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소이수밀도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Determination Method of Suitable Mud Density While Drilling through Confined Aquifer and Its Application (피압대수층을 통과하는 대심도 시추 중 적정이수밀도 결정 방법 및 적용 사례)

  • Woon Sang Yoon;Yoosung Kim;Hyeongjin Jeon;Yoonho Song;Changhyun L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4 no.2
    • /
    • pp.217-228
    • /
    • 2024
  • During deep drilling, confined aquifers can present various challenges such as the inability to remove cuttings, rapid groundwater influx, and mud loss. Particularly in flowing well conditions, it is essential to apply the suitable mud density since the aquifer can generates an overpressurized conditio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uitable mud density while drilling (SMD) through confined aquifers using mud window analysis and applies it to a case study. The minimum mud density at each depth, which represents the lower limit of the mud window, is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mud density pore pressure gradient (or by adding a trip margin) at that depth. The pore pressure gradient of a confined aquifer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iezometric level or well head pressure of the aquifer. As the borehole reaches the confined aquifer,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pore pressure gradient, which gradually decreases with increasing depth. The SMD to prevent a kick can be determined as the maximum value among the minimum mud densities in the open hole section. After entering the confined aquifer, SMD is maintained as the minimum mud density at the top of the aquifer during the drilling of the open hole section. Additionally, appropriate casing installation can reduce the SMD, minimizing the risk of mud loss or invasion into the highly permeable aquifer.

Density-Constrained Moving Least Squares for Visualizing Various Vector Patterns (다양한 벡터 패턴 시각화를 위한 밀도 제한 이동최소제곱)

  • SuBin Lee;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77-580
    • /
    • 2023
  •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과 같이 연속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 고차 보간(High-order interpolation)을 설계하는 것을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약적인 벡터와 밀도 형태를 몬테카를로법을 사용하여 이동최소제곱(MLS, Moving least squares)을 제곱하여 이를 통해 속도 필드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밀도의 형태를 고려하여 MLS의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를 보여주며, 그 결과가 벡터 보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를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 PDF

Optimized Volume Rendering Based on PyCUDA with Precomputed Density Query Acceleration (미리 계산된 밀도 쿼리 고속화를 이용한 PyCUDA 기반의 최적화된 볼륨 렌더링)

  • Sooho Lee;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61-364
    • /
    • 2023
  • 볼륨 렌더링은 3D 밀도 데이터를 가시화 할 때 활용되는 기술로써 이 알고리즘에서 중요한 것은 렌더링 시간 단축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 계산시간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렌더링의 처리시간은 탐색하는 횟수에 따라 결과 차이가 발생하지만, 탐색 횟수가 적을 경우 렌더링의 품질이 저하되고 반대인 경우에는 화질의 표현력은 높으나 많은 처리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화질이 떨어지지 않는 최소의 탐색 방법이 요구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밀도의 탐색 최적화와 시간별 밀도가 존재하는 위치를 예측하여 계산을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PyCUDA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Turbulence Generation and Advection in Smoke Using Stable Divergence-Constrained Moving Least Squares (안정적인 발산 제약 이동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연기의 난류 생성 및 이류)

  • Subin Lee;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407-41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Semi-Lagrangian 이류 과정에서 역추적(Backward tracing)한 위치의 주변 속도를 Divergence-constrained MLS(Moving least squares)를 이용하여 보간하고 그 결과를 이류된 속도 데이터의 외력으로 적용해 연기 시뮬레이션의 난류 표현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일반적인 MLS는 고차보간법이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연속성 보장이 안 되기 때문에 그 결과가 노이즈한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연기의 원본 속도와 제안하는 기법을 통해 생성된 속도 간의 각도 변화를 통해 난류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연기의 밀도를 이류시킨다.

