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본류

Search Result 20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solation of Endophytic Fungi Capable of Plant Growth Promotion from Monocots Inhabited in the Coastal Sand Dunes of Korea (사구에 서식하는 단자엽식물로부터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내생 진균류의 분리)

  • Khan, Sumera Afzal;Hamayun, Muhammad;Rim, Soon-Ok;Lee, In-Jung;Seu, Jong-Chul;Choo, Yeon-Sik;Jin, Ing-Nyol;Kim, Sang-Dal;Lee, In-Koo;Kim, Jong-G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10
    • /
    • pp.1355-1359
    • /
    • 2008
  • Endophytic fungi predominantly inhabit grasses, and produce a variety of beneficial metabolites for plant growth, as well as help their hosts against pathogens and herbivores. Current study was focused on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nhabited in the roots of sand dune grasses. We collected 49 fungal isolates from the roots of four most common sand dune grasses and screened them for their growth promoting capacity. Results showed that 37 fungal isolates (75.5%) promoted plant height and shoot length of waito-c rice, 11 fungal isolates (22.5%) suppressed it, while 1 fungus (2%) showed no effect on the growth attributes. The fungal strain Gibberella fujikuroi, along with distilled water and Czapek broth medium, were taken as control for this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a major proportion of endophytic fungi inhabited in the sand dune plants produce metabolites, and thus help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host plan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Water Channel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 하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관한 분석 및 평가)

  • Lee, Sam-Hee;Hwang, Seung-Yong;Ryu,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6-1621
    • /
    • 2006
  • 하천 지형은 흐름과 유사거동에 의한 세굴 또는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하천지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는 한강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981년 이전까지 하중도(제주초도)가 안정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하중도는 소멸되었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안에 비슷한 규모의 고수부지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고수부지의 형성과정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단계(흐름 변화에 따른 이동사주의 정지): 1995년 이전까지는 하천 내 자연적/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이열사주 형태의 이동상이 유지되다가 1995년 이후 1988년 준공된 신곡수중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한 하중도의 소멸이 가중되면서부터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이동사주가 정지하기에 이른다. 2) 성장단계(조석에 따른 부유사 반복 퇴적): 이동상 사주가 정지된 뒤 매일 2회씩 반복되는 조석의 영향을 받은 고농도의 부유사가 정지된 사주 위에 반복되어 퇴적되는 양상이 일어난다. 3) 정착단계(정지사주의 고수부지화): 정지사주에서 부유사가 퇴적하고 갈대와 같은 초본류 식생이 활착하게 되면서 부유사 퇴적은 가중되어 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1999년과 같은 대홍수 때 부유사의 고수부지 내 퇴적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4) 확장단계(고수부지 확장단계): 대홍수 때 고수부지의 퇴적과 아울러 산재하던 버드나무가 교란을 받아 고수부지에서 새로운 버드나무 군락의 터전을 이루어 밀생하게 된다. 향후 고수부지가 잠기는 규모의 홍수가 빈발할 경우 퇴적층의 유실보다는 부유사 퇴적이 많아져 고수부지는 확장단계에 접어들게 된다.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 PDF

A Preliminary Research of Design and Operation of Riparian Buffer Zones for Reduction of Water Pollutants and Construction of Wildlife Habitat (수질정화 및 생태서식처 조성을 위한 수변완충지대 설계 및 운영 방안 기초연구)

