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 단백질

검색결과 1,344건 처리시간 0.026초

A Comparison of Various Energy and Protein Concentrations in Diets on the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 Choe, Ho Sung;Um, Jae Sang;Ryu, Kyeong Se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9-377
    • /
    • 2013
  • 본 실험은 육계의 서로 다른 농도의 에너지와 단백질이 생산성과 혈액성상 및 BMD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 차례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총 480수의 Ross ${\times}$ Ross 병아리를 무작위로 6처리구(5반복; 16수/펜)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사료 내 ME는 3,000, 3,100, 3,200 kcal/kg 수준으로 하였고 CP는 초기 22, 23%, 전기 20, 21%, 후기 18, 19% 수준으로 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유사하게 병아리와 CP를 적용하였으며, 사료 내 ME 수준을 변형하였다(초기 : 3,000, 3,050, 3,100 kcal/kg, 전기 : 3,050, 3,100, 3,150 kcal/kg, 후기 : 3,100, 3,150, 3,200 kcal/kg). 두 실험에서 처리구당 10수씩 혈액과 경골 샘플을 채취하였고, 혈액성상과 BMD를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3,000 kcal/kg의 에너지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증가되었다(P<0.05). 혈청 총 단백질과 albumin 농도는 CP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콜레스테롤과 HDL의 함유량은 에너지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수치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 2에서 증체량은 일관되게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수치적으로 증가하였다(초기 $3,000{\times}23$, 전기 $3,050{\times}21$, 후기 3,100 kcal/kg ME와 19% CP). 혈청 glucose 수준은 에너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됐다(P<0.05). 따라서 혈청 총 단백질, albumin, triglycerides, 총 콜레스테롤 그리고 HDL 함유량은 사료 에너지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Aspergillus oryzae와 단백질 분해효소 첨가에 따른 콩알메주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using grain type Meju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protease)

  • 길나영;최보영;박신영;조용식;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97-706
    • /
    • 2017
  • 본 연구는 A. oryzae를 접종하여 제조한 콩알메주 된장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 등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콩알메주 된장의 수분함량 및 pH는 단백질 분해효소 첨가 된장이 무첨가 된장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염도와 색도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적정산도, 환원당 및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질 분해효소 첨가 된장이 무첨가 된장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alpha}$-amylase 효소활성은 Aspergillus속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단독 및 혼합처리 된장의 경우 발효 4주차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단백질 분해효소 무첨가 된장은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rotease 효소활성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한 된장의 경우 무첨가 된장보다 약 4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무첨가 된장에 비해 단백질 분해효소처리 된장에서 Protease A 처리 시 arginine, lucine, tryptophan, phenylalanine 등 4종, Protease B 처리 시 histidine, serine, glycine, threonine, proline, isoleucine, lucine, phenylalanine 등 8종, Protease A+B 혼합처리 시 histidine, serine, glycine, threonine, proline, tryptophan, isoleucine, lucine, phenylalanine 등 9종의 유리아미노산이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단백질 분해효소 첨가 된장의 경우 무첨가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총 균수와 곰팡이 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첨가 유무와 상관없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A. oryzae 접종 콩알메주 된장의 제조 시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킬 경우 효소에 의해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함량과 항산화능이 증가하고, ${\alpha}$-amylase와 protease 등 효소활성이 높아 된장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키면서 맛과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50세 이상 한국인의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Plant Proteins in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uth Korean Individuals Aged 50 Years or Olde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전숙현;이정우;신우경;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7,956명(남성 3,434명, 여성 4,522명)이 연구에 포함하였다. 건강관련 삷의 질은 신체 기능, 자기 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쾌감, 불안/우울 문제로 구성된 삶의 질 5차원 지표(EQ5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성 단백질 일일 섭취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은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식물성 단백질, 콩과 견과류 종자(LNS) 및 발효 콩(FERMB) 단백질의 섭취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건강관련 삷의 질과 건강관련 삷의 질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다(p < 0.01). EQ5D의 지표 중 신체 기능과 일상 활동이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LNS 단백질이나 FERMB 단백질 섭취에 비해 총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건강관련 삷의 질과 더 큰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삷의 질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식물성 단백질의 적절한 섭취가 한국 성인의 건강관련 삷의 질 유지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spA의 발현이 저온에서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spA expression on the productivity of recombinant protein at low temperature)

