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연식품

검색결과 1,562건 처리시간 0.033초

굴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천연조미소스 개발을 위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화 (Optimizing Maillard Reaction for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Source Using Oyster Hydrolysate)

  • 유태현;김진희;신지영;김현정;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69-1274
    • /
    • 2016
  • 굴은 "바다의 우유"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또한 타우린, 글리코겐, 셀레늄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영양학적 특징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식품 산업에서는 천연소스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최근 다양한 선호도와 특별한 맛 때문에 소비자들의 천연소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이 논문은 굴과 굴 가공 부산물인 굴 자숙액을 이용한 천연소스 개발을 위하여 소스 제조에 필요한 마이얄 반응의 최적 조건을 설정하고자하였다. 최적화를 위한 결과값은 갈색도와 열을 가하면 생성되는 향미성분인 pyrazine으로 판단한다. Protamex를 이용하여 굴과 굴 자숙액을 각각 6시간, 2시간 가수분해한 가수분해물과 당은 주로 glucose, xylose, fructose와 반응시켰고, xylose가 갈색화에 가장 적합하였다. 당함량은 1% 이상에서 반응하여도 거의 동일하였으며, 경제적으로 판단한 결과, 최적 농도는 가장 낮은 농도의 1%를 선택되었다. 또한 온도를 달리하여 반응을 시켰을 때, 갈변도는 $60^{\circ}C$ 이상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는 갈변도와 pyrazine 모두가 온도가 상승해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12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이취가 발생하여 식품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100^{\circ}C$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6시간 까지는 상승을 하였으나, 6시간 이상에서 pyrazine과 갈색도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천연소스를 제조하기 위해 굴과 굴 자숙액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100^{\circ}C$, 6시간 동안 xylose로 마이알 반응을 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부산물을 이용하여 소스로 제조함으로서 산업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및 양식산 넙치의 지방질성분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in Wild and Cultured Bastard)

  • 오광수;노락현;김정균;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8-882
    • /
    • 1988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양식산넙치와 유사어종인 도다리의 지방질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시료어의 지방함량은 $1.6{\sim}2.0%$로서 큰 차이는 없었고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함량은 천연산넙치 및 도다리가 많았고. 반면 인지방질은 양식산넙치가 많았다. 시료어의 중성지방질은 트리글리세리드$(64.1{\sim}68.1%)$가 주성분이었고, 인지방질은 포스파티딜콜린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주성분이었다. 천연산넙치 및 도다리는 양식산넙치에 비해 트리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함량은 다소 많았으나 스테롤류, 포스파티딜콜린 등은 작았다. 시료어 근육부분의 지방산조성은 양식산이 22 : 6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고 이를 주제로 한 폴리엔산의 비율이 다른 시료어에 비해 높았다. 16 : 1 및 18 : 1과 같은 모노엔산은 천연산이 높았으며, 포화산의 경우는 시료어간지방산조성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도다리는 넙치에 비해 20 : 5의 비율이 높은 점이 특징이었다. 총 지방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으로는 세 시료어 모두 16 : 0, 22 : 6, 18 : 1, 20 : 5, 16 : 1 순으로 서로 비슷하였다. 중성,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각 획분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시료어 간에는 조성이 거의 비슷하였다.

  • PDF

천연 식물고체지와 팜스테아린 분별유 혼합물의 Solid Fat Index 및 Triacylglycerol 조성 비교 (Comparison of Solid Fat Index and Triacylglycerol Composition of the Blends from Natural Vegetable Fats and Palm Stearin Fraction)

