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유기물질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reatability of Heavy Metals in the Washing Technology of Marine Sediments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ter (세척기반처리에 의한 해양오염퇴적물에 함유된 유기 오염물질 제거 공정 중 중금속 처리 가능성)

  • Sim, Young Sub;Kim, Kyoung Rean;Kim, Su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2
    • /
    • pp.851-857
    • /
    • 2014
  • Treatability of heavy metals in marine sediments contaminated with mainly organic matter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washing technology using oxidizers and surfactants.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at N area which expected for remediation project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For additives,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Tween-80 were used at oxidizer and nonionic surfactant, respectively. In experiments, sediments was mixed with sea water at the ratio of 1 : 3 than $H_2O_2$ (1 M, 3 M, 4 M, 5 M) and Tween-80 (0.05%) were added. Samples were gathered at following reaction time (10, 20, 30, 40, 50, 60, 70, 80 min and 24 h). Total Organic Carbon (TOC) was 55.2% at the conditions of 5 M $H_2O_2+0.05%$ Tween-80 24 h. Hence total heavy metals were Cu 29.5%, Zn 42.3%, Cd 73.0% and bioavailable heavy metals were Cu 60.0%, Zn 77.7%, Cd 90.2% at the conditions of 5 M $H_2O_2+0.05%$ Tween-80 10 min. The correlations for between bioavailable metals (Cu, Zn, Cd) and TOC were significant (Cu, Zn, Cd; $r^2=0.94$, 0.85, 0.69, respectively).

A Study on Coagulation and MF Membrane Process for the Reuse of Sewage Effluent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응집 및 정밀여과 처리공정에 관한 연구)

  • Paik, Ke-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20 no.3 s.57
    • /
    • pp.36-43
    • /
    • 2005
  • Prior to the study of the sewage treatment methods, water quality for Gwangju sewage of fluent was investiga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for sewage water reuse. Monthly mean values of BOD, SS, turbidity, total phosphorus and color were 4.1 mg/L, 2.9 mg/L, 0.8 NTU, 1.3 mg/L, and 27 unit, respectively. Jar-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under the coagulation conditions of fast mixing for 5 min, slow mixing for 15 min and precipitation for 1hr. Here, alum and polyaluminium chloride (PAC) were used as coagulants to reduce color, turbidity,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in sewage efflu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AC gave better efficiency in removing turbidity and dissolved phosphorus than alum. It was also found from the relative molecular weight (RMW) distribution analysis that organic matter over 1,000 Dalton (Da) was easily removed by coagulation and subsequently MF treatment, while it was not effective for less than 500 Da. Based on tis result, Natural organic matter (NOM) with lower molecular weight (< 500 Da) may cause harmful disinfectant by-product (DBP) after chlorine treatment. Thus,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eems to be required for the complete removal of DBP in the hybrid system.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 이진환;오희목;맹주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8 no.3
    • /
    • pp.355-365
    • /
    • 2000
  •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factor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a at two stations in the Daechung Reservoir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November 1998. Nutrients (nitrite, nitrate, ammonia and phosphate) have gradually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previous reports. Concentrations of the total nitrogen, phosphorus, chlorophyll -a and transparency exceeded the standard value of eutrophication.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eutrophication of the Daechung reservoir was caused by various pollutants.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but very tiny cell-sized blue-green algae were less important in regards to the chlorophyll-a. Except at station 1 from July to August,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bloomed during the time of the survey. Spring phytoplankton blooms caused by nitrate and phosphate in the surface layer. High concentrations of the suspended solids in July and August were caused by an inflow of them due to heavy rains. Den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high in August owing to the high water temperatures and the organic nutrients which were from the nearby reservoir.

  • PDF

Analysis of Organic Carbon Mass Balance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 모델을 이용한 대청호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

  • Kim, Dong Min;An, In Kyung;Min, Kyug Seo;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2-62
    • /
    • 2021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 하천에서 나타나고 있는 난분해성 유기물 오염도의 증가 추세에 대응한 실효성 있는 유기물 오염관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기물의 근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저수지시스템에서의 유기탄소 물질수지를 해석하는 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7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을 수행하였고 2018년을 대상으로 모델을 검정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다. 모델은 2017년과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온,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2017년 68.4 %, 2018년은 높은 강우량의 영향으로 55.0%로 산정되었다. 내부 소멸 기작 중 침전으로 인한 손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과 2018년 각각 31.3%, 29.0%로 나타났다. TOC의 공간분포는 Chl-a 농도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댐 설치로 형성된 정체수역은 유역의 유기물 순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OC 관리 정책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서는 향후 유역-저수지 시스템을 연계한 유기물 물질순환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fect of turbidity current on organic carbon cycle in Daecheong reservoir (탁수가 대청호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Dong Min Kim;Se Woo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8-148
    • /
    • 2023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와 같이 몬순 기후대에 속한 댐 저수지의 경우 강우시 유입하는 탁수에 의해 다량의 유기물과 인이 유입되기도 하지만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요인 중 광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은 수체 내 유기탄소 내부생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점 단위의 실험적 방법을 활용한 유기탄소 순환 해석은 저수지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탁수가 저수지에서의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8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기탄소순환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으며 탁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탁수 포함여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유기탄소 생성 및 소멸기작별 변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은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수온 및 탁도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탁수를 고려하였을 시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56% 수준이였으나 탁수를 배제한 경우 내부기원 부하량은 82%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Chl-a 농도가 44~48% 차이가 발생하면서 1차생산량이 약 4배가량 증가하였다. 몬순지역에서의 탁수는 체류시간이 긴 성층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제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유기탄소 순환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Decomposition of Organophosphorous Compounds with Ultraviolet Energy(UV-C) (자외선에너지(UV-C)를 이용한 유기인계 화합물의 분해)

