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약성평가

Search Result 1,5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방사성폐기물 처분동굴의 지진 취약도 해석

  • 장승필;서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29-234
    • /
    • 1996
  •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장과 같은 대규모 지하 원자력시설의 운영중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지하 구조물의 지진 취약도 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지상구조물에 대해 적용되고 있는 Zion 방법을 모체로 하였으며 지하구조물의 특성 및 기술현황을 반영하였다. 지하구조물의 파괴양상은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 수평 지압의 크기, 암반의 특성 등 많은 요인에 의해 달라진다. 처분동굴의 개념설계 결과에 대한 지진취약도 분석결과 수평지압계수의 영향이 매우 크며, 벽체부 또는 천정부에서의 숏크리트의 압축파괴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Tsunami Fragility Evaluation for Offsite Transformer in Nuclear Power Plants (지진해일에 의한 원자력발전소 소외변압기의 취약도 평가)

  • Kim, Min Kyu;Choi, In-Kil;Kang, Keum 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1
    • /
    • pp.18-24
    • /
    • 2010
  • In this study, a tsunami fragility methodology was determined for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PSA) induced tsunami event in Nuclear Power Plant(NPP) site. For this purpose, a fragility evaluation method was presented using previous external PSA method. Failure mode and failure criteria about major safety related equipments and structures were determined. Finally, a tsunami fragility assessment was performed for offsite transformer in NPP site. For the fragility evaluation, structural failure like overturning and sliding and functional failure induced by inunda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a functional failure according to inundation height was governed total probability of failure of offsite transformer in NPP.

Assessment of Vulnerability for Groundwater Level by Coastal and Mountain Area in Korea (국내 연안 및 산간지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 Lee, Jae-Beom;Yang, Jeong-Seok;Kim, Geon;Kwak, Ye 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0-270
    • /
    • 2021
  • 안정적인 취수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대규모의 하천이 없는 연안 및 산간지역의 경우 생활용수 등 각종 용수의 확보를 위하여 지하수자원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다. 수문순환의 측면에서 대수층 내 지하수자원은 다양한 경로로 함양되는데, 주변에 물 교환이 활발히 발생하지 않는 연안 및 산간지역의 경우 지하수자원의 주된 함양원은 강수 형태로 내린 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국내의 경우 연 총 강수량이 증가하나 무강우일수 및 무강우지속일수의 증가, 강우강도의 증가(기상청, 2018)와 토지이용특성 및 지표면 특성이 변화하면서 지표면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문순환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주된 취수원으로 지하수자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연안 및 산간지역의 수자원 확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고, 미래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의 하천 위주의 유역 관리계획 수립에서 나아가 가뭄 발생 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연안 및 산간지역의 수자원 관리 및 확보 계획 수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와 이를 위한 관리 계획의 사각지역에 놓여있는 국내 연안 및 산간지역의 수자원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하여, 연안 및 산간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안 및 산간지역의 주된 취수원인 지하수자원의 주요 평가 인자로 지하수위를 선정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문순환 요소와 인구, 토지이용 특성 등의 평가 인자를 선정하였다. 지표수-지하수 연계와 지역특성을 고려한 수자원 변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문순환 요소간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호 영향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연구 지역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간특성 평가인자와 시간특성 평가 인자를 함께 고려하여 국내 연안 및 산간지역의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자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국내 연안 및 산간지역의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정량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ultivation Facility by Abnormal Weather of Climate Change (이상기후에 의한 재배시설의 취약성 평가)

