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교사교육

검색결과 2,156건 처리시간 0.026초

캄보디아 초등교육 및 초등교사 쟁점 분석과 교육개발협력에의 시사점 탐색 (Issues on Primary Education and Teachers in Cambodia: Implications to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 김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77-96
    • /
    • 2017
  • 본 연구는 아시아의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의 열악한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간으로서 초등교육 환경과 교사 쟁점을 분석하고 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의 초등교육 환경과 그 특성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교육 개혁을 이끄는 주체로서 '교사'에 주목하면서 캄보디아 초등교사 양성 제도 및 교사의 자격 수준의 제 실태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캄보디아 초등교육 환경 특성과 쟁점에서는 여전히 열악한 교육 여건과 질적으로 낮은 교육접근성 문제를 파악하였고, 교사의 낮은 역량 및 교육의 질 저하, 그리고 초등교사의 현직 연수 시스템 취약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향 탐색이 제안되었다.

영어발음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

  • 박주경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56-256
    • /
    • 1997
  • 1. 초등학교 영어지도교사 연수프로그램 현황 1) 교육과정 2) 교육방법 3) 교사들의 인지도 및 배경지식 수준 4 4) 교사들의 요구 2.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역할 1)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활 2) 영어원어민 교사의 역할 3. 영어지도교사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1) 영어교육의 목표 2) 발음지도상 주요내용 3) 발음지도법 4) 교사자신의 발음교정 및 향상을 위한 내용 4.제안 및 결론 1) 한국인 아동특유의 영어발음상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할 것. 2) 과적인 발음교수법 개발 3) 적절한 교재 및 교수자료 개발 4) 실용적인 교사교육을 통한 우수 교사 양성

  • PDF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 설계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Needs on Designing Interactions for Online Mathematics Lessons)

  • 조미경;김세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9-41
    • /
    • 2022
  • 팬데믹으로 인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은 보편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온라인 환경의 특성 및 교과 특수성을 반영해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초등교사들에게 필수 역량이 되었다. 온라인 수학 수업의 질적 개선은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실제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고, 본 연구는 상호작용 측면에서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온라인 수학 수업의 설계를 위해 학습자-학습내용 상호작용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의 세부 항목별 교육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초등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라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들의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에 관한 설계 전략과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사(敎師)의 정보활용능력(情報活用能力)에 따른 직무(職務) 스트레스 대처방안 비교분석(比較分析) (Job Stress disposal plan comparative analysi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uter practical use capability)

  • 천현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6-172
    • /
    • 2008
  •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 활용 능력을 기르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육현장은 이보다 더 많은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사들마다 정보 활용 능력이 다르고, 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 활용 능력의 정도와 스트레스 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 PDF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조사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iel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 임수민;김영신;이태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33-14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 교사 80명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이 STEAM 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육지도방법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교육 모임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수업 준비와 수업 시간에 STEAM 교육 관련 교재를 사용하는 초등 교사는 매우 적었다. 또한 STEAM적접근을 통해 개념을 가르친다는 교사 역시 극히 적었다. 개발되어 있는 모듈을 사용하였다는 응답 역시 적었으나 모듈 개발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STEAM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교사가 사용하기 쉬운 적절한 모듈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실제 수업 현장에서 STEAM과 관련된 교육 주제, 교육 활동, 평가를 적용하는 교사는 극히 드문 수에 해당하였다. 넷째, 현장 적용 한 후의 긍정적인 측면의 변화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은 향상된 측면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한다는 응답과 같은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적용 후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STEAM 수업을 통해 얻은 결과와 교과서 내용을 연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는 문제점들을 많이 제시하였다. 이처럼 초등 교사들이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융합인재교육이 초등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등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 교사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절실하다.

  • PDF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 있는 수학 학습은 무엇인가? (What Kinds of Mathematics Learning are related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강은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66
    • /
    • 2015
  • '수학 수업을 더 들을수록 더 나은 수학 교사가 될 것이다.'라는 주장은 정당하게 들린다. 하지만 대학 수준의 수학, 예를 들어, 추상 대수나 해석학 같은 수학을 듣는 것이 어느 정도 초등 수학을 잘 가르치는데 영향을 미칠까 하는 데에는 의문이 생긴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수학자가 초등 수학을 가르치도록 교육 받은 사람보다 나은 초등교사일 수 있는가? 이 논문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과 학교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는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 전 과목을 다 가르치도록 교육받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연구의 대상이며 교사교육을 이미 다 받은 시점에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그들이 앞으로 가르치게 될 초등 수학을 다시 한 번 접해 볼 기회를 갖는 것이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imary Teacher Preparation Programmes in Korea and China)

  • 이설;박나실;소경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37-163
    • /
    • 2018
  •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교실담임으로서의 전문성과 교과전문가로서의 전문성 간의 논쟁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초등교사의 전문성 논의는 주로 이론적, 교원 정책적, 교원양성 체제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었으며,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경우는 많지 않다. 더욱이 일부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경우도, 북미와 유럽 선진국에 관한 연구는 일부 있으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국들의 사례를 검토하고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을 비교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13개씩 총 26개의 초등교사양성 기관의 프로그램을 교육목표의 성격, 교육과정의 구성, 교육과정 이수 요건, 개설교과목의 유형 및 성격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 개선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n Number and Operations)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71-8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을 분석한 후, 권민성 남승인 김상룡(2009)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대학에서의 초등수학교과 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함에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권민성 외에 의해서 한국어로 번안된 수와 연산에 관한 MKT 설문지를 사용하여 J 대학교 교육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88명의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MKT를 측정하고 권민성 외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이 수와 연산에 관하여 이미 알고 있는 '내용지식'(CK) 정도는 긍정적이었으나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CS) 정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나 이들의 KCS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CK 및 KCS 문항들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와 교사가 느끼는 문항 난이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초등 예비 교사들은 교사들보다 교실수업에서 MKT 문항들의 활용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약 70%의 초등 예비 교사들은 MKT 문항들이 교육대학에서 배운 내용이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교사들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수행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의 MKT를 향상시키기 위해 J 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수학교과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우리나라 초등 예비 교사의 MKT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학교와 교육과정에 적합한 MKT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38-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과학 심화전공 예비교사 및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식이 과학교수의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예비교사 2학년 64명, 4학년 53명,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 23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교직 전문성 인식 검사 도구,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초등 과학교육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교사로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직 전문성 및 일부 하위 영역에서 예비교사 2학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그에 비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성 인식 여부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과학교수 효능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