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세포

Search Result 6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우유내 체세포수 감소를 위한 사료 첨가제(하)

  • Jeong, Ha-Yeon
    • Feed Journal
    • /
    • v.2 no.5
    • /
    • pp.100-103
    • /
    • 2004
  • 사료내 비타민E의 수준은 유방염 발생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비타민 A와 베타카로틴의 결핍시 질병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주어 유방염 발생율의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우유내 체세포수 감소를 위한 사료 첨가제

  • Jeong, Ha-Yeon
    • Feed Journal
    • /
    • v.2 no.4
    • /
    • pp.82-85
    • /
    • 2004
  • 현재까지 인류에게 우유보다 더 완벽하고 중요한 식품은 없다. 그래서 선진국은 낙농업이 그 나라의 경쟁력과 관계없이 우유의 자급량을 확보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정책과 노력을 하고 있다.<중략>

  • PDF

메기 Silurus asotus 발생난의 핵분열

  • 임재현;박인석;허준욱;정지혜;김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0-30
    • /
    • 2003
  • 자성발생(gynogenesis)은 대상 어류의 성 결정기작이 암컷 동형접합성(female homogamety)인 경우 전 암컷 단성집단을 생산할 수 있으며, 단기간 내에 우수한 품종의 순계 획득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clone 집단을 만들 수 있다(Thorgaard, 1986; 정 등 1996). 이에 제 1 난할 억제에 의한 메기 S. asotus에서의 체세포분열 억제성(mitotic) 자성발생 2배체가 유도된 바 있다(임 등, 2002), 염색체공학 기법 중 웅성발생 2배체(androgentic diploid)는 난자 핵을 불활성 시킨 후 정자 핵에 의해 제 1 난할억제에 의한 유전자 배가로 유도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염색체공학에 의한 메기 4배체 생산, 메기체세포분열 억제성 자성발생성 2배체의 효과적인 유도 조건 검정 및 메기 웅성발생성 2배체 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메기에서의 핵분열(korykinesis)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메기에서의 핵분열 수온 25$\pm$0.5$^{\circ}C$ 조건에서 수정 후 31분에 가장 현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Park and Im (2001)의 수온 24$^{\circ}C$에서의 제 1 난할 후기가 50분이며 mitotic interval이 18.5$\pm$1.2분인 결과와 비교시, 본 연구 결과의 수온 24$\pm$0.5$^{\circ}C$ 조건에서 핵분열이 수정 후 31분인 것은 핵분열과 세포질분열(cytokinesis)이라는 관점에서 정확히 일치한다. 염색체 수의 배가시, 핵분열 억제는 세포질 분열 억제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서(Cherfas et al., 1993; Nam et al., 1999), 본 연구 결과의 핵분열 시간(수온 24$^{\circ}C$ 조건에서의 수정후 31분)을 기반으로 하여 차후, 4배체 메기와 체세포분열 억제성 자성발생 2배체 메기 및 웅성발생성 2배체 메기 유도 및 그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가 기대된다.

  • PDF

In Vitro Mitotic Chromosome Doubling by Chemical Treatments in Lilium longiflorum (철포백합의 기내 체세포 염색체 배수화를 위만 화학처리의 효과)

  • Chung, Mi-Young;Chung, Jae-Dong;J. M. VanTuyl;Lim, Ki-By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31 no.1
    • /
    • pp.73-78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in vitro chromosome doubling systems for the breeding of tetraploid lily cultivar. Different concentration (ppm) and treatment time (hour) of colchicine, oryzalin and caffeine were compared for the efficiency of bulb regeneration and tetraploidization. The occurrence of tetraploid plants by colchicine was the highest in the concentration of 1,000 ppm for three hours. In oryzalin treatment, the best combination was at 30 ppm for three hours. However, the effects of oryzalin treatments were similar between 10 ppm and 30 ppm concentrations. The survival rate was dramatically reduced in a high concentration of caffeine although some treatments had a higher tetraploid induction. As a consequence, reliable results for the tetraploid production were obtained in the treatments of 1,000 ppm colchicine, 3,000 ppm oryzalin both for three hours, and 9,000 ppm caffeine for nine hours.

Changes of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in Milk from Jeju-Do after Raw Milk Grading System (등급제 실시 이후 제주산 원유의 품질 변화)

  • Lee, Hyun-Jo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24 no.1
    • /
    • pp.1-7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mprovement of raw milk quality after introducing raw milk grading system(1993, Jun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nent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milk in jeju. This experiment made it possible to spread high standard of quality of raw milk or milk product including yoghurt, ice cream etc., and to provide dairy industry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Jeju international free city master plan. As a result, automatic milking system is improved a lot after introducing raw milk grading system and sustained good condition compared with other provinces. High ratio was shown dairy farm in jeju for pre-milking, pre-cooling system equipment and self laboring. Otherwise, the ratio of dairy farm doing test of mastitis is low. The ratio of first grade distribution in Jeju is 80.64%, which means that was improved before introducing raw milk grading system. The number of somatic cells found in summer more than that of other seasons in raw milk. However, these data is a little higher than the nation wide data medium. Also, general components, annual lipid ratio is 3.90% that improved compared with before introducing raw milk grading system. These data showed low in summer and similar to nation wide.

