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전도 전력케이블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HTS 케이블의 실계통 적용을 위한 EMTDC 모델개발 (Development of EMTDC for applying HTS Cable to KEPCO system)

  • 윤재영;최흥관;김종율;이승렬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61-467
    • /
    • 2003
  • 초전도케이블은 기존 상전도 케이블에 비하여 송전용량, 관로입지, 신뢰도, 포설의 유연성, 송전손실 및 환경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향후 대용량 전력 수송 및 대도시와 같은 고부하 밀도 지역에의 전력공급 방안으로서 각광받고 있다.[1]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초전도 케이블을 개발하기 위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중략)

  • PDF

기술현황분석 - 초전도 케이블 액체질소 냉각용 극저온 냉동기 기술

  • 박성제;홍용주;고준석;김효봉
    • 기계와재료
    • /
    • 제25권3호
    • /
    • pp.106-119
    • /
    • 2013
  • 초전도 전력기기는 초전도체를 극저온으로 냉각,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 고유의 현상을 이용하여 중전 전력기기의 열손실 저감, 소형화 및 신뢰성 향상을 가능케 하며, 최근에는 고온 초전도 재료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어 초전도 응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초전도 케이블을 포함한 초전도 전력기기는 운전 조건인 극저온 환경($-150^{\circ}C$이하)를 조성하기 위해 극저온 냉동기 기술이 핵심적인 기술이다. 극저온 냉동기는 냉각 용량에 따라 소용량(수~수십 W), 중용량(수백 W~수 kW), 대용량(수십 kW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전도 전력기기용 냉각시스템은 주로 중용량 극저온 냉동기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현재 상용화된 극저온 냉동기를 분석하면, 중용량 극저온 냉동기로는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가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중용량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 기술에 대한 개발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고온 초전도모델전력케이블의 교류손실 특성 (Characteristics of AC Loss in a High-$T_c$ Model Power Cable)

  • 김창완;정재훈;류경우;최병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81-683
    • /
    • 2001
  • 다수의 Bi-2223테이프로 구성된 고온 초전도모델전력케이블의 통전손실을 조사하였다. 전력케이블의 임계전류는 각각 테이프의 임계전류가 유사하다할지라도 전류리드-테이프사이의 접속저항으로부터 기인하는 불균일 전류분포 때문에 전압리드의 접촉위치에 의존하였으며, 전력케이블의 통전손실은 전압리드의 접촉위치 및 전류의 주파수에 무관하였다. 따라서 전력케이블의 통전손실은 케이블의 상이한 임계전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류의 주파수는 각각 테이프에 흐르는 전류분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전압 안정도 제약계통에 대한 고온초전도 케이블 적용효과 (Effects of HTS Cable Applied to the Voltage Stability Limited Power System)

  • 이근준;황시돌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69-173
    • /
    • 2004
  • 본 논문은 전력계통의 전압 안정도 제약 문제를 해결하는데 고온 초전도 케이블을 적용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대전력계통의 유효 송전용량은 종종 전압 안정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기존의 초전도 케이블 응용 연구는 주로 도심지역의 고밀도 전력 수송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연구의 초점을 두어왔지만, 고온 초전도 케이블의 선로정수 개선효과를 이용하면 전압 안정도로 제약된 계통의 송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전압 안정도에 의한 최대 수송전력을 결정하는 데는 IPLAN에 의한 P-V곡선을 이용하였고, 대체 대상선로는 부하 증가시 무효전력 손실감도가 가장 큰 선로로 하였다.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IEEE 14모선 계통을 사용하였으며, 적용결과 Case II는 70[%], Case III에서는 160[%]의 추가 수송 능력 증가를 가져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