  • PDF

Routing Algorithm for Urban Vehicular Ad hoc Networks (도시환경 VANET을 고려한 라우팅 알고리즘)

  • Jung, Hyun-Jae;Lee, Su-Kyoung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7 no.2
    • /
    • pp.157-161
    • /
    • 2010
  •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s) suffer from frequent network disconnections due to obstacles such as buildings even in urban environments with high density of traffic.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uting algorithm that finds optimal end-to-end paths in terms of both traffic density and distance in the urban VANET and selects the next hop with the minimum distance, while maintaining the minimum hop counts over the path.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higher throughput and smaller end-to-end delay than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GPSR) with message carrying.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of Natural Convection for Magnetic Fluids in Annular Pipes (이중원관내 자성유체의 자연대류에 대한 전열특성)

  • Park, J.W.;Jun, C.H.;Seo, L.S.;Ryu, S.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2 no.2
    • /
    • pp.73-79
    • /
    • 2002
  • Compared with Newtonial fluids, magnetic fluids have effects on magnetic force.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research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magnetic fluids which have metalic and fluid characteristics as the external pipe is being cooled and internal pipe is heated. This study found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study of the variety of natural convection for magnetic flui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 transfer by using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s from being imposed from the outside. Natural convection of magnetic fluids was controlled by the impressed magnetic fields, and the result of mean nusselt number was calculated. If the impressed magnetic field i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strength of impressed magnetic field is more than -14 m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heat transfer is more than that without the impressed magnetic field. If the strength of impressed magnetic field is less than -14 m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smaller than that without the impressed magnetic field. Especially, whe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s -14 mT, the heat transfer was at the minimum.

Study on the Network Design of Rainfall for Operation of KHNP Dam (한수원(주) 댐 운영을 위한 강우관측망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Jang, Bok-Jin;Jung, Sung-Won;Kim, Tae-Soon;Han, K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6-330
    • /
    • 2011
  • 댐의 최적운영을 위해서는 강우량, 유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과 같은 수문자료는 필수적이다. 이중 강우량과 유량자료는 치수 중심의 댐 운영에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며, 국가 수자원계획, 이수 및 환경 계획 등에도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강우량은 면적 강우량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에서 관측되어야 점 강우량을 면적 강우량으로 환산하는데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실제 발생되는 연속형 강우량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이산형 강우량의 차가 최소화될 때 가능한 일이다. 최근 강우 특성은 급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매우 시공간적으로 불규칙해졌으며, 특히 짧은 지속시간 동안 많은 양의 강우가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강우 특성 변화는 강우관측망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강우 특성을 반영하여 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존 관측망에 대한 재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재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관측망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개년(기상청)의 강우자료를 Kriging method로 공간 분포시켜 연속형 강우량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이산형 강우량의 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강우관측망을 구축하였다. 강우관측망을 구축한 결과, 최소 72개소의 강우관측소가 필요하였다. 기관별로는 한수원(주) 29개소(화천댐 유역, 신설 2개소 포함), 국토해양부 18개소, 한국수자원공사 4개소, 기상청(유인 및 무인) 21개소로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강우관측망은 대략 평균 $100km^2$의 밀도로 구축되었으며, 팔당댐 유역에서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 PDF

Design of a Water level Gauging Station Network in Flood Forecasting Warning System: Case Citarum River in Indonesa (홍수예경보구축을 위한 수위관측망 설계:인도네시아 찌따룸강사례)

  • Lee, Sung soo;PI, Wan Seop;Jun, Kye Won;Kim, Gi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1-301
    • /
    • 2019
  • 수위 관측 지점의 선정은 관측 기록의 목적, 지점의 접근성 등에 의해 결정되며, 수위는 유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수 자료이므로 수위 관측 지점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있어 수리조건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수위관측소(WLS, Water Level Station)는 홍수예경보, 수해방지 등의 치수계획과 하천운영, 용수공급 등의 이수계획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수질관리계획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지점에 WMO에서 제시한 수위관측소의 최소 밀도를 고려하여 설치된다. 한국의 경우 치수측면에서 홍수예경보시스템의 홍수예보 대상지점과 홍수유출 계산지점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한다. 이에 홍수통제소에서 운영하는 홍수예보 프로그램에 적절한 수위관측망을 고려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유역 출구점 또는 합류점을 모두 수위관측소 위치로 포함시키고 있다. 인도네시아 Citarum강 홍수예경보 모형의 실행 및 검정을 위해서는 주요 지류의 출구마다 수위관측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위관측소의 설치 및 운영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어진 예산을 고려해야 하며, 홍수예보를 실시하는 이유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인구와 홍수피해 잠재성이 높은 지점을 위주로 설치를 계획하여야 한다. 사업 대상지역인 Citarum강에서 BBWSC가 운영 관리하는 WLS는 29개소이며, 이 중 대상지역인 Upper Citarum Basin(UCRB)에는 20개소의 WLS가 운영되고 있다. 본 설계에서는 $300km^2$당 1개소의 수위관측소를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홍수예경보가 필요한 WLS 8개소를 도출하였으며, 소유역의 출구점 또는 합류점 등을 고려하여 수위관측소 위치를 결정하였다. 또한 UCRB의 과거 홍수피해상황, 과거 홍수범람실적, 홍수범람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실시간 자료 전송을 위한 통신 환경, 차량의 접근 용이성 및 하천구역 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홍수예경보 구축을 위한 최적의 수위관측망을 설계하였다.

