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가물 효과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2초

성인병 뉴스 제312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12호
    • /
    • pp.1-18
    • /
    • 2007
  • 서울 마포구 보건소 하현성 소장/65세 이상 서울시민 무료 치매 검진/‘건강투자’보건의료전략 제시/국산약 해외진출,“ 현지화가 급선무”/‘의약품정책협의회’공식 출범/서방형 성장호르몬 상품화 성공/“다 함께 건강증진, 안전한 마포 건설”/지역자원역량강화 통합적 서비스 체계 구축/전립선비대증‘녹차’예방 효과 커/건강검진 수검자 비만율 30.64%/“식품첨가물, 아토피피부염과 상관없다”/허리둘레 크면 당뇨위험 2.2배 증가/발의 구조가 무너지면 인체의 구조가 무너진다/고령친화 모델지역 기본구상/

  • PDF

중성자 조사용 전기도체의 첨가물 효과 (Effect of Metal Oxide of Ceramic Superconductor for Neutron beam Irradiation)

  • 이상헌;최용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3호
    • /
    • pp.429-432
    • /
    • 2008
  • Much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to develop the fabrication technique for high critical current density but still there are a lot of gap which should be overcome for large scale application of superconducting materials at liquid nitrogen temperature. The improvement of the critical current can be achieved by forming the nano size defect working as a flux pinning center inside the superconductor. In this paper, the establishment of fabrication condition and additive effects of second elements were examined so as to improve the related properties to the practical use of superconductor.

Pb-ferrite와 첨가물의 효과 (A Study about Pb-ferrite & effect of Annex)

  • 배진호;사공건
    • 전기의세계
    • /
    • 제23권5호
    • /
    • pp.61-65
    • /
    • 1974
  • Ba-ferrite and Sr-ferrite are mostly used for permanent magnetic material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Pb-ferrite which is studying now at abroad. We studied the most appropriate mole percent of PbO to Fe$_{2}$O$_{3}$, calcinating temperature and tim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and further investigated effects of the annex(NaBiO$_{3}$) The method of appraisment is the microscope for meta and B-H curve by flaxmeter.

  • PDF

Penicillium sp. GL-101의 액침배양중 Mycelial Pellet 크기에 영향을 주는 배양조건 및 첨가물 (Culture Conditions and Additives Affecting to the Mycelial Pellet Size of Penicillium sp. GL-101 in the Submerged Culture)

  • 이동규;하철규;이태근;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188-192
    • /
    • 1999
  • 유리인산 생성균 Penicillium sp. GL-101의 액침배양증 mycelial pellet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배양조건(배지 종류, 초기접종량)과 배지 첨가물(점토광물, 계면활성제, PEG 200)의 종류에 따라 pelle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결과 이 균주는 배지종류를 달리하여 배양했을 때 YPD > SBD > PDB 순으로 pellet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이 균주는 $1{\times}10^3{\sim}1{\times}10^6$ conidia/ml 범위의 초기접종농도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1{\times}10^7{\sim}1{\times}10^8$ conidia/ml 범위의 농도에서는 무정형의 불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였다. 점토광물인 zeolite와 diatomite를 각각 1.0% 농도로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ellet이 3/4과 1/2로 감소하였으나, bentonite를 1.0%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pellet 크기가 2.5배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 역시 이 균주의 mycelial pellet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Triton X-100과 Tween 80을 각각 1.0%로 첨가하였을 경우 pellet 크기가 1/10과 1/4로 감소하였고, SDS를 첨가할 경우에는 이 균의 성장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그리고 PEG 200을 1.0% 농도로 첨가했을 경우에 직경 $0.2{\pm}0.1\;mm$의 pellet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대조군에 비하여 1/25의 크기로 이 실험에 사용된 배지 첨가물 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pellet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

고체윤활제를 사용한 경우 고온에서 SiC 세라믹의 마찰 마모에 관하여 (The Friction and Wear of Sic Ceramic at High Temperature with Solid Lubricant.)

  • 강석춘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권2호
    • /
    • pp.50-55
    • /
    • 1987
  • 윤활제가 없는 경우와 고체 윤활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세라믹 SiC의 마찰 마모시험을 상온 및 고온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마모시험기는 Two-disk형이고, 마찰속도는 132mm/sec이며, 하중의 2.6N에서 10.4N의 범위이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고체윤활제(흑연. Mos$_2$)는 세라믹의 마찰마모를 300$\circ$C 이하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 300$\circ$C 이하에서는 Mox$_2$가 더 효과적인 윤활제 역할을 하고 300$\circ$C 이상에서는 흑연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원인은 윤활제 피막형성 및 파괴가 윤활 효과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온도상승에 따라 각 윤활제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었음이 SEM 이나 EDS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고온에서 윤활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윤활피막의 접착을 강하게 해줄 수 있는 접착 첨가물이 필요하다. 고온에서 윤활이 안된 경우 마모는 결정경계를 통한 입자들의 파괴가 주로 원이되나 낮은 온도나 윤활상태에서는 결정경계에 무관한 연마 마모가 마모를 지배하고 있었다.

