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릭(帖裏)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조선시대무관(朝鮮時代武官)의 철릭[帖裏] 연구 (A Study on Cheollik, the Military Officials' Clothes, in the Joseon Dynasty)

  • 금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5호
    • /
    • pp.960-976
    • /
    • 2010
  • Even though Joseon Dynasty stri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e dress and its ornament have been studied only based on embroidery emblems that are correctly identified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features of the only military officials uniform, Cheollik, different from the civil officials's identifying them with other features shown from the records, unearthed relics, stone statue, Joseon-tongsinsa-haengnyeoldo(Illustration of Joseon Delegation to Japan), etc.,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wearing examples of the military officials, from the facts that they had worn mainly ordinary clothes, etc. on announcement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s clothes by Daejeonhusokrok and the other documents, and there was an assertion that the form of the military and civil officials's clothes should be different by the document, Hongjejeonseo,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It is presumed that length, width and shape of sleeves might have been different. Second, unearthed Cheollik of the military officials are mostly from the 16th~17th centuries and most of them have removable sleeves according to statistics. The skirt had an opening and one or two slits. Various textiles were used. Third, military official statues of high governor wear small caps and helmets. They wear Cheollik with the collars same as the collar of Bangryeong and Jikryeong, which is also called Dopji Cheollik. It would be considered as they wear the Bangryeong on top of the Cheollik. Fourth, militarly officials described on the Joseon-tongsinsa-haengnyeoldo(Illustration of Joseon Delegation to Japan) wear Cheollik, Rip, Donggae, Okro, Hongsadae, Hwando, Deungchae.

광주출토 장택고씨 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cavated Costumes of the Go′s of Jang Taek)

  • 안명숙;김은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35-1043
    • /
    • 2000
  • This paper studied the excavated costumes of the Go's of Jang Taek that had been found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in 1986. The excavated costumes mainly show Po(포) including Chopni(첩리), Dapho(답호), Danryung(단령), Jikryung (직령). In addition, there are some kinds of trousers, hat, korean socks. The meanings of excavated costumes of the Go's of Jang Taek are the followings: 1. They offer the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to studying of general dress. 2. They offer actual proof materials of 15-16 century in opposition to depending on documentary records. 3. They offer the useful informations on the form, textile, dyeing because of good condition. 4. They offer the variety of Po that many persons weared at that times. 5. They offer the practical and rational construction by folding pleats and needlework. 6. They did not quilted padded clothes in comparison with other dress at that times. 7. They offer the important materials on the trousers. In the near future, we will study excavated costumes on dyeing, textile structure, trousers formation and so on.

  • PDF

선조대(宣祖代) 공신초상(功臣肖像)의 복식 고찰 (A Study on the Costumes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reign of King Seonjo)

