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수

Search Result 68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ydrogeologic and Hydrogeochemical Assessment of Water Sources in Gwanin Water Intake Plant, Pocheon (포천 관인취수장 수원에 대한 수리지질 및 수리지구화학적 평가)

  • Shin, Bok Su;Koh, Dong-Chan;Chang, Yoon-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3
    • /
    • pp.209-221
    • /
    • 2016
  • The section from water source to 2.6km upper stream of Hantan River is protected as the drinking water quality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guidelines of Ministry of Environment, because water source of the Gwanin water intake plant has been known the river. However, opinions were consistently brought up that the standard of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must be changed with using underground water as water source because of contribution possibility of underground water as the water source of Gwanin water intake facility. In this regard, hydrogeologic investigation including resistivity survey and hydrogeochemical investigation were carried out to assess water source and infiltration of contaminant for the plant. Quaternary basaltic rocks (50m thick with four layers) covered most of the study area on the granite basement. As the result of the resistivity survey, it is revealed that permeable aquifer is distributed in the boundary of two layers: the basaltic layer with low resistivity; and the granite with high resistivity. Considering of outflow from Gwanin water intake facility, the area possessing underground water was estimated at least $5.7km^2$. The underground water recharged from Cheorwon plain was presumed to outflow along the surface of unconformity plane of basalt and granite. Based on field parameters and major dissolved constituents, groundwater and river water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spring water was similar to groundwater from the basaltic aquifer. Temporal variation of $SiO_2$, Mg, $NO_3$, and $SO_4$ concentrations indicated that spring water and nearby groundwater were originated from the basaltic aquifer and other groundwater from granitic aquifer. In conclusion, the spring of the Gwanin water intake plant was distinguished from river water in terms of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ainly contributed from the basaltic aquifer.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a Riverbank Filtration Site in Koryeong, Korea (경북 고령군 강변여과 취수 지역의 지하수 유동 모사 및 민감도 분석)

  • Won, Lee-Jung;Koo, Min-Ho;Kim, Hyoung-Su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2
    • /
    • pp.45-55
    • /
    • 2006
  • A 2-D unconfined flow model is developed to analyze annual variations of groundwater level and bank filtration rate (BFR) for an experimental riverbank filtration site in Koryeong, Korea. Two types of boundary conditions are examined for the river boundary in the conceptual model: the static head condition that uses the average water level of the river and the dynamic cyclic condition that incorporates annual fluctuation of water level. Simulations show that the estimated BFR ranges $74.3{\sim}87.0%$ annually with the mean of 82.4% for the static head boundary condition and $52.7{\sim}98.1%$ with the mean of 78.5% for the dynamic cyclic condition.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dynamic cyclic condition should be used for accurate evaluation of BFR. Simulations also show that increas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ver and the pumping wells slightly decreases BFR up to 4%, and thereby indicate that it is not a critical factor to be accounted for in designing BFR of the bank filtration system. A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del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and specific yield of the aquifer, recharge rate, and pumping rat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verage groundwater level and BFR are most sensitive to both the pumping rate and the recharge rate,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pumping wells is sensitive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pumping rate.

A Study on Field Experiment and Numerical Modeling for Efficiency Analysis of Selective Withdrawal in Imha Reservoir (임하호 선택취수 효과분석을 위한 현장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 Kim, Tae Won;Kim, Young Do;Yi, Yong-K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B
    • /
    • pp.113-121
    • /
    • 2012
  • When a heavy rain brings flooding, a high turbid water is flowing into a reservoir.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ake structures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from the various levels of a stratified reservoir was evaluated by the field experiments and the numerical modeling of the three-dimensional approaching flows. The temperature, the turbidity, and the velocity fields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were measured using both YSI6600EDS and YSI6600ADV, respectively. A threedimensional model, FLOW-3D, was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intake tower in Imha reservoir. The comparisons of the vertical velocity field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The efficiency of the turbid-water elimination of the selective withdrawal method from low levels was higher up to 46% than that of the surface withdrawal. From the analysi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efficiency of turbidity elimination increased by 10%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from middle levels, and by 30% from low leve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ve withdrawals from middle and low level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surface-water intake. Th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the one-dimensional model, SELECT, which is much more computationally time-efficient.