  • Yoon, Seong-Tak;Lee, Yong-Ho;Hong, Sun-Hee;Kim, Myung-Hyun;Kang, Kee-Kyung;Na, Young-Eun;Oh, Young-Ju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4
    • /
    • pp.264-272
    • /
    • 2013
  • Climate changes have caused not only changes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but also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damages on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will be increased by heavy rainfall and snow. In this study we assessed vulnerability of crop cultivation facility and animal husbandry facility by heavy rain in 232 agricultural districts. The climate data of 2000 years were used for vulnerability analysis on present status and the data derived from A1B scenario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in the years of 2020, 2050 and 2100, respectively. Vulnerability of local districts was evaluated by three indices such as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and each index was determined from selected alternative variables. Collected data were normalized and then multiplied by weight value that was elicited in delphi investigation. Jeonla-do and Gangwon-do showed higher climate exposures than the other provinces. The higher sensitivity to abnormal weather was observed from the regions that have large-scale cultivation facility complex compared to the other regions and vulnerability to abnormal weather also was higher at these provinces. In the projected estimation based on the SRES A1B, the vulnerability of controlled agricultural facility in Korea totally increased, especially was dramatic between 2000's and 2020 year.

Analysis of Building Vulnerabilities to Typhoon Disaster Based on Damage Loss Data (태풍 재해에 대한 건물 취약성의 피해손실 데이터 기반 분석)

  • Ahn, Sung-Jin;Kim, Tae-Hui;Son, Ki-Young;Kim, Ji-M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6
    • /
    • pp.529-538
    • /
    • 2019
  • Typhoons can cause significant financial damage worldwide. For this reason, states, local governments and insurance companies attempt to quantify and mitigate the financial risks related to these natural disasters by developing a typhoon risk assessment model. As such, the importance of typhoon risk assessment models is increasing, and it is also important to reflect local vulnerabilities to enable sophisticated assessments. Although a practical study of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s has identified essential risk indicators, comprehensive studies cov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vulnerability and economic loss are still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yphoon damage indicators an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typhoo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utilizing the loses from Typhoon Maemi as data. This study analyzes actual loss records of Typhoon Maemi provided by local insurance companies to prepare for a scenario of maximum losses. To create a vulnerability function, the authors used the wind speed and distance from the coast and the total value of property, construction type, floors, and underground floor indicators. The results and metric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government agencies and insurance companies in developing vulnerability functions that reflect the actual financial losses and regional vulnerabilities of buildings.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 Yang, Jeong-Seok;Lee, Jae-Beom;Kim, Il-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15-825
    • /
    • 2017
  •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was assessed using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akdong river basin. Ten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collecting natural, human, and social data sets. The selected indicators were standardized using rescale method, and each indicator was weighted by considering the questionnaire of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e weights determination survey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groundwater level index was 0.157 and this is the highest value.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index was 0.154 and th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index was 0.152. The lowest weighted index was 0.043 for population density. Finally, the result of assess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showed that Sangju-si was the most vulnerable to groundwater management among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akdong river basin because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annual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and annual average groundwater use indicators were highly vulnerable. The second and the third vulnerable regions were Yecheon-gun and Haman-gun respectively.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for the five major river basins in Korea can be a essenti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policy.

