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출농도

검색결과 5,840건 처리시간 0.08초

마와 꿀풀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산 생성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효과 (Glucosyltransferase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Dioscorea batatas and Prunella vulgaris extract)

  • 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2
    • /
    • 2007
  • 마, 꿀풀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구강병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우식 효과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 mutans에 대한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의 상대성장률과 산 생성 억제 및 GTase 활성 저해효과을 알아본 결과, 마 헥산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 100%, 꿀풀헥산 추출물의 0.5 mg/ml 농도에서 100% 성장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0 mg/ml 농도에서 마가 pH 7.2, 꿀풀이 pH 7.0로 나타나 pH 5.6, pH 5.2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을 첨가물이 산 생성을 억제하여 중성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GTase 활성 저해효과는 마와 꿀풀의 헥산 추출물의 2.0 mg/ml농도에서 35%, 25%로 각각 활성을 저해하였다.

  • PDF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로부터 추출한 pheonolic compounds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 윤의태;조주영;정은영;조재범;이은호;김병오;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2-288
    • /
    • 2017
  • 본 연구에서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을 용매별과 ethanol 농도별로 추출한 결과, 용매별 추출에서 ethanol 추출물이 20.8 mg/g으로 가장 높은 phenolic compounds 용출량을 보였고, 농도별 추출에서 70% ethanol 추출물이 38.1 mg/g으로 가장 높았다. 물 추출물은 16.8 mg/g의 phenolic compounds 용출량을 보였다. 마삭줄을 물과 eth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통풍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증명 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80.9%, 70% ethanol 추출물은 8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5.0%, 70% ethanol 추출물은 95.8%의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PF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2.43 PF, 70% ethanol 추출물에서는 2.45 PF를 나타내었다. TBARs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70% ethanol 추출물에서 89.9%와 8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통풍 억제 효과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33.3%, 70% ethanol 추출물은 50.5%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효과 측정 결과, 물 추출물에는 저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70% ethanol 추출물에서는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92.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마삭줄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 조건이 홍미삼(紅尾蔘)의 가용성 물질의 용출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Soluble Solid's Yield of Korean Red Ginseng)

  • 성현순;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8-172
    • /
    • 1986
  • 본 연구는 홍미삼으로부터 홍삼엑기스를 제조할 때 추출용매와 온도 그리고 추출시간의 변화가 추출과정중 원료삼의 팽윤성과 흡수성 그리고 홍삼엑기스의 고형분 수율의 차이를 비교한뒤 이들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추출조건에 따른 이들 성질을 예측코져 하였다. 홍미삼의 팽윤율과 흡수율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온도의 상승으로 흡수율은 증가되었으나 평형시의 팽윤율에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한편 가용성 물질이 용출율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되어었으며 온도상승에서는 반대로 증가되었다. 또한 각 추출조건에서 추출시간에 따른 팽윤율과 흡수율 그리고 용출율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대수함수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관계식으로부터 주어진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시간에서의 이들의 성질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오염화석탄산(PCP)으로 방부 처리된 목재로부터 PCP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Pentachlorophenol(PCP) from PCP-treated Wood)

  • 이종철;최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27-233
    • /
    • 2006
  • 오염화석탄산(pentachlorophenol : PCP)으로 방부 처리된 탄약 목상자를 분해한 목재시료로부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PCP를 추출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용매종류, 건조목재 시료당 용매의 사용비율, 시료의 형태 및 크기, 추출온도 및 초음파 효과를 선정하였다. 목재의 PCP 농도는 평균 720 ppm 이었으며 추출효과는 메탄올이 가장 우수하였다. 농도가 가장 큰 시료(초기농도 1297 ppm)를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한 결과 2시간 이내에 99%까지 제거되었다. 건조시료당 메탄올의 최소 사용비율(v/w)은 10이었으며 이 실험에서 시료의 형상(chip 및 톱밥)이나 추출온도 및 초음파 사용은 PCP 추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gainst skin flora)

  • 황미경;이용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83-87
    • /
    • 2021
  • 소목(Caesalpinia sappan L.) 열수추출물의 피부상재균(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소목 열수추출물의 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01±0.81%과 487.5±19.69 ㎍/mg-추출물로 나타났다. 소목 열수추출물의 E. coli, S. aureus, C. acnes 및 M. furfur의 증식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875, 1.750, 1.750 및 1.750 mg/mL이었다. 디스크 확산법에서 소목 열수추출물의 처리량에 비례하여 생육저해환이 증가하였다. 소목 열수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피부상재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곰보배추 추출물이 항산화 및 피부미백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 plebeia Herb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on)