  • PDF

Biomass and distribu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 Ocean (남극 남쉐틀란드 군도 북부 해역의 크릴 분포 및 자원량)

  • KANG Donhyug;HWANG Doojin;KIM Suam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6
    • /
    • pp.737-747
    • /
    • 1999
  • To estimate biomass and distribution of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hydroacoustic survey was conducted on board of R/V Yuzhmorgeologiya, which was chartered by Korea Antarctic Research Program (KARP) group from 18 to 21 December 1998,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 Ocean, The scientific echo sounder (towing body type) used was EK- 500 (SIMRAD, Norway) with echo integrator (BI-500) at 38 kHz frequency and recorded mean backscattering cross-section coefficient (SA) per 1 $mile^2$ of sea surface. Also, Bongo net sampling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ze of krill and CTD (Conductivity, Temperature and Depth) casting to understand physical structure. Water column was divided into 5 layers (22$\~$65 m, 65$\~$115 m, l15$\~$65 m, 165$\~$215 m and 215$\~$315 m) to know vertical distribution of krill biomass. The standard length of krill collected was between 30 mm and 51 mm, and adult krill had single mode (41 mm). Maximum horizontal length of krill patch was about 35 nautical mile and vertical thickness was about 275 m. High density of krill was appeared in frontal area between Circumpolar Deep Water (>$1^{\circ}C$) and very low temperature water mass (< $-0.5^{\circ}C$) that originate from Weddell Sea. According to the results calculated using target strength equation, krill density was totally higher in continental slope and open water areas than in coastal area. In the study area, krill seems to distribute in depth; density was low at first layer ($\={\rho}=17.0\;g/m^2$) and higher at fourth layer ($\={\rho}=40.19\;g/m^2$). The estimated krill biomass at total survey area and water column was about 2.77 million metric ion ($\={\rho}=151.0\;g/m^2$) and coefficient of valiance ( CV, $\%$) was 19.92. The proportions and biomass of krill biomass at each layer were as follows; layer 1 ($11.3\%$, 0.31 million metric ton, CV=16.24), layer 2 ($13.3\%$, 0.37 million metric ton, CV=34.91), layer 3 ($23.7\%$, 0.66 million metric ton, CV=41.5), layer 4 ($26.6\%$, 0.74 million metric ton, CV=27.84) and layer 5 ($25\%$, 0.69 million metric ton, CV= 26.83).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as Standard Species for Marine Ecotoxicity Tests (Skeletonema sp., Dunaliella tertiolecta) (해양생태독성시험 표준생물로서 미세조류의 특성 비교 연구(Skeletonema sp., Dunaliella tertiolecta))

  • Kim, Tae Won;Moon, Chang Ho;Lee, Su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5
    • /
    • pp.514-522
    • /
    • 2020
  • To understand the ecotoxi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representative Skeletonema sp. and Dunaliella tertiolecta, both producers as international standard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ity testing, we compared each standard test metho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suitability of the speci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ir sensitivity to various test substances. Although most of the test conditions were the same in each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in limitation of pH changing and the initial inoculation density in the validation criteria, which is supposed to originate from the low growth rate of D. tertiolecta. In terms of suitability, both species showed consistency in test performance by repeatedly meeting the validation criteria required by the standard test methods. The salinity ranges available for testing were 20 and 10 psu for Skeletonema sp. and D. tertioelecta, respectively. Finally, regarding sensitivity, the toxicity sensitivity of Skeletonema sp.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D. tertiolecta for the reference toxicant, actual polluted water discharged (ballast water), and other chemicals. This implies that using at least two species of microalgae from different classification groups could help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test results in the performance of marine ecotoxicity tests using produ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