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중.고 교사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 및 학교·학원 교사와의 관계의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The Effects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chool/institute Teachers as Protection Factors for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송인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8-31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들이 맺고 있는 주요 성인들과의 관계요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학교 및 학원교사와의 관계가 초·중·고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2019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N=7,454)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관계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게임이 용행태 요인 그리고 친구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게임중독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유일하게 모(母)와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부(父)와의 관계가 오히려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과 학교교사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보호효과는 중학생 집단에서만 확인되었으며, 기대와 달리 학원교사와의 관계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와 향후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mages of Scientists)

  • 임성만;임재근;최현동;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mages of scientis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711 people. The results generally was showed th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have the stereotyped image of scientists. When we group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s elementary-school students, middle-school students, high-school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elementary-school teachers, and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m by the method of ANOVA, we could see the meaningful differences (p<0.05). And also elementary-school student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when examined on the $Scheff{\acute{e}}$ test.

  • PDF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97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 중 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학생의 과학적 재능과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tudents' Scientific Talent and Interest Among Students Themselve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 조현주;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59-56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 중학생이 가진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해보고, 그 중에서 과학고 진학 희망 학생틀의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한 개 광역시의 초 중학생 592명과 그들의 학부모 592명 및 그들의 지도교사들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학생의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인식이 학생에 비해 교사나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인식 정도는 세 집단 모두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둘째, 학생, 학부모의 경우는 남학생의 과학 재능과 흥미에 대한 인식이 여학생보다 높았던 반면, 교사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과학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의견의 일치도는 세 집단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5%로 아주 적었고, 학생은 원하지만 학부모와 교사가 원하지 않는 경우와 학생은 원하지 않는데 학부모는 원하는 경우를 합하면 50% 정도로 의견의 불일치 정도가 상당히 컸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의 과학 분야의 진로 선택에서 학생의 의견과 적성이 우선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교사 간의 대화를 통한 의견 조율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현재로서는 과학 분야의 진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중학생 시기가 진로 탐색 시기임을 고려하여 학부모와 교사가 그 학생의 과학적 적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과학 분야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진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초·중·고 보건교사들의 메르스 발생 시 대응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achers' Countermeasures Against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s, Including MERS)

  • 전은경;이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react to infectious disease like MER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1,267 school health teachers. Results: When MERS was an epidemic, school health teachers who took the 'leading' role were 92.4%. A school heath teacher's counter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howed a high score during MERS outbreak (3.81) compared to regular days (3.59). Conclusion: Based on such result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schools need to keep two types of procedures manual, such as 'countermeasures on a regular basis' and 'countermeasures in the event of a pandemic disease outbreak' manual in the staff offices so that anyone can view them at any ti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gulations to strengthen their authority so that school health teachers can take the role of control tower, in a professional capacity, when communicable disease is spreading. In order to prevent any confusion and chaos, there should be a unitary reporting system at each school when dealing with an epidemic. School health teachers need to get continuous training to reinforce their abilities to react to communicable diseases.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Teachers'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of Key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s)

  • 김해윤;허난;노지화;강옥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05-625
    • /
    • 2012
  • 국내외 교육개혁에 있어 역량이 도입되는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초 중 고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제안한 핵심역량 중 교수 학습 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능력, 기초학습능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력은 수학내용과 직접적인 연결이 안 됨, 수업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교수 학습 과정에 덜 반영되고 있으며, 특히 국제사회문화이해, 시민의식, 대인관계능력, 진로개발능력은 수학교육에 반영이 어려운 역량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은 수학교육을 통해서도 길러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교사들의 인식전환, 교수 학습 방법과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홍보, 평가 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학령기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 최정아;서준호;양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3-217
    • /
    • 2020
  • 본 연구는 특정전공 대학생들이 해당전공을 선택하기까지 전 학령기에 걸쳐 형성되는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을 조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커리어오그램을 사용하여 글로벌통상학과와 영문학과 대학생들이 초·중·고·대학에 이르는 진로발달과정자료를 수집,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 진로발달양상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달시기별 진로목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맥락적 요소는 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의 경우 전 학령기 중 중학교 시기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가정환경 및 친구와 함께 개인의 진로포부수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진로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빅데이터와 상담학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한 학령기 진로지도 및 교육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How to Develop a Metaverse Platform for Educational Purpose: A Focus Group Study

  • Kim, Hee Chul;Kim, Myoeun;Park, Il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53-2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경험이 있는 초, 중, 고 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육용 메타버스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교사는 총 1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 간 실시하였고, 1차, 2차의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주제질문(메타버스 플랫폼 상에서 교육을 하는 것의 필요성, 메타버스를 소프트웨어의 하나로서 교육적인 도구로 사용할 때의 이점, 메타버스를 활용해서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기에 적합한 수업,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서 학생 교육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교육용 메타버스에서 꼭 필요한 기능,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있어 정책적 제언)에 대해 17개의 하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ESG와 기업가정신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중·고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中心)으로 (The Exploratory Research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Connecting ESG with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the Education Operation Cases of Elementary and Junior·Senior High School)

  • 남승완;이종현;이창수;김경민;이선영;김승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7-132
    • /
    • 2022
  • 지구 곳곳의 이상 기후로 인류는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고 있다. 자연 앞에 인간은 한낱 무기력한 존재로서 이제야 겸손함을 배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이유를 자연으로 돌리는 데는 무리가 있는데, 이는 환경에 대한 사랑과 애정을 쏟지 않은 당연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작금의 시점에서 인류가 할 수 있는 것은 지구를 더 사랑하고 아끼는 방법 밖에 없는데 대안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ESG의 실천이 작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며 큰 숙제로 다가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년 이상의 초·중·고 현장에서 경험이 풍부한 현직 교사, 대학 교수, 교육 실무전문가 등을 통하여 'ESG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형 학습 방식'을 개발하여 「ESG와 기업가정신의 접목」을 통하여 이를 실행하였다. 교육 실시 이전·이후로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중·고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때부터 ESG에 관심을 가지고 '세계의 위기 극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에 관한 고민을 토대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A Caus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of Change in Science Attitude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권치순;허명;양일호;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56-1271
    • /
    • 2004
  • 최근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학업 성취도, 교육 프로그램의 일관성, 수업의 질뿐만 아니라 과학 교육의 관점과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도 영향을 준다. 그 동안의 과학 태도에 대한 선행 연구와 국제 비교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환경 변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6,925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부터 3회에 걸쳐 학생틀의 과학 태도와 학습 환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일년 중 6월 이후에 낮아지고,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과학 태도가 크게 변하였다. 과학 태도가 1학기보다는 2학기에 더 많이 하락하였으며, 초 중학교 학생들보다 고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하락 폭이 더 컸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과학에 대한 경험이고, 교사, 학급 분위기 등이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변인은 과학 태도가 하락한 학생과 과학 태도가 상승한 학생이 각각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 태도에 영향을 주는 범주는 초등학교에서는 성, 학년, 지역, 중학교에서는 학년과 지역,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지역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