Analysis on the Effect of Water Intake Depending on the Gate Location at the Downstream of Regulating Dam (방류수문 위치에 따른 조정지댐 하류의 취수영향 검토)

  • Kim, Young-Sung;Lee, Hyun-Seok;Yang, Jae-Rheen;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31-835
    • /
    • 2007
  • 금강은 우리나라 중부 내륙에서 서해로 흐르는 유로연장 401km, 유역면적이 전 국토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9,886km^2$에 이르는 남한의 5대강 중 하나이다. 1981년, 이 강의 하구로부터 150km 상류지점인 대전시 동북쪽 16km, 청주시 남쪽 16km의 대전시와 충청북도가 만나는 지점에 대청다목적댐이 준공되었다. 대청다목적댐은 높이 72m, 길이 495m, 체적 123만$4,000m^3$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과 석괴식 댐으로 구성된 복합형 댐으로서, 이 댐의 주요시설로는 저수용량 14억9,000만$m^3$의 본 댐과 조정지 댐이 있다. 그 후 1992년에는 대청 조정지 댐 하류 200m 지점에 현도 지방 산업단지 취수장(시설용량: $17,600m^3$/일)이 건설되었으며, 통상 하루 약 7,500톤의 물을 인근의 공단에 공급해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취수량이 급격히 감소됨에 따라, 인근 공단으로의 물 공급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한국수자원공사는 취수장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조정지 댐 방류 수문 위치조정 및 방류량 조절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정량적으로 검토되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명기한 조치의 실효성을 파악 하고자, 수문의 위치변화에 따른 취수구 부근의 수리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조사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용 유량측정장비 (StreamPro ADCP (Teledyne RD Instruments))를 이용한 방류구와 취수구 사이의 유량 조사 둘째, 다 항목 수질 및 3차원 유속 측정장비 (ADV6600 (Sontek / YSI, Inc.))를 이용한 취수구 앞에서의 유속, 유향 및 수위변동 조사 셋째, 수위계 (Orphimedes (OTT MESSTECHNIK GmbH & Co. KG)) 및 파고계 (Compact-WH (Alec Electronics Co., Ltd.))를 이용한 하천을 횡단하는 취수구 좌 우 지점에서의 수위변동 모니터링 그 결과 방류수문의 위치변화에 따른 취수구 인근의 수리학적 특성은 조정지 댐의 방류수문으로부터 약 100 - 150 m 하류의 횡단면에서는 유속분포의 차이가 발견 되었으나 하류로 흐름이 진행됨에 따라 그 차이는 감쇄되고 약 200m 떨어진 취수구 앞의 횡단면에서는 유속분포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imulation of Pollutants Transport using 2-D Advection-Dispersion Model near Intake Station (2차원 이송-확산모형을 이용한 취수장 인근에서의 오염물질의 혼합거동 모의)

  • Kim, Jae-Dong;Kim, Young-Do;Lyu, Si-Wan;Seo, Il-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91-794
    • /
    • 2008
  • Th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pollutants in natural river is a principal issue in intake station management. To study the pollutant transport in natural rivers, the effect of meandering and confluence of tributary on mixing process have to analy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mixing and transport of pollutants for operating water gate of Nakdong Estuary Barrage around the intake station. Mulgeum intake station being used as drinking water sources for Pusan. The flow around the intake station is influenced by operating water gate of Nakdong Estuary Barrage which is located downstream. The water gate system includes ten individual gates. The minor gate is usually opened according to elevation of the sea. When the river flow increases, the main water gate is opened. Daepo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is on opposite side of the intake station. The pollutants from Daepo stream often flows into the intake station acoording to the flow pattern. In this study, based on this simulation results, proper water gate operation which can minimize negative impact will be provided.

  • PDF

Analysis of Turbidity Redu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lter Media in Open-cut River Bed Infiltration Process : Lab Scale Experiment (개착식 하상여과에서 여재 구성에 따른 탁도 저감 효율 분석: Lab Scale 실험을 통한 접근)