식용 Azo 색소가 Hepatic Azo Reductase에 미치는 영향과 Flavin의 효과 (Influence of Food Dye on the Activity of Hepatic Azo Reductase and the Effect of Flavin)

  • 윤혜정;원형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4
    • /
    • 1987
  • 식품의 상품화에 따라 식품 첨가물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식품 첨가물로서 색소는 고유의 색소를 보존하기 어려운 식품에 따라 사용되며 tar 색소, 식물성 색소 및 광물성 색소로 나눌 수 있는데 tar 색소는 독성이 강한 것이 많으므로 현재 15종만이 법적으로 허용되어 있다. 이중 azo 화합물인 amaranth, tartrazine, sunset yellow, allura red에 대하여 흰 주위 hepatic azo reductase의 활성을 측정 비교하였고 이에 대한 flavin의 효과를 보았다. 1. Amaranth를 기질로 사용하여 kinetic constants $Km=645\;\mu\textrm{M}$, Vmax=50 n mol/min/mg protein의 값을 얻었다. 2. Amaranth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고 FAD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 hepatic azo reductase의 활성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NADPH-generating system에 의한 환원은 작은 증가를 나타냈다. 3. 기타 식용 azo 색소 tartrazine, sunset yellow, allura red를 기지로 azo reduct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sunset yellow는 amaranth와 비슷한 환원활성은 나타냈고, tartrazine은 보다 낮은 환원활성을 allura red는 보다 높은 환원활성을 나타냈으며, $300\;\mu\textrm{M}-FAD$에 의해 기질 모두에서 환원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모 Phaffia rhodozyma의 융합체와 Carotenoid 생성 (Fusion Hybrid and Carotenoid Formation from the Yeast, Phaffia rhodozyma)

  • 장기명;김문휘;송명희;김상문;전순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5
    • /
    • 1993
  • Astaxanthin을 생산하는 효모 Phaffia rhodozyma로 부터 제조된 상보적 돌연변이 균주사이의 융합체에 대한 carotenoid 함량 및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몇가지 화학첨가물에 의한 이들의 색소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핵 융합이 확인된 융합체들은 완전배지에서 1년 또는 그 이상 계대 후에도 매우 안정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astaxanthin 함량은 야생형 모균주의 그것에 비해 약 $2.0{\sim}3.0$배 이었다. 또한 화학첨가물(malt extract, abscisic acid, gibberellic acid, riboflavin)에 의한 색소 증진 효과는 l% malt extract와 1 mM abscisic acid 첨가시 대조구에 비교해 총 caretenoid 함량이 35%와 11%가 각각 증진되었고, 이와 반대로 5 mM gibberellic acid와 0.1 mM riboflavin첨가시 19%와 12%가 각각 감소되었다.

  • PDF

Water-Sorbitol System의 수분활성도에 미치는 Sodium Lactate 및 Sodium Chloride의 영향 (The Effect of Sodium Lactate and Sodium Chloride on Water Activity of Water-Sorbitol System)

  • 박장우;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0-335
    • /
    • 1991
  • 용질의 몰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활성도의 저하효과가 큰 sorbitol, sodium lactate 및 sodium chloride를 보습제로 사용하여 water-sorbitol system에 미치는 sodium lactate 및 sodium chlorid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분과 sorbitol의 혼합무게비가 1 : 0.5322 및 1 : 0.7619인 water-sorbitol systems에서 첨가된 용질들과 sobitol 수용액내의 sobitol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났으며 이 상호작용된 양은 혼합무게비가 1 : 0.7619 경우보다 1 : 0.5322일 때 더 컸으며, 이때 첨가물로써 NaCl을 사용했을 때보다 sodium lactate를 사용했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런 상호작용된 용질의 양의 변화는 0.87Aw 부근에서 가장 많았으며, 이 이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이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중간수분식품의 수분활성도 범위인 0.70부터 0.90 사이에서 sodium lactate 및 NaCl를 각각 농도별로 첨가했을 때 이들 용질과 상호작용된 수분의 양이 가장 많게 나온 sorbitol 수용액은 수분과 sorbitol의 혼합무게비가 1 : 1.1241인 경우이었다. 또한 이때 첨가물로써 NaCl을 사용했을 때보다 sodium lactate를 사용했을 때 상호작용된 수분의 양은 더 많게 나타났다.

  • PDF

포장어묵의 수분활성저하에 미치는 식품첨가제의 영향 3. 식품첨가제의 병용효과 (Effect of Food Humectant on Lowering Water Activity of Casing Kamaboko 3. Effect of Humectants Used in Combination)

  • 정혜경;김동조;천석조;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8-96
    • /
    • 1983
  • 식염, sodium lactate, glycerin, propylene glycol 및 sorbitol의 5종의 첨가제를 두 종류씩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이들 혼합첨가제의 수 분활성 저하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들 첨가제에 NaCl을 일정 비율로 혼합첨가한 경우가 다른 첨가물에 비하여 저하효과가 현저히 좋았으며, sodium lactate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저하효과는 식염의 1/2 정도로 나타나며, glycerin, propylene glycol, sorbitol 보다는 우수하였다. glycerin과 propylene glyco1을 다른 첨가물에 일정 비율로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경우의 수분활성저하효과는 glycerin이 propylene glycol보다 약간 좋았으나, 그 차이는 극히 미미하였다. 5종의 첨가제 중에서 sorbitol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 저하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수분활성치와 Raoult의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 검토한 결과는 첨가량이 적은 범위에서는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실측치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어묵의 수분활성 예측법으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직선경사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어 각종 첨가제에 있어서 수분활성 저하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식을 구하여 보았다.

  • PDF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유기산염의 잔류농약 제거효과 (Removal Effect of Residue Pesticide of Organic Acid Salt in Alkali Aqueous Solution)

  • 이재덕;이만호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907-912
    • /
    • 1999
  • 본 연구는 유기산염 및 알칼리 원료를 사용해 야채 및 과일등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및 유성오염의 제거효과를 GC와 세정력 측정장치를 사용해 조사했다. 일반적으로 잔류농약 등의 유성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합성세제, 유기용제 등의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식품첨가물 원료만 사용했다.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trisodium citrate를 사용했을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기존의 화학 합성세제와 비교했을 때 우수한 농약제거력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