  • Chung, Sang-Joon;Woo, Hyo-Seop;Oh, Jong-Min;Choi, I-Song;Ahn, H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3-1077
    • /
    • 2006
  •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오염물질의 증가와 생물서식처의 감소는 수자원과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자원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90년대 초부터 하수처리시설 등의 저감시설을 대폭 확충하였으나 현재까지 팔당호 등 주요상수원이 목표수질에 못 미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유입오염물질의 $22{\sim}37%$를 차지하는 비점오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생태.경관적 가치가 높은 수변지역은 각종 개발로 생물서식처가 급속도로 감소하여 종 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유사한 상황에 직면한 선진외국에서는 '하천회랑(river corridor)' 또는 '토양 및 생태시스템을 포함하는 수역과 육역의 점이(漸移)지대'를 의미하는 이른바 '수변완충지대(Riparian Buffer Zones)'의 오염정화 및 생태조성 효과 등의 연구를 통해 효율적 조성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RBZs의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유사나 오염물질의 여과 및 차단(필터링 효과), 영양염류의 저감, 하천변 식생을 통한 수자원의 정화 및 강턱의 안정화, 홍수로 인한 하천침식의 방지, 수변 생물 서식처 제공, 수변 그늘 제공에 의한 수온상승 방지, 심미 교육 위락 공간 제공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RBZs(Riparian Buffer Zones)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국내실정에 맞는 파일럿 규모의 시험완충지를 설계 및 조성하였다. 시험완충지는 남한강 연안에 초본류, 갈대류, 관목류, 자연식생, 혼합식생 등 5가지 'dry biotope'형태로 설치하여 1년간 계절별로 운영하였다. 또한 실험의 정량화와 다양한 조건변화를 위해 차수막, 위어, 유량.농도 조절장치, 라이시미터 등 보조시설을 설치하였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외국사례를 살펴보면 RBZs의 적정 폭은 수질정화기능의 경우 $15{\sim}30m$, 생태서식처 기능은 최소 90m이상으로 제시되며, 시험완충지의 수질정화효과는 SS, T-N, T-P, TOC의 평균저감율이 각각 50%이상으로 나타났다. 식생모니터링 결과, 환삼덩굴 등 우점종의 잠식속도는 약 15일이며 갈대와 갯버들의 경우 우기시 인공목책호안과 동일한 침식방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어 식생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우점종 선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base System for the Forest Fire Factors (산불발생인자의 DB 구축 및 해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Lee, Si Young;Hwang, Me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3-1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요인별로 집적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산불예방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산불발생 시, 산불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발생인자는 크게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와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 분류하고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는 수종별, 부위별, 지역별, 고도별, 월별 산림연료들의 구성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수종별로는 생강나무, 초피나무, 조록싸리, 산초, 개암, 청미래, 고추나무, 철쭉, 조릿대, 털진달래 등 관목류 10개 수종과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등 초본류 5개 수종 그리고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주목 등 6개의 침엽수 및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산개벚나무, 고채목, 개서어나무, 굴거리나무, 서어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 단풍나무 등 15개의 활엽수로 구성된 교목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위별로는 생엽, 낙엽, 가지, 수피, 솔방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했으며, 지역별 구성은 강원(삼척/태백산), 경북(응봉산), 경기(용문산), 충북(월악산), 충남(계룡산), 전북(덕유산), 전남(월출산), 부산(금정산), 제주(한라산) 등 9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도별로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백산을 중심으로 소나무와 신갈나무 생엽을 대상으로 900m, 1000m, 1100m, 1200m, 1300m, 1400m, 1500m 고도를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월별 분석데이터는 소나무 생엽의 경우, 2008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매월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굴참나무 생엽의 경우에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6월부터 10월까지 생엽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는 착화특성(무염착화온도, 발염착화시간, 소염시간, 화염지속시간), 발열특성(총열방출량, 평균열방출률), 발연특성(총연기방출량, 최대연기밀도, 최대밀도시간) 등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산불발생인자 DB구축으로 부터 산불발생 위험도 및 동태예측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 연료별 산림연료의 열적특성 DB로 부터 산불발생시 산불 위험도에 대한 기술정립과 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산림연료 종류별 열적특성을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보존지역과 같이 문화적 가치가 높은 시설이나 주유소, 가스 충전소 등의 위험 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위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어 산불 피해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Vascular Plants in Mt. Geotdae, Cheongju-si, Chungcheongbuk-do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Jeoung, Tae-Young;Park, Cheol-Ha;Yun, Hee-Bin;Lee, Gwi-Yong;Ahn, Chan-Ki;Lee, Kyung-Soo;Kim, Kyung-Tae;Lee, Woo-Sung;You, Ju-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5
    • /
    • pp.451-46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struct the data bas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offer the raw data for obtaining the genetic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06 taxa; 79 families, 199 genera, 266 species, 35 varieties and 5 form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Salix caprea, S. purpurea var. japonica, Deuitzia coreana, Akebia quinata var. plyphylla, Spiraea prunifolia for. simpiciflora, Lonicera subsessilis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6 taxa; Dactylis glomerata, Rumex acetocella, R. crispus, Phytolacca esculenta, Tlaspi arvense,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repens, Ailanthus altissima, Oenothera lamarckiana, Veronica persic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Taraxacum officinale and Sonchus asper.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6 taxa; Chloranthus japonica, Populus davidiana, and so forth.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ned Forest -On the Productivity System of the Burned Forest-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산화후(山火後) 임지(林地)의 생산구조(生産構造)에 대(對)하여-)

  • Kim, Ok Kyung;Chong, Hyon P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2 no.1
    • /
    • pp.45-54
    • /
    • 1971
  • Ecolog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an accidental fire on the composition of the post-fire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 productivity system were made at the burned site on Mt. Samak located at Duckduwon-Ri, Sumyun, Chun Sung-Kun, Kangwon-Do, the same plots used in the previous study carried out in 1967. The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productivity system, the standing crop measured was as follows; Carex Lanceolata var. Nana, Miscanthus purpurscens etc. were contained in the herbs and their individual number was larger than that of the woody plants. (Table 1). In the woody plants, Quercus Acutissima was the most abundant, showing larger number of tree than Quercus dentata. The S.D.R. value of the family Poaceae was the highest among the herbs and in the test plots, it was 4 times larger in number than in the controlled plots. (Table 3, Fig. 4, 5). 2. In the unburned sities, 5 dominant species were selected and by calculating their S.D.R., it was shown that woody plants, S.D.R. is 4.43 while it is 11.52 with herbs. (Table 4, Fig. 6). 3. When making comparisons with the standing crop on the higher around, it was found that the test plots had 522.45 gm more than the controlled and 1470. 53gm more than those on lower ground.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o indicate that high temperature caused by fir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germination rate of seeds as it was seen in the previous study and it further stimulate the growth of the perennial plants. (Table 6, 7) 4. In the number of species, the standing crop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Genus Miscanthus and Genus Carex. and in the woody plants Genus Lespedeza was increased in the standing crop. 5. It was found that in the rest plots, total summed height was greater by about 6000cm than that in the controlled plots. 6. In conclusion, the forest fire gave a great loss to tall trees and woody plants burning them together with unmatured seeds. In the succession of the 2nd year it was considered that the growth of the perennial plants had been stimulated on the barned sites.