  • Yang, Jeong-Seok;Kim, Il-Hwan;Lee, Jae-Beom;Jeong, Jae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5-515
    • /
    • 2017
  • 하천에서 취수원을 개발하는데 있어 지층의 구성으로 물리, 화학적 여과, 흡착 등을 통해 자연 정화되는 간접 취수 방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양질의 취수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간접 취수 방식은 수량 확보 측면에서의 불확실성과 유지관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상을 개착하여 불균질한 대수층을 치환하고 스크린을 통해 간접 취수원을 개발하는 하상여과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대수층을 치환하여 여재를 구성함에 있어 오염물질 및 탁도의 저감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착식 하상여과에서 치환하는 여재의 구성에 따른 탁도의 저감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축소 모형실험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여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수도 시설기준을 통해 축소된 입경의 매질로 구성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모형 수조($1500mm{\times}500mm{\times}1700mm$)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내경 80mm이고 길이 1300mm인 기능성 스크린이 부착된 취수관을 설치하였다. 모형 수조에서 여재의 두께는 총 1000mm로 구성하였고, 각각의 층에 대해서는 250mm로 하여 4개의 층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치환하는 여재의 매질에는 자갈, 왕사, 중사, 화산석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입경은 5-10mm, 2-5mm, 1-2mm, 2-5mm이고, 탁도를 유발하는 물질로는 입경이 $20{\mu}m$인 황토를 사용하였다. 단일매질 구성을 통해 각각의 여재 종류에 따른 탁도 저감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세 가지의 혼합매질 구성을 통해 치환층 여재의 배치에 따른 탁도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구성은 중사-왕사-자갈-화산석, 화산석-중사-왕사-자갈, 중사-왕사-화산석-자갈로 하였다. 주입수는 30-50NTU를 유지하였으며 유출수의 탁도를 통해 저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개착식 하상여과 방식의 여재 구성에 대해서 탁도 저감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Optimization of water intake scheduling based on linear programming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 Jeong, Gimoon;Lee, Indoe;Kang, Doo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8
    • /
    • pp.565-573
    • /
    • 2019
  • An optimization model of water intake planning is developed based on a linear programming (LP) for the intelligent water purification plant operation system. The proposed optimization model minimizes the water treatment costs of raw water purification by considering a time-delay of treatment process and hourly electricity tariff, which is subject to various operation constraints, such as water intake limit, storage tank capacity, and water demand forecasts. For demonstration,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H water purification center. Here, we have tested three optimiz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economic and safety aspects. The optimization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optimal water intake scheduling of domestic water purification centers.

A study on the application validity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for the measurement of river water intake (하천수 취수량 계측을 위한 전자파 표면 유속계의 적용 유효성 검토 연구)

  • Baek, Jong Seok;Kim, Chi Young;Cho, Sang Uk;Oh, Dong Heon;Kang, Hyun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7-347
    • /
    • 2020
  • 하천수의 통합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는 하천수량과 같은 기초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취입보를 통해 취수되는 하천수량은 취수문에 근접한 농업용수로에서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데, 계측지점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계측방법 선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농업용수로는 단면이 일정하여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 초음파 측정법, 수면경사법, 구조물법 등 대부분의 계측방법 적용이 가능한데,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 표면 유속계를 이용해 산정한 유량자료와 실측 유량자료와의 적합성을 비교하여 전자파로 측정한 유량자료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전자파 표면 유속계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표면 유속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홍수기와 같이 고유량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고, 저유량이나 바람이 센 상황에서는 표면유속이 단면 전체의 평균유속을 대변하기 어려워 연중 지속적인 활용도가 낮은 상황이다. 농업용수로는 다양한 규모로 설계되어 있어 저유량에서부터 고유량까지 넓은 범위의 계측방안이 필요한데, 전자파 표면 유속계를 이용한 계측으로는 연속적인 자료 확보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단면에서 전자파 표면 유속계와 실측 유속과의 비교를 통해 적정 수준의 정확도를 가질 수 있는 전자파 표면 유속계 측정범위를 특정하고, 저유량 구간에서 취약한 표면 유속 측정 자료를 보정할 수 있는 개선 방법을 적용하여 농업용수를 취수하는 지점에서 전자파 표면 유속계의 연중 상시 계측 가능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자파 표면 유속계의 측정 범위 특정과 저유량 계측 개선 방안 등을 통해 추후 농업용수로의 하천수 취수량 계측 방법 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 of Selective Withdrawal on the Control of Turbidity Flow and Its Water Quality Impact in Deacheong Reservoir (선택취수에 따른 대청호 탁수 조절효과 및 수질영향 분석)

  • Jung, Yong-Rak;Liu, Huan;Kim, Yu-Kyung;Ye, Lyeong;Chung, S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601-615
    • /
    • 2007
  • A selective withdrawal method has been widely used to control the quality of water released from a stratified reservoir and to improve downstream ecosystem habitats. Recently, several existing reservoir withdrawal facilities have been modified to accommodate multi-level water intake capabilities in order to adapt the impact of long-term discharge of high turbidity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elective withdrawal method on the control of downstream turbidity and its impact on water quality in Daecheong Reservoir. A laterally integrat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eutrophication model, which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in the previous studies, was applied to simulate the temporal variations of outflow turbidity with various hypothetical selective withdrawal scenarios. In addition, their impacts on the algal growth as well as water quality constituents were analyzed in three different spatial domains of the reservoi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stly selective withdrawal method would provide very limited benefits for downstream turbidity control during two years of consecutive simulations for 2004-2005. In particular, an excessive withdrawal from the epilimnion zone for supplying upper layer clean water resulted in movement of turbidity plume that contained high phosphorus concentrations upward photic zone, and in turn increased algal growth in the lacustrine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