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중등 교육과정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19초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 교육 경험에 따른 ICILS 2018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ICILS 2018 Results by Korean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 전성균;손윤희;박상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8
    • /
    • 2020
  • ICILS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정보' 과목이 선택 과정인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았다. ICILS 2018 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학생에 따라 관련 교육 경험이 다를 수 있다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관련 교육 경험을 개인적 차원과 학교 교육 측면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주요 변인으로 하여 ICILS 2018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 점수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코딩 혹은 프로그래밍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점수는 관련 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 과목을 이수한 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컴퓨팅 사고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초·중등 공교육을 통한 교육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 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o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 신민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7-96
    • /
    • 2022
  • 본 연구는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 성찰이 어떻게 각자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였는지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분한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이들을 의도적으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각 교사가 진행한 수업, 사전 의견 나누기, 사후 면담, 9차례의 협력적 성찰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는 전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교사는 모두 협력적 성찰을 반복해서 진행하면서 수업 전문성 발달과 수업 실행 변화를 보였다. 민영의 경우 교사 주도의 수업을 진행하는 한계를 보였으나,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과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을 발달시켰고 수업 내 학생들의 권한을 확대해나갈 수 있게 되었다. 소영의 경우 학문적 엄격성을 강조하면서 다소 교육과정에 벗어나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는 한계를 보였으나,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과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을 발달시켰고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대해 고려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연은 활동을 이론 설명과 분리하여 따로 진행하는 한계를 보였으나, 협력적으로 활동을 개선하고 다시 실행해보는 과정을 통해 단순한 활동 수행을 넘어서 활동을 통해 설명을 구성하고 모형구성 활동을 제시하기까지 탐구 활동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협력적 성찰이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촉진할 수 있었던 요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로 서로 다른 교수 지향을 지닌 세 교사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은 서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면서 성찰을 촉진하였다. 두 번째로 수업 실행을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진행한 협력적 성찰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여 문제 인식과 수업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였다. 세 번째로 세 교사가 충분한 라포를 형성하고 있고 동등한 지위를 지닌 환경은 비난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의 어려움이나 갈등을 거리낌 없이 표현하도록 도왔으며 생산적인 성찰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동료 교사들 간의 협력적 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앞으로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서로의 수업 실행을 기반으로 협력적 성찰을 촉진할 수 있는 공동체 형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생 및 학부모 수요 분석에 따른 정보교육 활성화 방안 (Revitalization Plan for IT Education according to Analysis of Demand by Students and Parents)

  • 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05-51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출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IT 산업의 인력 양성을 위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수요를 조사 분석하여 정보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과 학부모 모두 학교에서 정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에 과반수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관련 특수 목적 고등학교의 설립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나타났다. 이와 같은 수요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에서의 정보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우수한 정보 인력 양성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여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과 내용 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박주현;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29-25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의 정보활용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구성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3종과 2019-2020년에 개발한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 초안의 내용 체계 및 교과서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는 정보문제 해결과정 모형이 적용되었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과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도서관과 미디어의 종류를 계열성 있게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도서관·미디어·정보·독서 리터러시는 정보활용능력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한 학습 요소였다. 셋째,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체계에 맞게 교과역량, 일반화된 지식,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과의 명칭 도출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 노태희;김영훈;양찬호;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214-1228
    • /
    • 2011
  • 이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로, 그들의 수업 전문성을 PCK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과학영재교육 담당 기관에 소속된 초등 교사 3명과 중등 교사 3명을 선정한 후 그들의 과학영재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했으며, 수업 동영상과 관찰 노트,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비교적 올바른 신념을 지니고 있었으나, 과학영재학생, 과학영재 교육과정, 과학내용, 과학영재 교수전략,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서는 실천적 지식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이는 많은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관련 수업 전문성이 여러 측면에서 다소 부족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Appropriateness of Clothing & Textiles as Educational Contents in Practical Arts or Technical Education.Home Economics in the 7th Curriculum of Korea)

  • 주인숙;한영숙;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1-95
    • /
    • 2006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그리고 요구도를 교육 내용 요소별로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경기도 초중고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질문지를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중고 남녀학생들의 50%이상이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의 학습량은 적당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남학생들은 반바지 만들기 등의 실습과정에 대해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의생활 교육 내용에 대한 초중고 남녀학생들은 모두 뜨개질, 재봉틀, 옷만들 및 생활용품 만들기 등 실제로 작품을 제작해야하는 실습영역에 대해 이해도가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은 재봉틀을 이용한 실습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낮았으며 이는 학습량이 많다고 하고. 이해도가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 중학생들은 학습량이 많고, 이해도가 낮은 반면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으며 고둥학교 학생들의 흥미도가 보통이었다. 넷째, 학생들의 요구도는 '필요하다'와 '보통'이었으며 교육내용 중 실습관련 내용에의 요구도가 매우 낮았다.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학습량과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스크래치 적용 (Scratch program For Programming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 김숙현;박판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9-123
    • /
    • 2010
  • 다양한 지식이 넘쳐나는 요즘, 많은 양의 지식을 바르게 선별하고, 본인에게 맞게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는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을 육성할 수가 없다. 개정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 지침에 근거하면 초등학교에서부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어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아동들은 기존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에서는 지루해하거나 어려워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교육용 언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한 현장연구를 하고자 한다. 스크래치를 이용한 교수 학습과정을 설계한 후 학습자들과 직접 수업을 진행하여 전통적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에 비교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기록관의 교육서비스 사례유형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Services of Archives)

  • 김희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이 이용자들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서, 선행연구 및 선진국의 사례들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기록관의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은 첫째, 주로 초 중등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었으며, 둘째, 현행 교과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일차 사료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교사 및 교육전문가, 보존기록전문가(archivists)들간의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인 협력관계가 병행되고 있었으며, 넷째, 직접적인 강의 형태 외의 책자자료 및 웹 기반 자료로도 다양하게 교육기능이 제공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대상 주제 영역은 역사 영역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및 인문 예술영역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Clothing Life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111
    • /
    • 2022
  • 제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전환 등 사회적 혁신을 기반으로 모두를 위한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변화를 준비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미래 초·중등교육의 방향성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미래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생활교육은 어떤 혁신적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가?'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의 특징과 의생활교육과정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생활교육과정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으로는 먼저 인재상으로 인공지능(AI)에 인간의 감성과 환경, 의생활문화를 더하는 융·복합교육인재양성, 소프트웨어 역량과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연계하는 의생활교육,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패션 메이커교육과 가치 지향적인 의생활교육 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적 교육현장 적용인 의생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