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지 생태계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이나연;최인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13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평균 $2{\sim}3^{\circ}C$ 높은 상태로 계절변화 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연중 10% 미만으로 매우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011년 최고 풍속은 156.72m $s^{-1}$(10월 7일)를 기록하였고 현지 측정한 풍향과 기상청 자료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서식지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기상 요인의 통년 장기관측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Estimation of Carbon Storages and Fluxes by Ecosystem Type in Korea)

  • 장인영;정헌모;한상학;안나현;김덕엽;강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7-425
    • /
    • 2023
  • 생태계는 탄소순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탄소 저장고이다. 기후변화가 점점 심화됨에 따라, 생태계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기후변화를 완화하려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계 유형(산림, 농경지, 습지, 초지, 정주지) 및 탄소저장고별(지상부·지하부 생체량, 고사목, 낙엽, 토양유기탄소 및 생태계 전체) 탄소 저장 및 거동과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 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를 모아 각 생태계 유형과 탄소저장고를 대상으로 탄소 저장 및 거동량의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66%) 국내 탄소 저장·거동 관련 연구가 산림에서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탄소저장고별 저장량을 분석한 결과, 식생의 지상부(4,166.66gC m-2)와 지하부(3,880.95gC m-2)와 토양(4,203.16gC m-2)에 많은 양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산림 지하부에 많은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생태계 유형의 경우, 데이터의 제한으로 탄소저장고별 저장·거동량은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다만, 토양유기탄소 저장의 경우 산림과 초지의 데이터가 비교 가능하였는데, 두 생태계가 상대적으로 비슷한 탄소의 양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4,203.16 gC m-2, 4,023.23 gC m-2). 본 연구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서의 탄소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화호 초지대의 계획소각에 의한 조류군집의 영향 (Effect of Prescribed Burning to Avian Community in Sihwa Grassland, Korea)

  • 유승화;강태한;백인환;김호준;이한수;김인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7-325
    • /
    • 2009
  • 시화호 초지대의 소각에 의한 조류의 서식 영향에 대한 연구는 2007년 3월에서 10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송정리 인근 시화호간척지의 초지에서 실시하였다. 계획소각은 2007년 2월 28일에서 3월 1일까지 시화호 간척지의 초지 중 육상부에 인접한 지역에 대해 실시하였다. 소각지역에서는 총 30종 최대개체수 합계 181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존치지역에서는 24종 최대개체수 합계 154개체가 관찰되어 소각지역의 관찰조류 종수와 개체수가 높았다. 하지만 우점종은 소각지와 존치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조류와 산림성조류를 제외한 소각지와 존치지의 평균 종수, 평균개체수, 종 다양도, 종 풍부도는 차이가 없었다. 초기의 군집특성은 계획소각에 의하여 변화하였지만, 후기에는 차이가 감소하였다. 계획소각에 의한 서식지 교란은 일시적으로 새로운 서식지 및 취식장소를 제공하였다. 계획소각이 목본식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초지생태계를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주기적인 계획소각이 초지생태계를 유지 및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 군집 다양성과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리적 위치 및 생태적 특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utterfly community and geographic location and ecological traits inhabiting agroecosystems)

  • 이재영;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712-719
    • /
    • 2023
  • 농업생태계는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수분매개, 해충조절, 영양물질 순환, 토양 유지나 비옥도 유지 및 유전자원 공급원 등 다양한 생태계 기능을 제공하지만 서식지 파편화를 포함한 환경오염 등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 조사법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 군집 다양성을 알아보고 이들이 위도와 경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들의 서식지 선호성과 먹이식물 범위 등 생태학적 특성도 알아보았다. 이번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전국적으로 10지점을 선정하여 2주 간격으로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112종 21,901개체를 확인하였다. 권역별로 종과 개체수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군집 구성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로 확인된 종은 배추흰나비(Pieris rapae)였으며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남방부전나비(Zizeeria maha), 노랑나비(Colias erate) 순이었다. 위도별, 경도별로도 종 수와 개체수 변화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아 반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서식지 선호도는 초지와 숲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나비가 숲 내부를 선호하는 종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이 범주는 협식성이 가장 많았고 단식성, 다식성 순서로 나타났다.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는 조사 지점의 환경이 비슷하여 위도 구배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초지나 숲 가장자리와 같은 개방된 공간이나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선호하는 생태학적 특성을 지녔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 경관 변화가 나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목초생산성과 초지 생태계에 미치는 액상분뇨의 시용효과 (The Effect of Cattle Slurry on the Forage Yield and Grassland Ecosystem)

  • 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2
    • /
    • 1997
  • Many farmers apply cattle slurry on grassland, often in excess of crop N requirements, resulting in groundwater contamination. Our research objective was the development of grassland management systems that reduce undesirable sideeffects on other compartment of the ecosystem.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1991~1993 on sandy loam soil at AllgZiu south western Germany. Different sets of conditions were tested such as : zero fertilization, reduced sluny application$(l20kg N ha^{-1}yr^{-1})$, intensive sluny application(conventional sluny application, $240kg N ha^{-1}yr^{-1}$). The plots of the reduced slurry applic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ry matter yields, digestible dry matter and net energy of herbage. Dry matter yield of zero fertiliz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sual slurry application, however the content of Ca and Mg in herbage tended to increase. We conclude that reduced sluny application can be applied on grassland without adverse effect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quality of herbage.

  • PDF

초지에서 예취회수의 경감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tting Frequency on Yield and Growth Response of Grasses and Legumes in Germany)

  • 류종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38
    • /
    • 1998
  • 본 연구는 환경오염과 생물종의 감소 위기에 있는 독일 남서부의 알고이 ($Allg\ddot{a}u$)지방에서 자연 및 환경보호를 위하여 초지이용을 집약적 초지에서 조방적 초지이용으로 전환시 정책 및 기술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지의 이용회수를 관행인 6회 예취구와 예취회수를 경감시킨 3회 예취구를 두어 초지생산성, 품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3회 예취구의 건물수량은 관행의 6회 예취구에 비하여 시험 1년차에 ha당 3 ton, 2년차에 0.9 ton낮았다. 예취회수의 감소는 화본과 - 두과목초의 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초종간에는 변화를 초래하여 Dactylis glomerata는 증가되고 Lolium perenne는 감소되었다. 3회 예취구는 관행의 6회 예취구에 비하여 조섬유 함량은 높으나 조단백질, 가소화양분 총량, Net Energy Lactation(NEL)은 낮아졌다. 식물체의 질소함량은 6회 예취구에서 3% 이상이었으나 3회 예취구에서는 이보다 낮았다. 3회 예취구의 질소흡수량은 6회 예취구의 ${\frac{2}{3}}$ 정도이었다. 6회 예취구의 질소흡수량은 시험 1, 2년차에 각각 ha당 409, 443kg으로서 3회 예취구에 비하여 157, 135kg 많았다. 이 지역에서 조방적 초지이용으로 전환 시켰을 경우 초지생산성과 목초의 품질이 단기적으로는 매우 저하 되었으나 중장기적으로 수량감소가 완화되고 식생하고 있는 식물종의 수가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