hom끝단부에 부착하여 cavitation e erosion 저항성 살험을 하였다. 시편의 cavitation erosion 실험시간에 따른 무게감소량을 측 정하였으며 cavitation erosion 시킨 시편의 표면을 SEM으로 관찰하였다.겨지는 열전달 매체액 과 신규 부식억제제가 적용된 시스템 등 객관적으로 확인된 부식억제제 시스랩에 대 하여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KSM 2142에 의한 무게감량법, 분극곡선 측정에 의한 $E_P$(공식개시전위), $E_R$(재부동태화전위) 측정, 시간에 따른 자연전위 변화 측정 빛 이때의 부식속도(선형분극법), 인위적인 피막 파괴 전,후 의 전위 변화 및 부식속도 측정법에 의한 국부부식 발달 저지능 등을 평가하여 각 실험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수록 민감하여 304 의 IGSCC 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 본 강연에서는 304 와 600 의 고온 물에서 일어나는 IGSCC 민감도에 미치는 환경, 예민화처리, 합금원소의 영향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식 방법을 다룬다.다.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

  • PDF

The Measurement of Blood Loss and Its Effect on Red Cell Survival Studies with $^{51}Cr$ (실혈(失血)이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 측정(測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Mun-Ho;Lee, Jung-Sang;Koh, Chang-Soo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4 no.1
    • /
    • pp.27-36
    • /
    • 1970
  • 적혈구(赤血球) 수명의 측정에는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이 임상적(臨床的)으로 이용(利用)되고 있으며 이는 이론상(理論上) steady state 즉(卽) 측정기간(測定期間)동안 순환(循環) $^{51}Cr$량(量)-적혈구량(赤血球量)이 일정(一定)할 때에 한(限)하여 유효(有效)하며 unsteady state 때는 true red cell survival을 알기 위하여서는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要因)에 대하여 각각(各各) 교정(校正)해 줄 필요(必要)가 있다. 이 요인(要因)중에 특히 실혈(失血)로 인(因)한 영향에 관(關)하여는 계통적인 연구(硏究)가 적다. 이에 저자(著者)들은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을 이용(利用)하여 실혈(失血)이 적혈구(赤血球) 수명측정(測定)에 미치는 영향을 인체(人體)에서 실험 관찰하여 몇가지 성적을 얻었다. 연구대상(硏究對象)은 총(總) 56명(名)의 청장년(靑壯年)으로 급성실혈군(急性失血群)과 만성실혈군(慢性失血群)으로 구분(區分)하여 급성실혈군(急性失血群)은 위장출혈등(胃腸出血等)이 없는 2대(代)의 의대생(醫大生)으로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을 사용하여 적혈구(赤血球) 수명을 측정하는 동안($10{\sim}14$ 일간(日間)) 1일당(日當) 10ml(6명(名)), 25ml(4명(名)), 50ml(4명(名)), 75ml(4명(名)), 100ml(6명(名))를 각각(各各) 사혈(瀉血)한 군(群)과 10일간(日間) 1,000ml를 사혈한 군(群) 즉 200ml씩 5회(回)(4명(名)), 500ml씩 2회(回)(4명(名))로 세분(細分)하였으며 만성실혈군(慢性失血群)은 직업적인 공혈자(供血者)로 반복사혈로 생긴 9명(名)의 빈혈자와 십이지장충증(十二指腸蟲症)에 감염(感染)되어 구충(驅蟲)한 중등도(中等度)의 철결핍성 빈혈환자 7명(名)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측정(測定) 방법(方法)으로는 Gray 및 Sterling법(法)을 개설한 방법(方法)으로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의 계측시료(計測試料)로서 전혈(全血) 및 적혈구(赤血球)를 사용(使用)하였다. 실험(實驗)성적은 1. 1일당(日當) 실혈량(失血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즉(卽) 1일당(日當) $20{\sim}50ml$ 사혈군에서는 $T\frac{1}{2}$이 현저히 짧아지는 rapid phase을 나타내고 1일당(日當) 50ml이상(以上) 사혈군에서는 짧아지는 정도(程度)가 완만한 slow phase을 나타낸다(Fig. 6). 2. 1일량(日量) 10ml 및 25ml식(式) 사혈한 군(群)의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을 측정(測定)하는데 있어 적혈구(赤血球)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T\frac{1}{2}$측 정치에 유의한 차(差)가 없었으며 이 범위 내에서는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도 역시 유의한 차(差)가 없었다. 3. 1일량(日量) 50ml 및 75ml, 100ml씩 사혈한 군(群)에서는 적혈구(赤血球)만을 사용(使用)하였을 때와 전혈(全血)을 시료(試料)로 하였을 때 사이에 $T\frac{1}{2}$의 측정치에 유의한 차(差)가 있었으며 이 때는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에도 변화(變化)가 있었다. 즉(卽), 전혈(全血)을 사용한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의 측정치가 적혈구(赤血球)만를 사용(使用)한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의 측정치 보다 짧았다. 4. 