  • 임하나;표영희;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95-1003
    • /
    • 2017
  • 본 논문은 재배가 용이하고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곰보배추의 에탄올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미백효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B16F10 세포에서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 25, 50, $100{\mu}g/mL$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소거능을 보여주었고, $50{\mu}g/mL$의 농도에서 65.2%, $100{\mu}g/mL$에서 77.6%의 강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냈다. Raw 264.7 세포 내에서 ROS 생성 저해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냈고, $100{\mu}g/mL$ 농도에서는 39.1%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 농도별로 첨가하여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생성을 억제하였다. 시험관 내에서 L-DOPA와 L-tyrosine을 이용하여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tyrosinase activ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냈다. 세포 내에서 MSH를 가한 B16F10 세포에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melanin 함량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며 $100{\mu}g/mL$에서 30.7%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기능이 있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싸리(Lespedeza bicolor) 추출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 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5-79
    • /
    • 2005
  • 싸리(Lespedeza bicolor)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및 압력열수추출물에 대하여 각 농도별로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분석하여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에서 농도에 따라 $46.30\~82.02\%$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추출물은 $44.53\~75.56\%$ 그리고 압력 열수추출물은 $37.40\~60.48\%$로 분석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추출물에서 농도에 따라 $17.21\~44.08\%$로 가장 높았고, 압력열수추출물이 $19.89~\~29.86\%$, 물추출물이 $16.53\~20.0\%$로 측정되었으며,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1,000 ppm 농도의 에탄올추출물이 $99.53\%$로써 물추출물$(85.84\%)$과 압력 열수추출물$(74.72\%)$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 3.0에서도 에탄올추출물이 $98.20\%$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농도 조건이 개똥쑥 추출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ying ethanol concentrations on the extraction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annua L.)

  • 김경철;김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0-137
    • /
    • 2020
  • 본 연구는 물과 다양한 에탄올 농도로 추출한 개똥쑥 잎 추출물의 페놀성 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용매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phenol과 flavonoid 함량에서 4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후 에탄올의 농도를 높이더라도 총 phenol 및 flavonoid 함량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인위적으로 생성시킨 DPPH, superoxide, nitric oxide 및 hydroxyl 라디칼소거능 실험 결과는 20,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반면 TEAC, FRAP 및 ORAC 분석을 통해 얻어진 총 항산화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개똥쑥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과 2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생장저해효과가 없었지만, 40%에서 99.5% 에탄올 추출물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효소 저해 활성의 경우 항당뇨와 관련이 있는 α-glucosidase 실험에서 99.5% 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acarbose보다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60% 에탄올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졌다. Elastase 실험은 40%와 60% 에탄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는 용매로 사용된 에탄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각 추출물에 대한 flavonoid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주요 flavonoid는 rutin, hesperidin, myricetin, nobiletin이었다. 또한 추출 용매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flavonoid의 성분이 달랐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똥쑥 잎의 페놀성 성분은 극성-비극성의 넓은 범위를 가지며 중간 극성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똥쑥 추출물의 생리활성은 강력한 활성을 가진 특정 flavonoid에 의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똥쑥의 flavonoid 성분 추출 시 사용되는 용매 농도 설정에서 기초 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늘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Garlic)

  • 차태양;김성호;권택규;권중호;이상한;이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98-1204
    • /
    • 2007
  • 마늘은 향신료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건강 유지에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을 가공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마늘의 유효성분 함량을 다량 추출할 수 있는 최적추출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Alliin 함량은 추출온도 $60.86^{\circ}C$, 추출시간 3.77 hr, 에탄올 농도 50.68%에서 최적이었고, allicin은 추출온도 $65.11^{\circ}C$, 추출시간 2.79 hr, 에탄올 농도 13.62%에서 최대값 8.23 mg%로 예측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최대값 16.72 mg%로 예측되었으며 이 때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93.35^{\circ}C$, 추출시간 3.22 hr 및 에탄올 농도 10.38%로 나타났고,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 $82.64^{\circ}C$, 추출시간 2.88 hr 및 에탄올 농도 0.43%에서 최적이었다. pH 1.2 및 3.0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온도 $79.77^{\circ}C$, $76.46^{\circ}C$, 추출시간 3.22 hr, 3.31 hr 및 에탄올농도 10.38%, 1.12%일 때 최대값은 94.85%, 63.22%이었다.

수용성 이상계에서의 젖산과 Lactobacillus helveticus세포의 분배특성 (Partitioning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ells and Lactic Acid in Aqueous PEI/HEC Two-Phase Systems.)

  • 안한군;권윤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0
    • /
    • 1998
  • 수용성 이상계에서 효율적인 추출발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체촉매와 생성물이 서로 반대 상에 우세하게 분배되어아 한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생성물은 양쪽상에 비슷하게 분배되므로, 상의 조성 등을 조절하여 한쪽상의 체적을 증가시켜 최대한으로 생성물을 추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EI와 HEC으로 구성된 수용성 이상계에서 L. helveticus와 젖산의 분배에 미치는 다가 음이온의 농도, pH, 배지의 농도 및 생육배지 농도 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PEI의 상대 이온으로 작용하는 phosphate, sulfate 음이온수의 증가는 PEI 상의 체적을 감소시켜 하부상에 분배되는 세포의 양(Cb)을 감소시켰으며, sulfate 농도의 영향은 phosphate에 비해 적었다. 검토한 범위에서 대략 93%이상의 세포가 HEC-rich상부상에 분배되었다. 이상계에 생육배지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했을 때 배지 중에 존재하는 phosphate와 sulfate 농도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낮은 농도로 인하여 그 영향은 크지 않았다. Phosphate 농도에 따른 젖산분배를 검토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분배계수는 감소하였으며, 대략 85%가량의 젖산이 PEI의 하부상에 분배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수용성 이상계에서 전하를 띤 저 분자량의 생성물의 추출은 반대 전하를 띠는 폴리머를 하나의 상형성 풀리머로 사용함으로써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 helveticus 세포는 95% 정도가 상부상에 분배되고 젖산은 85%정도가 하부상에 우세하게 분배되므로 PEI/HEC 이상계는 치즈유청으로 부터의 젖산의 추출발효에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