  • PDF

Analysis of Change in Flora and Vegetation in the Research Sites before and after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in Minjujisan in Korea - Focused on the Forest Road at Jeollabuk-do Muju-gun Seolcheon-myeon Micheon-ri Minjujisan Area - (임도 개설 전·후 식물상 및 식생 변화 분석 - 전북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 민주지산 임도를 중심으로 -)

  • Hyoun-Sook Kim;Joon-Woo Lee;Sang-Myong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7 no.5
    • /
    • pp.367-391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0 years from 2012, which is a year before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in Minjujisan, to 2022 to analyze annual changes in flora and vegetation before and after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to provide strategies for management. The plant communities in the research sites along the forest road showe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slopes wi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on the northwestern slope and Quercus variabilis and Larix kaempferi communities on the southwestern slope. A total of 212 taxa have increased for number 7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from a total of 66 taxa (44 families, 59 genera, 51 species, 13 varieties, and 2 forma) in 2012 and 207 taxa (71 families, 153 genera, 176 species, 27 varieties, and 4 forma) in 2015 to 278 taxa (78 families, 172 genera, 242 species, 1 subspecies, 31 varieties, and 4 forma) in 2022. It is noteworthy that the vegetation cover and the introduction of new taxa had been expanded in the sites adjacent to the construction, which is likely caused by the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 of light and the introduction of annual herbaceous and naturalized plants after the construction. The results of 10 years of current study reveal that the vegetation cover and the number of new taxa had rapidly increased in earlier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slowly decreased later on, and finally formed a stable forest with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dominant species. The vegetation cover of the herbaceous layer immediately increased on the slopes along the forest road for a few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although it had continuously decreased while that of the shrub layer quickly increased. It was shown that on the hillslope the vegetation cover of tall- and low-tree layers increased whereas that of herbaceous and shrub layers rapidly decreased.

A Study on the Protection Method of Mine Site Slope Using Mine Green Framework (식생 방틀공법을 이용한 광산사면 보호공법에 관한 연구)

  • Choi, Gwang-Su;Kim, Tae-Heok;Kwon, Hyun-H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6
    • /
    • pp.526-533
    • /
    • 2009
  • This study presents Mine Green Framework(M.G.F) which can protect the slope of rock and tailings. M.G.F method provides the fiber frame which helps the growth of the plant in the barren site like mined rock slope. M.G.F system consists of the polyester fiber mat, soil, seeds and anchors for the attachment. The optimum rate of filling materials was figured out by many germination test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filling materials and the optimum rate of filling materials was applied in four test sites individually. High rooting rate over 70% was confirmed in all field tests. Especially the moisturizer w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filling materials and it could make the better condition for the plants.

Late Pleistocene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of the Uiwang Area Based on Pollen Analysis (화분 분석을 통한 의왕시 지역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고식생 및 고기후 연구)

  • Chung, Chull-Hwan;Lim, Hyoun-Soo;Yoon, Ho-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698-707
    • /
    • 2010
  • The Late Pleistocene pollen record from the Poil-dong, Uiwang, Kyunggi-do, reveals that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ere spread along with herb and fern understory. Palynofloral changes reflect climate fluctuations. From ca. 43,100 to 41,900 cal. yr BP, a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bined with open grassland occupied the study area, which indicates cooler condition than today. During the period of ca. 41,900-41,200 cal. yr BP, along with fern understory a decrease in subalpine conifers and an increase in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ggest a climatic amelioration. A climatic deterioration, as evidenced by an increase in subalpine conifers and a decrease in the density of vegetation cover, occurred from ca. 41,200 to 39,700 cal. yr BP.

Two years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Torrential Stream Restoration Site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 단기 모니터링)

  • Lee, Heon-Ho;Lee, Ju-Hyoung;Park, Ki-Young;Jang, Ji-W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2
    • /
    • pp.240-24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toration research in a mountain stream of hydrologic cycle system, which is a type of microsites purposely changing vegetation. The status of vegetation in the three experimental sites, water purification site, small dammed pole site, and aquatic plant restoration site, and one control site within the area of the mountain forest stream were investigated in three different periods, namely before sites restoration, year of sites restoration, and year after sites restoration. After one year of restoration, number of vegetation was increased in the small dammed pool and control site respectively. Vegetation coverage ratio of Zizania latifolia was increased at the water purification area. The effects of habitats restoration appeared to be good a year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experimental sites, in terms of families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introduced vegetation, and stream flow.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strongly suggest that fairly effective ways to restore and reproduce degrading mountain hydroecological habitats are by way of forming pool sites and small dams in intermittent mountain streams and re-vegetating with selected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