일정(一定)기간(10 일(日)) 사혈의 총량(1000ml)이 같을 매는 200ml를 5회(回) 사혈한 군(群)이나 500ml를 2회(回) 사혈한 군(群) 사이에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에 유의(有義)한 차(差)를 볼 수 없었다. 5. 직업적 공혈자의 반복사혈로 인(因)한 만성(慢性) 빈혈환자 9명(名)에서의 $^{51}Cr$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는 평균(平均) 19.2일(日)로 짧아져 있으나 적혈구수명측정전후(赤血球壽命測定前後)에 충분(充分)한 철제(鐵劑)를 투여(投與)하여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를 증가(增加)시켰으며 이때 볼 수 있었든 Hct치(値)를 규준(規準)하여 교정한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거의 정상(正常)범위 안에 있어(27.6일(日)) 이러한 인자(因子)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 이해할 수가 있다. 6. 구충자충(鉤蟲仔蟲)을 구충한 7명(名)의 중등도(中等度) 철(鐵)결핍성 빈혈환자에서의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는 25일(日)$\sim$31일(日)로 평균(平均) 28일(日)이었으며, 이때 장 출혈량은 1일(日) $1.0{\sim}3.5ml$이었다. 단시일내의 급성실혈시에는 이와같은 소량의 실혈(失血)도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에 영향을 보여 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도의 실혈은 실험오차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장기 출혈에서는 이러한 소량의 실혈이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히 말할 수 없다. 8.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로 측정한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측정시의 실혈량(失血量)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으며 저자(著者)들은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이용(利用)한 적혈구(赤血球) 수명 측정때 검사기간중 실혈량이 적혈구수명치(赤血球壽命値)에 미치는 관계를 상술(上述)한 실험치(實驗値)를 기초(基礎)로 하여 다음과 같을 교정식(校正式)을 고찰(考察)해 보았다. $^{51}Cr\;T\frac{1}{2}=17.0e^{-0.0495}+18.4e^{-0.000924x}$ 단(但) X : 1일(日) 실혈량(失血量)(단위(單位) ml)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erial photographs for forest inventory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산림자원조사법(山林資源調査法)의 연구(硏究))

  • Kim, Kap D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30 no.1
    • /
    • pp.1-7
    • /
    • 1976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Bo-Eun Gun, Chung-Cheong Buk Do. The forest types having been classified, the each area was measured by dot-grid method. The 820 sample points having been obtained by systematic sampling method, the tree heights, crown densities, crown diameters in the points were measured on the aerial photography, and the volumes per hectare were estimated by the comparison with stereogram. Thirty eight plots, which amounted to about 4.5% of all the sample points, were sampled with double sampling method and volume were measured by the ground survey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ia between the values measure by dot-grid method and the statistical values obtained by the authority for the area. 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ia between the estimated values and the measured values for the volume. And the coefficient (b) was 1.18. 3. The heights of conifer trees were easily measured more or less, but it was some difficult for the deciduous trees, because the tops of trees were not observed easily. 4. All the values had a tendencies to be overestimated in the low stocked stand and to be underestimated in the high stocked stand. 5. When the aerial volume table method by ground checking needs to be used together, the work should be performed by the experienced technician and the photgraphic volume table should be made in advanced of the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