  • 이은주;김미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120-147
    • /
    • 2019
  • 연구는 현전하고 있는 선조대 공신 초상화를 임란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초상화에 표현된 복식 양상을 초상화와 관련 유물, 문헌자료를 토대로 살펴본 것이다. 공신초상은 공신 책록 당시에 그려진 공신화상도 있었으나 후대에 그리거나 이모된 것도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해당 시기의 모습을 어느 정도 보이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공신초상은 사모와 단령, 품대, 흑화로 구성되는 의례용 단령인 흑단령 차림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흑단령 관복을 분석하기 위해 사모의 높이와 모정의 형태, 양각(兩角 사모뿔)의 형태와 문양, 단령의 문양과 무의 양식, 단령의 옆선 처리방식과 흉배 품대, 단령의 받침옷인 답호(??)와 철릭[帖裏]의 색상, 흑화 등을 살펴보았다. 임란 이전 광국 평난공신 초상화는 한응인(韓應寅) 초상화(1점)가 분석 대상이었는데 사모는 조선시대 사모 중 가장 높은 높이였으며 사모뿔에서는 당상관 이상만 사용할 수 있는 운보문(雲寶紋)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흑단령은 '밖주름무'가 달린 만자운문(卍字雲紋)의 아청색 단령에 운안흉배(2품)가 달렸다. 허리에는 학정대(종2품)를 띠고 있었는데 학정대는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에 기록되어 있는 자헌대부(정2품) 품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당상관용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의 단령 받침옷, 그리고 흑화 등을 확인하였다. 임란 이후 호성 선무 청난공신 초상화는 이항복(李恒福) 초상화를 포함하여 18점을 분석하였다. 사모의 높이는 이전 시기보다 낮아졌고 운보문의 사모뿔은 상대적으로 넓어 보이는 형태였다. 흑단령은 '뒤뻗침무'가 달린 만자운문의 아청색 단령이었으며 흉배와 품대는 공신 책봉 당시의 품계와 거의 일치하였으나 2점(신잡 김새신)의 예외가 있었다. 따라서 공신초상은 책봉 당시의 품계로 그리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흑단령의 받침옷 중 녹색 답호(11점), 남색 답호(4점), 다홍색 답호(3점)가 확인되었으며 철릭은 남색(10점), 녹색(6점), 홍색(1점), 유청색(1점)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삼공신의 흑단령 받침옷으로는 임란 전과 동일한 당상관용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으로 표현되는 것이 옳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 속 등장인물의 복식 고찰 (Analysis of Clothing in a Painting Album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F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76-98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덕수6375)에 묘사된 남녀 등장인물의 복식을 분석하고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노신랑은 <전안례도>와 <교배례도>에서는 평소 관원으로 착용하던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그 외 <헌수례도>와 <접빈도>, <중뢰연도>에서는 패영 없는 자립에 옥색 포, 홍색 세조대를 둘렀다. 기럭아범은 자립에 귀 옆에 묶은 패영을 달고 흉배를 부착한 무문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성인 남자 자손과 하객들은 도포 등 당시의 대표적인 포 종류를 착용하였는데 특히 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철릭, 직령을 착용하고 붉은 색 띠와 청색 계통의 띠를 신분에 맞추어 착용하였다. 징씨(徵氏) 등 안내자는 중치막과 홍단령을 착용하였으며 어린 동자들과 시동(侍童)은 중치막을 착용하였다. 술을 따르고 음식을 나르는 총각들은 땋은 머리에 소창의(小氅衣)를 입고 성인들은 전립(氈笠)에 소창의를 착용하였다. 군영 소속의 세악수들은 소색 소창의에 흑색 전복, 그리고 허리에 남색 포대 등 군복을 착용하였다. 둘째, 노신부는 <교배례도>에서는 거두미와 초록원삼 차림을 하였고 <헌수연도>에서는 남치마·옥색저고리 차림이 확인되었다. 여자 자손들은 어여머리에 비녀와 반자, 진주댕기 등의 칠보장식을 하였고 다양한 색상의 저고리에 남색과 홍색, 옥색 등의 치마를 입었다. 남치마에 초록 장옷을 입은 부인도 확인되었다. 홍치마에 초록색 회장저고리를 입은 <교배례도>의 동녀(童女) 4명은 낭자머리에 비녀 꽂고 도다익 댕기를 길게 드리웠으며 칠보족두리를 썼다. 비자(婢子)들은 어여머리에 가리마를 썼으며 양반 부인들과 유사한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연했고 치마의 길이가 짧았으며 치마의 부풀림 정도가 약하였다. 기녀는 양반 부인과 비슷한 모습이었으나 색상이 덜 화려하였으며 어여머리에는 칠보장식이 없었다. 셋째, 주인공의 자립 착용, 철릭과 직령을 입은 하객들, 군영 소속 세악수 참여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의 주인공이 병조나 군영과 관련된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군영 악대의 전복의 소매 길이와 잠화 사용, 어여머리의 형태와 댕기, 저고리의 길이와 치마의 부풀린 형태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1760년대~1780년대로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