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 역사 시스템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 철도역사시스템 구축을 위한 영상기반 기술 분석 (Analysis of Vision based Technology for Smart Railway Station System)

  • 이상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65-1070
    • /
    • 2018
  •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 등을 활용한 영상기반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영상기반 기술을 철도역사 시스템에 적용한 지능형 운영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철도역사 승객 및 시설 감시, 철도승강장 감시, 철도역사 화재 감시, 그리고 철도역사 운용 및 설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 철도역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영상기반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연구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앞으로 새로운 영상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 철도역사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개선된 DSM 기법을 통한 경전철 정거장 기능실의 슬림화에 관한 연구 (On Slimming down the Functions Room of Light Rail Transit Stations by Utilizing an Enhanced DSM Method)

  • 김주욱;박기준;김영민;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27-939
    • /
    • 2015
  • 오늘날 산업 기술의 발달에 따른 고도화로 인해, 고속철도로 대변되는 전국망 철도 운영과 함께, 도시 내 또는 교외의 단거리 구간을 운영하는 철도사업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일반철도라 불리는 기존의 중전철에 비해서, 후자의 경우는 단거리 운행에 따른 특성으로 경량전철의 형태로서, 보다 작은 규모의 철도차량 및 역사(정거장)으로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무인화 운행 및 정거장 운영 인력의 감축도 주요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경량전철시스템의 기반 시설인 역사의 경우, 시설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중전철의 설계지침 및 관련법에 의해 건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침에 의해 건설되는 역사는 소형화의 추구 방향과는 거리가 있게 된다. 경량전철 역사의 슬림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건축학적 의미 이상의 접근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경량전철은 다양한 시스템이 내재된 복합구조의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의 슬림화를 추구하면서 열차무인운행에 대한 안전성까지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설계에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경전철 역사에 대한 설계지침 및 관련법이 국내에 현재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 기능실의 소형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구조행렬(DSM)의 개선된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통해 역사 기능실 구조설계에서 구성품 통합에 의한 소형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기반으로 경전철 역사의 기능실 통합을 통한 슬림화 설계를 수행한다면, 향후 경전철역사 건설에서 상당한 시간, 공간, 예산 절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전기 철도 시스템의 역사간 매설 지선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a Buried Wire between Electric Railway Stations)

  • 류청희;남승욱;조대훈;정호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183-2185
    • /
    • 2011
  • 전기 철도시스템에는 많느 궤환 전류가 흐르고 이로 인하여 제어시스템의 오동작과 인명 손상의 위험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의 노이즈 및 서지 전류로부터 인명과 설비를 보호를 위한 대책으로 역사간의 접지 매설 지선을 할용하여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내 전체의 통합접지를 구성하여 등 전위를 확보하고, 역사간 매설지선과 일정 간격 접지봉으로 시공함으로서 전기철도 선로에서 지락사고 및 낙뢰등에 대한 위험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시뮬레이션하여 확인하였다.

  • PDF

국내외 철도 시스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현황 (Applications of Renewable Energy for Railway System)

  • 박한얼;김덕현;김대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5.1-135.1
    • /
    • 2011
  • 철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철도 시스템 적용이 가속화 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철도 시스템에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상당수의 신규 역사가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고, 단순히 유휴지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을 넘어서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거나 차량 외부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 에너지를 연료로 하는 연로전지의 경우 기존 전기철도의 대체 연료로서 주목을 받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현재는 시험 운전 단계에 이르러 있다. 지열의 경우에는 벌써 오래전부터 승강장 또는 선로의 해빙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되고 있다. 이밖에 수력 및 해양 에너지의 경우 전철전력의 청정 에너지 공급원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차량이나 역사 내에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수확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에너지 문제와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이 날로 가중되는 현 시점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전기철도 시스템 적용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실한 대안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전기철도 시스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 기술과 적용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 PDF

고속철도에서의 응급의료체계 - 고속철도 역사와 차량내의 응급처치 장비 배치의 예를 중심으로

  • 왕순주
    • 한국방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2-50
    • /
    • 2010
  • 국내에서 이용객수가 많은 6개 고속철도 역사와 운행 중인 고속열차(KTX)에 심장마비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장비로서 자동제세동기가 2009년에 설치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6개 역사의 역무원 및 고속열차 승무원과 일반대중에게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법과 일반대중 제세동기 사용허용을 교육하는 고속철도 자동제세동기 보급 및 교육사업도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서 국내 응급의료체계가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국내 고속철도가 심장마비 환자의 응급 대처 능력을 갖추게 되어, 역사 및 고속열차 안에서 심장마비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사 및 고속열차 내에서의 응급의료체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자동제세동기 배치를 통하여 알아보며, 이에 따라 다양한 교통편 및 다중이용시설의 사고, 재난 및 응급 대응이 현재까지 해 오던 건축물 안전, 법규 마련 뿐 만 아닌 인명 피해 감소를 위한 응급의료체계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 있음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 개발 및 대처도 안전과 방재 측면에서 같이 다루어져야 함을 본 연구 내용은 강조하고 있다.

