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 페놀 화합물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31초

싸리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Genus Lespedeza)

  • 김상민;정유진;판철호;엄병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9-775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복분자 추출조건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특성변화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Properties of Rubi Fructus Extract Depending on Extraction Conditions)

  • 윤성란;정용진;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8-345
    • /
    • 2003
  • 복분자 추출에 따른 페놀성화합물의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시료에 대한 용매비(5, 10, 15 mL/g), 에탄을 농도(20, 40, 60%) 및 추출시간(2, 4, 6 hr)을 달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 공여능,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항산화능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pH 1.2 및 6.0에서는 에탄을 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pH 3.0및 4.2에서는 추출시 간의 영 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에 있어서 최적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4.16mL/g, 에탄을 농도 39.08% 및 추출시간 2.99 hr으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경우 시료에 대한 용매비 14.06mL/g, 에탄을 농도 35.51% 및 추출시간 3.15 hr으로 나타났다

참취 데치기 최적 공정 확립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변화 (Optimization of Blanching Process of Cirsium setidens and Influence of Blanching on Antioxidant Capacity)

  • 조현선;하유진;김연태;강길남;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3-182
    • /
    • 2017
  • 본 연구는 참취의 데치기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조건마다 생산된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를 분석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데치기 최적공정은 시간 과 온도를 요인으로 하여 표면반응분석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데치기 공정 후에 추출물을 제조하여 데치기가 총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데치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총 페놀 함량의 범위는 13.00 - 35.48 mg/g 이고 최대 예측 총 페놀함량은 35.48 mg/g, 플라보노이드는 함량의 범위는 2.35 - 8.38 mg/g 이고 최대 예측 플라보노이드 함량 은 8.38 mg/g,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42.10 - 67.14%이고 최대 예측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4%로 측정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의 변화는 데치기 시간 보다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향을 보면 데치기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데치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 항산화능은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풀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Biofunction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Leaves Ethanol Extract)

  • 박성진;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71-17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재배된 70% 오이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페놀릭 화합물과 항산화성(DPPH, ABTS, FRAP, 환원력)에 대해 실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19.3{\pm}1.54mg$ gallic acid and $59.6{\pm}1.43mg$ rutin를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릭 화합물의 주된 물질은 Catechin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이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성 및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서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벼 잎의 탄수화물, 아미노산, 페놀화합물 함량과 잎 도열병에 대한 성체식물 저항성과의 관계 (Carbohydrate, Amino Acid and Phenolic Contents of Rice Leaves in Relation to Adult-Plant Resistance to Leaf Blast)

  • 황병국;김기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99
    • /
    • 1987
  • 포장에서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다른 6개의 벼 품종을 일정한 환경조건에서 재배하여 벼 잎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 함량과 식물의 여러 발육시기 및 벼 잎의 나이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벼가 발육하는 동안 벼 잎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총 아미노산 및 페놀 화합물의 함량에 있어서 감수성 품종과 성체식물저항성 품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단지 성체식물저항성 품종인 도봉만이 식물이 발육하는 동안 다른 품종에 비해 inositol함량이 가장 적었다. sucrose, inositol,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5엽기보다 8엽기에서 증가하였으나 12엽기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반면에 총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은 식물이 발육하는 동안 점차로 감소하였다. 건전한 5엽이 노쇠함에 따라 가용성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품종간의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특히 도봉품종의 노쇠한 5엽에서 페놀화합물이 가장 높았다. 벼가 성숙하여 감에 따라 또한 노쇠한 벼 잎에서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증가되는 것은 아마도 도열병의 발생에 상이하게 작용하는 벼의 발육과 벼 잎이 노쇠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생리적인 변화에서 기인하는 상이한 현상일지도 모른다.

  • PDF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Soybean Pastes Adding Sword Bean and General Soybean Pastes)

  • 이학태;김종호;이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4-101
    • /
    • 2009
  • 작두콩 첨가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래 된장에 8.0% 작두콩을 첨가한 된장과 쌀된장에 6.5% 작두콩을 첨가한 된장 등 총 2종을 실험구로 하고, 재래된장 및 쌀된장 그리고 시중에서 유통되는 일반 된장 6종 등 8종을 대조구로 하여 전자공여작용, 총 페놀화합물 함량, 이소플라본 함량, ACE 활성저해 효과,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전체적으로 $23.6{\pm}3.0{\sim}88.3{\pm}0.7%$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작두콩 첨가 된장인 J2, J4가 각각 $81.5{\pm}2.2%$, $88.3{\pm}0.7%$로 다른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전체 시료가 $928.5{\pm}1.4{\sim}1785.7{\pm}3.9\;mg/kg$의 분포를 나타냈고, J2와 J4가 각각 $1773.8{\pm}2.9\;mg/kg$, $1785.7{\pm}3.6\;mg/k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ACE 활성저해 효과도 전체적으로 $32.7{\pm}3.3{\sim}63.1{\pm}1.0%$의 분포를 보였으며, 작두콩 첨가 된장인 J2, J4가 각각 $63.1{\pm}1.0%$, $62.1{\pm}1.4%$로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소플라본 함량은 배당체인 daidzin 이나 genistin 보다 aglycone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는 전체 시료가 $40.4 {\pm}1.2{\sim}61.7{\pm}2.0%$의 분포로 나타났으나, 이소플라본 함량과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의 경우, 작두콩 첨가 된장과 다른 대조구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료간 콩 함량에 따라 전자공여능, 총 페놀화합물 함량 등의 결과에 관련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작두콩 첨가 된장의 경우 전자공여능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았고 항산화능과 ACE활성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혈압과 동맥 경화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산 대두 (Heinong 48)의 페놀성 화합물 검출 및 항산화 효과 (Identifica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from Chinese Soybean (Heinong 48))

  • 전기숙;서윤룡;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9-2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대두의 천연 항산화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중국산 대두(Heinong 48)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91{\pm}0.57GAE\;mg/g$$4.15{\pm}0.39QE\;mg/g$이었다. 중국산 대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IC_{50}$$2.04{\pm}0.16mg/mL$이었다. 중국산 대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IC_{50}$$3.31{\pm}0.31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국산 대두는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항산화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홍미삼 에탄올 추출분획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ion Fraction from the Korean Red Tail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7-50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홍미삼의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 총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방법과 DPPH에 대한 수소공여능, linoleic acid의 산화방지활성 및 LDL에 의한 항산화활성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홍미삼에 60% 에탄올를 첨가하여 추출회수별 총 페놀성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3회까지 추출했을 때 대부분이 추출되었기 때문에 추출횟수는 3회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0% 에탄올 추출액의 수율은 3회까지 추출했을 때 약 37.35%가 추출되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총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효율은 물 추출구를 100%로 했을 때, 60%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뒤 농축하여 물로 부피를 재조정한 시험구는 122%로 조사되었다. 항산화활성 조사에서 DPPH에 대한 수소공여능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약간씩 증가하나 활성은 약한 편이었다. Linoliec acid 산화에 대한 산화억제 효과는 1,500 ppm 농도에서 약 72.23%의 저해율을 나타났으며, LDL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250 ppm 농도에서 그 저해율이 약 22.52%로 나타났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볶음 새송이버섯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Extracts from Roasted Pleurotus eryngii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32-739
    • /
    • 2006
  • 볶음처리한 새송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즉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및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pH 1.2에서의 아질산염소거능은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75% 에탄을 농도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7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소거능의 경우추출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의 경우 100 W로 추출하였을 때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전자공여능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은 25 W일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