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취학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인 아동의 유치열기의 특성 - 치아 치열궁의 관계 (Spacing and crowding of the primary dentition in Korean children - relationship to tooth sizes and dental arch dimension)

  • 임동혁;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강화지역의 한국인 아동의 유치열기에서의 공극과 총생의 빈도를 조사하고, 치아 크기와 치열궁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102개의 취학전 아동(남자 57명, 여자 45명, $4{\sim}5$세)의 석고모형을 조사하여 치아의 크기, 견치간 폭경, 구치부 폭영,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다. 유치열기의 공극 빈도는 남자에서 63.2%, 여자에서 57.8%로 나타났다. 공극의 빈도는 남자에서,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공극이 있는 경우보다 총생을 보이는 치열에서 치아 크기는 크고 치열궁 폭경은 더 작게 나타났다 (p<0.05). 전치부 공극의 존재 여부는 치아의 크기, 견치간 폭경과 관련이 있었다.

저소득가정의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비교 (Comparison of School Readiness between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Children in Non-low-income Families)

  • 조경진;최정수;박수경;안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1-7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간에 학교준비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저소득가정 아동은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지원사업인 드림스타트 참여 유무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학교준비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만 5세 아동 18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준비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Scheff$\acute{e} $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학교준비도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저소득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가정 아동 중에서 드림스타트 참여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가정의 취학 전 아동이 학교준비도를 잘 갖출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도시 저소득층 취학전 어린이들의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I. 성장발육과 영양소 섭취량- (Nutrit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Low Income Urban Area -I. Anthropometry and Dietary Intake -)

  • 손숙미;박성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31
    • /
    • 1999
  • The nutritional status of 125 preschool children(Female : 56, Male : 69) residing in low income area of Seoul was surveyed. The mean family size was 4.3 and the mean monthly income was 921,000 won which was below the poverty level. Average heights of boys aged 3, 4, 5 and 6 were 98.6cm, 106.1cm, 111.9cm and 116.0cm and those for girls were 99.4cm, 106.4cm, 110.9cm, and 116.0c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boys and girls. The proportion of children showing stunted growth(<90% of Korean standard of height) was 3.2%. The mean weight of boys for each age group(3, 4, 5, 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ient from that of girls. The proportion of children assessed as moderately underweight (<80-90% of Korean Standard of weight) was 10.4% and 3.2% of children was underweight(<80% of weight standard). The group of children aged 3 were taking adequate energy, whereas the mean energy intake of children aged 4.5 and 6 were within 77.3-78.6% of RDA. The proportion of energy derived from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was 60.1%, 24.6% and 15.3%. The high proportion of energy derived from fat seems partly due to high energy intake from fat in the snack. The nutrients which did not meet 75% of the RDA were vitamin A and calcium for children aged 5, and iron for children aged 3 to 5. Carbohydrate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ight, weight and girth of chest(P<0.05-P<0.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ake and weight, girth of chest and BMI, respectively(P<0.05). Iron intak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ight, weight and BMI(P<0.05).

  • PDF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 강현진;고경혜;박수정;박주연;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1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preschoolers.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 results, which were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 and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test(VMI) performance score. Then, we also compared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s with the VMI performance scores according to sex and age.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fifty normal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four to six years living in Busan. We used two test methods which hav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ne was the 9-Hole Peg Test to evaluate hand dexterity, and the other was the VMI to the evaluate visual-motor skills of these young children. Results : First,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performance scores(r=-.682).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scores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p<.001). Conclusion :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eschool service should consider that visual-motor skills need to be compatible with hand dexterity in both evaluation and therapy. In additio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improved according to advances in age, so we must give graded tasks to proper age groups through concrete analysis of activity. By doing this, children can get the better therapeutic effects.