  • 김수현;허미애;이선구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96-1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온에서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저온에서 RNA 샤페론 활성을 지닌다고 알려진 CspA 단백질의 발현이 서로 다른 온도에서 대장균의 성장 및 GFP의 발현 속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20^{\circ}C$, $25^{\circ}C$, $37^{\circ}C$에서는 세포 성장 및 GFP의 생산이 CspA의 발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15^{\circ}C$에서는 GFP의 총 생산성이 CspA의 동시 발현에 의해 향상되었으며 이는 세포 성장 속도의 향상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spA의 발현은 $15^{\circ}C$에서 세포 당 재조합 단백질 생산량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즉 재조합 단백질의 번역 효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대장균 성장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재조합 단백질의 총 생산량 향상을 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Lysine 보리 돌연변이 계통 M98 종실의 아미노산 조성 및 Proteome Profile 특성 (Characterization of Grain Amino Acid Composition and Proteome Profile of a High-lysine Barley Mutant Line M98)

  • 김대욱;김홍식;박형호;황종진;김선림;이재은;정건호;황태영;김정태;김시주;;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1-181
    • /
    • 2012
  • 본 연구는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 함유된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profile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M98의 고-Lysine 및 함몰배유 형질에 관련된 생화학적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쌀보리와 M98 종실의 총 16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lysine을 비롯하여 총 6개 아미노산의 조성비가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1.2~1.8배 높았다. Proline과 그것의 전구물질인 glutamic acid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낮았는데, glutamic acid를 전구물질로 하여 합성되는 arginine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보다 1.8배 높았다. 2. 찰쌀보리와 M98간의 종실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한 결과, 총 70개 단백질 spot에서 발현양상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찰쌀보리에 비해 M98에서 발현양이 높은 단백질 spot은 44개였으며, 발현양이 낮은 단백질 spot은 18개였다. 나머지 8개 단백질 spot에서 7개의 발현은 찰쌀보리에서만 확인되었고, 1개의 발현은 M98에서만 확인되었다. 3.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서 발현양상 차이를 나타낸 총 53개의 단백질 spot을 선택하여 nESI-LC-MS/MS 방식으로 동정하였으며, 대부분의 단백질 spot은 종실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이었다. 특히, 28개 단백질 spot은 M98의 함몰배유 및 고-Lysine 형질과 연관된 단백질이었다. 4. 본 연구에서 밝혀진 M98 종실의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발현특성 정보는 향후 M98 유래 계통을 이용한 유전학적 검토 등을 통하여 고-Lysine 형질 연관 바이오마커 및 보리 신품종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백질 기능 흐름 모델 구성 및 평가 기법 (A Method for Protein Functional Flow Configuration and Validation)

  • 장우혁;정석훈;한동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4호
    • /
    • pp.284-288
    • /
    • 2009
  • 단백질 상호작용의 예측 및 실험 결과가 대용량으로 배포되면서 바이오 정보 기술 연구자들은 생명체 내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상호작용 데이터들은 많은 오류를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단백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구조를 기반으로 한 방법들이 실제 실험과 병행되어 고화질(High resolution)의 결과를 제공하게 되면서, 특정 종에 대한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가 점차 완성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 물리적 링크 수준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만으로는 특정 병원체의 발병 메커니즘 규명 등과 같은 응용분야의 활용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보고된 신호 전달 경로(signaling transduction pathway)를 이용하여 단백질 기능 간의 관계를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로 표현한 단백질 기능 흐름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Gene Ontology에서 정의된 molecular function을 정점(vertex)으로 가지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간선(edge)으로 표현함으로써 특정 기능의 전이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흐름 모델은 수 만개의 정점(vertex)으로 구성된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의미 있는 경로를 추출하는 데에 제약 혹은 참조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어 향후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평가는 KEGG에서 제공되는 11개의 인간 신호 전달 경로 각각에 대하여 대상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로부터 생성된 모델과의 크론바하 알파 계수(Cronbach's alpha)를 측정하였고(${\alpha}=0.67$), 총 1023개의 흐름 중 ${\alpha}=0.6$ 이상의 신뢰도에 대하여 총 765개의 흐름을 가지는 기능 흐름 모델을 최종 구성하였다.