Development of Drought Risk Map : Case Study For Gyengsang-do (가뭄위험지도 개발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Park, Jong Yong;Yoo, Ji Young;Choi, Minha;Kim, Tae-Wo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6-46
    • /
    • 2011
  •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 사회, 경제, 환경등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가뭄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현재 가뭄의 모니터링은 대부분 기상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의 심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뭄모니터링 방법을 좀 더 현실적으로 개선시키고자 가뭄심도를 근거로 가뭄발생 빈도와 가뭄발생 시 취약인자의 선정을 통해 가뭄위험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가뭄의 위험정도를 정량화하고 가뭄발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피해 요소들을 정량화하여 가뭄재해지수(Drought Hazard Index)와 가뭄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를 산정하고, 두 지수의 결합으로 가뭄위험지수(Drought Risk Index)를 산정하였다. 가뭄재해지수는 가뭄지수 EDI를 바탕으로 가뭄심도에 따른 발생확률을 근거로 산정하였으며, 가뭄취약성지수는 가뭄 발생 시 취약한 인자를 선정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가뭄위험평가의 적용을 위해 2001년의 경상도 지역의 가뭄을 평가하였다. 가뭄위험지수를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의 가뭄의 위험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한 결과 경상북도 지역이 경상남도 지역보다 가뭄발생빈도와 취약정도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상도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가뭄의 위험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시공간 정보기반 산림 생태계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Byun, Jung-Yeon;Lee, Woo-Kyun;Choi, Sung-Ho;Oh, Su-Hyun;Yoo, Seong-Jin;Kwon, Tae-Sung;Sung, Joo-Han;Woo, Jae-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1
    • /
    • pp.159-1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ulnerability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using socio-environmental indicators and the results of two vegetation models named as 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HyTAG), and MAPSS-Century 1(MC1). The changing frequency and direction of biome types estimated by HyTAG model was used for quantifying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of forest distribution. Similarly, the variation and changing tendency of net primary production and soil carbon storage estimated by MC1 model was used for quantifying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of forest function. As socio-environmental indicators, many statistical data such as financial autonomy rate and the number of forestry officer was prepared. All indicators were standardized, and then calculated using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equation. The period of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divided into the past(1971-2000) and the future(2021-2050). To understand what policy has a priority to climate change, distribution maps of each indicators was depicted and the vulnerability results were compared among administrative districts. Evide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entire study area. These differences were mostly derived from regionalspecific adaptive capacity. The result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supporting system and policy making in forest management with respect to climate change.

Study on Development of River Synthesis Management Index (유역종합관리지표 선정 및 타당성 검증)

  • Baeck, Seung-Hyub;Choi, Si-Jung;Lee, Dong-Ryul;Hong, Seung-Jin;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5-735
    • /
    • 2012
  • 국내 및 세계적으로 중앙정부 관점에서 수자원관련 현황을 평가하거나 취약성을 파악하는 등 관련 적응 정책 수립, 부문별 정책 수립의 우선순위 결정과 평가를 위하여 지수(Index)와 지표(Indicator)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다. 수자원관련 지수의 개발은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 분야의 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치수관련 지수는 국내 외에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지표 및 지수의 구성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되며 하나는 인과관계 접근방식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 결과를 나타나게 하는 요인, 이러한 현상을 완화 또는 강화하기 위한 노력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지표를 도출하고, 다른 하나는 주제 접근방식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현상을 크게 분야별로 구분한 후 분야별 정책목표에 따라 하위 분야로 세분화하고 이에 따른 관련지표를 선정한다. 최근에는 주제 접근방식의 지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통합관리를 위하여 행정구역 및 유역의 다양한 대리변수를 조사, 분석하여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시군구 및 국가표준지도인 수자원단위지도의 812개의 표준유역별 DB를 구축하였고, 물이용취약성지수 홍수취약성지수 하천환경취약성지수 및 유역종합관리지수를 개발하여 평가하는 유역종합관리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취약성 지수는 다양한 대리변수들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잠재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잠재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유사한 변수들끼리 묶어주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제별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지표 산정에 있어 표준화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Z-score 방법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부여 방법은 동일가중치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인 집계과정은 누적합산방법으로 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역종합관리지표의 타당성조사를 위하여 2008년 강원도 지역의 이수 및 치수관련 자료를 구축하여 피해이력을 제외한 유역종합관리지수를 산정하여 제한급수 및 홍수 피해이력이 발생한 유역과 비교 분석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유역관련 현황 파악 및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분야별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에서의 설계문서에 대한 보안성 체크리스트

  • Son Kyung-Ho;Kim Seung-Joo;Won Dong-Ho
    • Review of KIISC
    • /
    • v.16 no.4
    • /
    • pp.59-6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단계에서 산출되는 문서를 바탕으로 내재되어 있는 취약성을 찾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한다. 현재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내에서 보안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의 위험분석 이 요구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단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취약성을 찾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ISO/IEC 15408(Common Criteria, 이하 CC)[1]기준의 보안성 평가방법론인 CEM[2]에 기반한 취약성검색을 통해 소프트웨어 설계단계에서 산출되는 개발문서에 대해 검증해야 할 항목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