  • PDF

대학교육기회의 확대와 대학진학행동: 충청북도를 사례로 (Over-education and University Selection Behavior of Local High School Leavers: A Case Study, Chungbuk, Korea)

  • 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5-170
    • /
    • 2003
  • 본 연구는 충청북도를 사례로 대학교육기회의 확대가 이루어진 이후에 지역노동시장의 변화 특성과 지방의 고등학교 졸업생들에서 나타나는 대학진학행동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지방에 있어서 대학교육기회확대가 갖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했다. 대학교육기회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충청북도의 노동시장에 있어서 대졸 취업자의 직종 하향이동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학진학행동에서 충청북도를 이탈하여 보다 상위 중심지로 또는 핵심지역으로 이탈하려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도를 단위로 하는 취학권이 약화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취학전아동의 의복디자인 선호성과 사려성-충동성 성향과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activeness-Implulsiveness for a Group of Preschool Children)

  • 신혜봉;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9-9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not only to investigate mut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ectiveness-Impulsiveness, but to offer clothing design for desirably developing of child, especially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practical research was performed for 166 preschool children who are i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sex and social class. This study used Kagan's MFFT and Personality Inventory of Hwang Eung-Yeon for the test of Reflectiveness-Impulsiveness, while for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used the photo deck which is showed to children.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x^2$) test, t-test, F-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t can be concluded that girls rather than toys, high class children rather than middle or low class children were more reflective as a general tr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ectiveness and Impulsiveness is as follows : 1. In color, reflective boy liked blue series and reflective girl liked pastel coloring series, while they disgusted red series and non-coloring series. Th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red series, while they disgusted non-coloring series. 2. In color combination,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similar color,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contrasting color. 3. In texture,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soft and shiny texture, while they disgusted thick and rough texture. Also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soft texture. 4. In pattern, reflective boy liked lettering pattern and reflective girl liked flower pattern, while she disgusted lettering pattern. Impulsive boy liked stripe pattern and limpulsive girl liked flower pattern. 5. In pattern size, group of reflectivenss liked small size,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large one. 6. In style,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formal style.

  • PDF

체성분 분석과 골연령 측정을 통한 취학 전 아동의 성장에 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n Growth of Children Based on Analyzing Body compositions And Measuring Bone Age)

  • 윤혜진;이유진;백정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44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better data and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on pre-school children's growth based on two measurements; Body composition for measuring body volume and bone age for potential growth.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21 children(118 of boys and 103 of girls) from three kindergartens.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one age was measured by bone density through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higher level on weight or BMI, the more averages of 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2. The average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lower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but it was higher in upper 50 percentile's group. Also, children with high BMI had older in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3. The higher in height percentile based on the bone age; there were more soft lean mass. 4. The averages of bone age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ore percentiles of height according to bone age were big, they were higher than total average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lower than total average in ov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in both boys and girls. 5. The average of MP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op percentiles of children's height distribution. Also, in the upper percentiles of height distribution based on bone age were big in only boys. 6. The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related to body volume growth, which can he measured by weight or BMI. The bone age, bone age-chronological age, and MPH were related in terms of hight. The body volume growth was a little hit related with potential growth.

  • PDF

취학전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The Study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Of Preschool Childr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of the Mothers)

  • 설경옥;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40
    • /
    • 2011
  • 본 연구는 부천시와 인천시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569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 건강성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고, 초기경험의 기초가 되는 가족의 중요성과 역할을 재인식하여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유무,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집단이고 취업한 어머니이며,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정의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영역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의 월소득이 높고 가정환경자극이 풍부하며 어머니의 의사소통 효능감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자아개념 (Preschooler's Perception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ir Self Concep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s)

  • 신수희;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7-62
    • /
    • 2014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9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취학 직전 시기 주변인과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그림도구를 제작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도 그림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을 통해 유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는 미시체계에서의 자신의 주변인과의 관계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은 유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변인과의 관계 중 유아-교사 간 갈등에 대한 유아의 인식이 이들의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와 주변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주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직접 측정해 보았다는 점, 그리고 유아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그림도구를 제작하여 유아와의 일대일 면접을 실시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의 정보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 김남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18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정보처리능력인 동시처리 및 순차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읽기, 쓰기, 기초수학을 포함하는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정보처리능력의 상대적 설명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취학직전 만 5~6세 유아 99명을 대상으로 유아그림기초학습능력검사와 K-ABC 검사를 실시하여 기초학습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로써 첫째, 유아의 정보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순차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동시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인 읽기, 쓰기, 기초수학 능력과 동시처리 및 순차처리능력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정보처리능력의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보처리능력 중 동시처리능력이 기초학습능력에 22%의 설명력을 가지며, 여기에 순차처리능력이 첨가됨으로써 설명력이 3% 증가하여 25%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