  • PDF

지하 철도역사에서 위치확인을 위한 스마트 점자블럭의 RF 특성 분석 (R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mart Braille Block for Location Identification in Subway Station)

  • 황종규;김경희;안태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78-384
    • /
    • 2020
  • 철도역사는 최근 들어 환승 등으로 더욱 복잡해지면서 철도역사 내부에서 이동자는 본인의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약자들의 경우는 더욱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교통약자들은 철도역사 바닥에 설치된 점자 블록을 기반으로 역사 내에서 위치를 찾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많아 역사이용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철도역사에서의 다양한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 지원을 위해서는 역사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확인을 위한 스마트 점자 블록을 제안하고, 이 스마트 점자 블록의 재질별 RF 특성해석을 통해 철도역사 적합한 스마트 점자 블록의 재질, 그리고 스마트 점자 블록 내부의 RF 센서 간 이격거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성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결국 스마트 점자 블록의 적용 시 소재 변화에 공사 현장에 맞는 소재를 선정한 뒤 적용 예정인 RF 시스템 특히 RF 성능을 크게 좌우하는 안테나에 대한 성능변화를 반드시 사전 검토 과정을 통해 확인한 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시스템의 역사적 발전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online systems)

  • 사공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30
    • /
    • 1994
  • 온라인 시스템의 유래로 부터 역사적 발전 단계와 주요 기술 상황을 고찰하고 통계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온라인 서비스의 성장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온라인 시스템의 진행 과정과 최근의 온라인 환경을 조사하여 제시하였고 이와같은 역사적 상황에 근거하여 온라인 시스템과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전망하였다.

  • PDF

도시철도 역사 내 안전 감시 시스템의 생태학적 인터페이스디자인(EID)을 위한 작업 영역 분석(WDA) 적용 (Applying Work Domain Analysis for Ecological Interface Design of Safety Monitoring System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 이석원;이봉근;백지승;조성식;명노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64-2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역사 내 철도 안전 감시 시스템의 최적 디스플레이 설계를 위하여 생태학적 인터페이스 디자인(EID, Ecological Interface Design) 프레임웍을 적용하였다. 특히, EID 개발을 위한 가장 선행적 연구인 작업 영역 분석(WDA, Work Domai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WDA를 위한 시스템 경계를 도시철도의 역사 내 안전 감시 시스템으로 설정하고, Abstraction Hierarchy (AH)를 이용하여 역무원의 작업 환경을 분석하였다. AH 결과 역무원이 작업 환경에서 얻게 되는 정보의 흐름을 다섯 단계의 수준(Functional Purpose, Values and Priority Measures, Purpose-related Functions, Object-related Process, Physical Object)으로 전개할 수 있었고, 각각의 수준의 정보로 이루어진 작업 영역 모델(WDM, Work Domain Model)을 얻었다. 이 WDM이 도시철도 안전 감시 시스템의 작업 환경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10년 이상의 역무실 직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Scenario Mapping법을 실시하였다. 평가된 WDM을 바탕으로 현재 역사 내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제공하고 있는 정보는 물론이고, 현재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제공해주고 있지 못하는 13개의 요구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요구 정보는 도시철도 안전 감시 시스템의 EID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필수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형 고속전철의 신호제어시스템

  • 이종우;신덕호;황종규
    • 전기의세계
    • /
    • 제53권6호
    • /
    • pp.43-48
    • /
    • 2004
  • 산업화와 인구의 도시집중현상이 진전됨에 따라 도 시간의 여객의 고속화와 대량 수송화 및 환경공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쾌적성과 저공해성을 갖는 대중교통수단으로 철도의 고속화를 추진하여 왔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서울-부산 간에 300km/h의 고속철도의 대 역사를 추진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철도기술을 완전히 습득하여 우리의 기술로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의 필요성이 시작되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