  • PDF

칡소 귀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란의 배양방법이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윤종택;이호준;최은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65-65
    • /
    • 2001
  • 본 연구는 칡소 귀세포를 공여핵으로 이용한 체세포 복제송아지 생산에 있어서 배양방법이 배발생 및 배반포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과 체세포 복제란의 이식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하여 복제송아지의 생산 효율을 제고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공시된 공여핵은 칡소 의 귀세포를 회수하여 10%FBS가 첨가된 DMEM배지에서 3-4일 동안 배양하여 monolayar Confluent 형성 후 0.25% trypsin을 처리하여 준비하였으며 공여세포는 적어도 passage가 5회 이상의 세포만을 사용하였다. 복제수정란의 생산은 18-20시간 동안 체외성숙 된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공여핵을 주입하여 2.2kv/cm, 10$\mu\textrm{s}$의 전압으로 2회 자극함으로 융합하였으며, 융합된 난자는 5$\mu\textrm{g}$/$m\ell$ ionomycin에서 4분간, 1.9mM 6-dimethyl aminopurine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여 활성화처리를 하였다. 핵이식수정란의 배양은 39$^{\circ}C$, 5%$CO_2$ incubator에서 처리구 I은 CRlaa에서 4일간 배양 후 CR2aa배지에서 배양, 처리구II는 CRlaa에 4일간 배양후 CR2aa배지에 cumulus cell과 공배양, 처리구III은 CR2aa 배지에 camulus cell과 함께 배양하였다. 수정란이식은 발정발현 7일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젖소 미경산우에 이식하였으며 이식란수는 2~4개의 핵이식된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임신진단은 45~60일 사이에 직장검사 및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배양방법에 따른 배발생율은 처리구 I에서 92.2 %(83/90)으로 처리구II와 III의 62.4%(63/101)와 77.8%(144/185)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처리구II와III에서 65.1%(41/63)와 50.0%(72/144)로 처리구 I의 30.1%(25/83)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처리구에 따른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처리구II와 III에서 공히 20%의 수태율을 나타낸 반면 처리구 I에서는 수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배반포 발달율과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배양보다 공배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지만 이런 결과가 복제송아지 생산효율에 있어서도 효과적일지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통한우(칡소)의 귀세포를 이용한 핵이식에서 전기융합 조건이 핵이식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이호준;김기수;윤종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67-67
    • /
    • 2001
  • 전기자극은 핵이식 시 수핵난자와 공여핵의 융합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Robl, 1999). 그러나 부적절한 전기자극은 수핵난자 세포질에 해를 입히고, 이후의 배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본 실험은 체세포 핵이식을 \circled1 1.9㎸/cm, 20$\mu\textrm{s}$ 2회, \circled22.0㎸/cm, 20$\mu\textrm{s}$ 2회, \circled32.2㎸/cm, 10$\mu\textrm{s}$ 2회, 및 \circled41.9㎸/cm, 30$\mu\textrm{s}$ 2회의 전기자극으로 융합을 실시하여 각 자극 별 융합율과 난자의 lysis율을 비교하고, 배양 후 배반포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공여핵은 칡소의 귀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에서 39$^{\circ}C$, 5%$CO_2$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monolayer confluent형성 후 0.5% FBS가 첨가된 DMEM에서 3-4일간 배양 후 trypsin처리하여 제핵된 체외성숙 난자에 핵이식하였다. \circled1,\circled2,\circled3,\circled4의 핵이식 조건을 이용하여 공여핵의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을 유도한 결과, 융합율은 각각 50.7%, 48.1%, 65.5%, 및 33.3%였으며, 수핵난자의 세포질 lysis율은 39.%1, 41.7%, 22.6%,및 52.7%으로 \circled32.2㎸/cm, 10$\mu\textrm{s}$ 2회의 조건에서 융합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수핵난자의 세포질 lysis율에 있어서도 다른 군에 비하여 낮았다 각각의 핵이식 조건별로 융합한 후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은 각각 65.7%, 73.5%, 77.2%, 및 53.3%과 47.8%, 52.0%, 49.7%, 및 21.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Plantlet Form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from the penduncle explants of wild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 (야생 현호색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의 꽃자루로부터 체세포배 발생과 소식물체형성)

  • 천우재;이대원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6 no.1
    • /
    • pp.15-19
    • /
    • 1999
  • For the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ic callus, the penduncle explants of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 were cultured on MS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2,4-D, kinetin and zeatin. The highest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was observed on the media containing 2.0 mg/L of 2,4-D and 2.0 mg/L of zeatin. The somatic embryogenesis on the media with 0.5 mg/L of cytokinin (zeatin or kinetin) were excellent under light condition, however somatic embryos abnormally developed into plantlets. Normal dicotyledonary plantlets were foun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of zeatin. When MS medium with 2,4-D plus cytokinin and with BAP were used, the secondary somatic embryogenesis took place in root explants of the regenerants derived from in vitro somatic embryogenic callus.

  • PDF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2 no.6
    • /
    • pp.323-327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origi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somatic embryos of Oenanthe javanica ($B^{L}.$) DC. The experiment included observation of embryogenic cells and their development stages by light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embryogenic cells, which were smaller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size with expanded nucleus and dense cytoplasm. When stained with hematoxylin, the embryogenic cells were readily distinguished from the non-embryogenic cells of which cell walls were stained with safranin. It was observed at somatic embryos developed from single cells on the epidermis of developing embryos or in the surface or inside of embryogenic clumps by segmentation pattern. Observation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embryogenic cells had dense cytoplasm expanded nucleus, small vacuoles, large amyloplasts containing starch grains, and abundant organelles including lipid bodi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mbryogenic callus was shown to consist of very smaller cells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an orderly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net-like structure, while the non-embryogenic callus consisted of large cells, irregular in size and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gelatin-like mater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