미강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혈청과 간조직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Rice Bran Extracts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Rat Fed with High Fat Diet)

  • 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8-182
    • /
    • 1997
  • 미곡부산물인 미강은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대부분이 미강 그 자체나 미강유를 이용한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강의 어느 획분이 흰쥐체내 지질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히고자 미강의 물추출물, 80% 메탄올 추출물 및 식이섬유-단백질 추출물을 조제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4주간 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 중의 지질함량 및 간장중의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식이섬유-단백질 추출물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증가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혈청지질 중에서는 식이섬유-단백질 추출물군의 총콜레스테를 농도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장에서는 실험군 모두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총지질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중성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콜레스테롤량은 식이섬유-단백질 추출물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각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장 중 과산화물가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특히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다.

  • PDF

대두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품종간 비교 (Variation in Bowman-Birk type Protease Inhibitors of Soybeans)

  • 노범섭;이홍석;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116-125
    • /
    • 1989
  • 대두로부터 추출, 정제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 들의 함량과 전기영동양상을 비교하고 정제된 inhibitor내에 존재하는 각 isoinhibitor들의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종실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cysteine 함량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8품종의 대두로부터 Sephadex G-75를 이용하여 얻은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함량은 단백질 100g당 $6.67{\sim}9.36g$으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전기영동 양상은 품종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각 band의 함량에도 차이가 있었다. 8품종의 정제된 inhibitor에서 나타나는 총 14개의 전기영동 band 중 10개의 band가 protease 저해활성도를 보유하였고 그중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것은 band 7이었으며 그 함량은 단백질 100g당 $0.768{\sim}1.271g$으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종실내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품종에서 함량이 많았다. 대두품종별 chymotrypsin 및 trypsin저해활성도는 각각 종실 g당 $52,200{\sim}15,225$$164,700{\sim}37,500$으로 품종간에 3배 및 4배의 차이를 보였고 단백질 g당으로 환산한 값은 $158,662{\sim}40,033$ 및 500, $608{\sim}120,347$로서 종실 g당 저해활성도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품종별 cysteine 함량은 단백질 g당 $0.1258{\sim}0.0763-mmoles$로서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실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정의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전리수가 생체물질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on the degradation of biomolecules)

  • 김윤경;박혜린;이종권;이윤배;류근걸;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성전리수와 환원전리수가 생체물질인 DNA와 단백질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성전리수에서 DNA는 반응 1일 후 약 $40\%$가 분해되었고 1주일 후에는 거의 완전히 분해되었다. 이에 비해 환원전리수에서 DNA는 총 10일간의 반응시간동안 거의 분해가 되지 않았다. 산성전리수에 크기가 약 40 kDa인 효소단백질을 반응시켰을 때 반응시점부터 효소단백질이 분해되기 시작하여 26 kDa와 35 kDa의 단백질 조각이 잘라져 나왔다. 증류수에 반응시킨 효소단백질도 산성전리수에서와 동일한 크기의 단백질 조각을 생성하면서 분해되었다. 산성전리수와 증류수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는 $4^{\circ}C$ 보다 $25^{\circ}C$에서 더 심화되었다.

  • PDF

기술정보-하수에서 동물사료 추출성공

  • 데이비
    • 과학과기술
    • /
    • 제10권11호통권102호
    • /
    • pp.40-41
    • /
    • 1977
  • 영국과학진은 하수에서 양질의 단백질을 빼내는데 성공했다. 오염의 처리와 자원의 회수를 동시에 할수 있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