  • Kim, Jong-Hyang;Min, Byoung-Chul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1
    • /
    • pp.28-32
    • /
    • 1998
  • Two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s, Dichlorovos and Chloropyrifos were degraded in the presence of UV irradiation, UV irradiation with $TiO_2$ powder and UV irradiation with sea sand using low pressure mercury lamp. The identification of these compounds was carried out by gas chromatograph with a nitrogen-phosphorous detector, Total Organic Carbon and Ion Chromatograph, respectively. Both dichlorvos and chloropyrifos, UV irradiation with sea sand were more degradable than UV irradiation and UV irradiation with $TiO_2$ powder. The final products were $Cl^-$ in Dichlorvos, $Cl^-$ $SO_4{^{2-}}$ in Chloropyrifos, respectively.

  • PDF

Measurement of total primary production of Han River and contribution to eutrophication of inflowing streams (한강의 총일차생산량 측정과 유입지천의 부영양화 기여도 산정)

  • Kim, Ui Seok;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3-473
    • /
    • 2022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중의 일차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해당 수역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수역의 상위 먹이 단계의 총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 구성원이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과거 1994년 이후로 2017년까지 5년 간격으로 총 6회 연구된 결과, 해당 하천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였다.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 PDF

Availability Evaluation of TOC as the Environmental Standard - Survey of Lakes in Nakdong River Basin - (환경기준으로서의 TOC에 대한 활용성 평가 - 낙동강수계 호소를 대상으로 -)

  • Choi, Byoungwoo;Kang, Meea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2
    • /
    • pp.173-180
    • /
    • 2018
  • The utilization of TOC(Total organic carbon), a new environmental standard, was evaluated for 30 lak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is used for drinking and agricultural usage. The active use of water resources begins with securing satisfactory water quality. Since this allows people and nature to maintain stability of quality, water quality standards are being tightened to ensure good water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pollution level of organic matter in lakes in the living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use the appropriate organic substance index.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ly introduced TOC and the existing COD(Chemical oxygen demand) in the targeted l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TOC with COD. However, the environmental grade standard using TOC is better than the environmental grade standard using COD, so it ha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grade of water quality using TOC as an organic substance factor. This indicates the limitation of TOC to directly replace existing COD when trying to determine or improve the quality level using organic indicators of lake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ative safety of the lake,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environmental standards of TOC in terms of water quality grad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OC and COD shows a grea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ake. This requires clear scientific identification, and it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of COD that has been used to accumulate indicators of lake organic matter.

Estimation of change in primary production of rivers and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by discharge volume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에 의한 한강의 일차생산량 변화와 유기물 기여도 산정)

  • Ui Seok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8-218
    • /
    • 2023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선행연구와 비교 결과, 한강 본류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고 있으며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과 지류에서 기인할 수 있는 부영양화 기여도를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일차생산량이 점차 중가하였으며 지천이 유입되는 안양천, 탄천지점에서 유기물분해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미생물 활성도가 높아져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름 조사 전 강우에 의한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비교적 낮았지만, 호수의 부영양호 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부영양한 수체로 판단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riploid Carp Muscle 1. The Taste Compounds of Triploid Carp Muscle (3배체잉어 근육의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 1. 3배체잉어 근육의 정미성분)

  • LEE Eung-Ho;CHUNG Bu-Gil;KIM Jin-Soo;AHN Chang-Bum;OH Kwang-So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2 no.3
    • /
    • pp.154-160
    • /
    • 1989
  • To obtain basic data on food components of triploid fish, we undertook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nucleotide, total creatinine, betaine, trimethylamine oxide(TMAO)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diploid and triploid carps(Cyprinus carpio).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belly and dorsal muscles of triploid carp were 346.1mg/100g and 333.4mg/100g. Histidine occupied $45.1\%\;and\;46.9\%$ in belly and dorsal muscles, and followed by taurine, lysine and glycine in order. As for the compositions of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those muscles of triploid carp, IMP were revealed $73.9\%\;and\;65.8\%$ of total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The major component of the other organic base in those muscles of triploid carp was total creatinine, but betaine and TMAO were poor. The contents of taste compounds such as free amino acid, nucleotide, total creatinine, betaine, TMAO and their related compounds were less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nonspawning season, while were more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spawning season.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more in diploid carp of nonspawning season than in triploid carp, but mineral contents were more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spawning seas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riploid carp is very worthy for a tasty and nutritional food sour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