  • 성민혜;홍순택;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38-1446
    • /
    • 2011
  • 팜 스테아린을 아세톤을 이용한 분별을 하여 POO와 POP가 많이 함유된 분별유지(PSL)를 얻었다. 분별을 위한 조건으로는 분별온도 $29.3^{\circ}C$, 아세톤과의 비율 1:5.7(w/v), 분별시간은 24시간이었다. 이후 천연 식물고체지들(sal fat, illipe fat, kokum fat, shea stearin fat, shea butter)과 PSL을 다양한 비율(50:50, 60:40, 65:35, 70:30)로 혼합하여 상용화되고 있는 CBE와 SFI를 비교하였으며, 총 지방산 조성 및 위치별 지방산 조성 분석과 TAG 분자들의 조성과 함량을 알아보았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PSL의 경우 palmitic, oleic 그리고 linole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천연 식물고체지의 경우 대부분 stearic, oleic 그리고 palmitic acid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sal fat, illipe fat 및 kokum fat의 경우 sn-2 위치에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가 90% 이상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G 분자들의 PN값은 46~54 사이에 존재하였다. PSL의 경우 PN 48에서 86.53 are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천연 식물고체지들의 경우 대부분 PN 50과 52에서 주로 TAG 분자들이 존재하였다. 천연 식물고체지와 PSL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대부분의 경우 PSL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SFI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sal fat과 혼합하였을 때, CBE와 유사한 SFI를 나타내었다. Sal fat과 PSL의 blending 혼합물의 경우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PSL의 함량이 낮아질수록 palmi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stearic acid는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갈색계 천연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wnish natural dyeing agents from medicinal plant)

  • 김연순;권오준;서화진;박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7-39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종산업인 섬유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총 페놀 함량 분석, DPPH 라디칼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7종의 천연염료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12~0.239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폴리페놀함량이 높은 자단향과 아선약 추출물의 $IC_{50}$ 값이 각각 $12.4{\mu}g/mL$, $24.2{\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아선약, 자단향 추출물에서 각각 0.19, 0.21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단일항산소(singlet oxygen)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한련초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시장에 유통중인 소시지 및 캔류 제품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Sausage and Can Products in Korean Market)

  • 김일석;진상근;하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0-56
    • /
    • 2004
  • 한국 시장에 유통중인 제품유형이 동일하게 표기되고 제조경과 일자가 유사한 소시지류 [천연장에 충전된 위너소시지(N), 콜라젠 케이싱(collagen casing)에 충전된 비엔나 소시지(C), 셀롤로오즈 케이싱에 충전된 후랑크 소시지(F)] 와 캔류 [스팸류(S), 런천미트류(L), 장조림류(J)] 제품을 각각 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도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는 4.9∼5.0 범위가, 비엔나 소시지는 6.6과 8.0 수준이, 후랑크후르트 소시지는 5.2와 6.5 수준이었다. 염도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 제품은 모두 2.0 이하로 나타난 반면, 비엔나와 후랑크후르트 타입의 소시지는 2.0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이 조사 제품의 각각 66.6%, 80.0%로 나타나 천연장 이용 소시지보다 염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H는 대부분 6.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분함량은 N, C, F에서 각각 57.9∼59.8%, 53.9∼61.4%, 55.3∼62.9%의 범위를 보였고, 조지방함량은 N, C, F에서 각각 14.5∼20.6%, 13.2∼21.7%, 15.3∼24.8%의 범위를 보였다. 육색에서는 천연장을 이용한 소시지의 L*값이 49.8 ∼56.7 범위로 다른 제품군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소시지 제품의 기호도는 조지방 함량과 L*값이 높은 제품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캔 제품에 있어서 당도는 장조림이 6.0∼10.2%로 스팸(6.6)이나 런천미트(5.2∼6.7)보다 높았다. 염도는 스팸류가 2.58∼3.27%로 런천미트(2.09∼2.50%)나 장조림(2.19∼2.79%)보다 높게 나타났다. pH는 스팸과 런천미트가 장조림보다 다소 높았다. 수분 및 조지방 함량은 스팸류가 52.0∼59.2%와 19.6∼28.0%, 런천미트는 55.7∼60.8%, 17.3∼22.1%로 각각 나타났다. 장조림은 수분함량은 69.4∼74.9%, 조지방 함량은 1.5∼8.8%로 나타났다. 육색은 L*값과 a*값에서 스팸류와 런천미트 제품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b*값은 런천미트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제품들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나 염도가 낮은 제품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좋았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박혜진;강선애;이주영;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44-750
    • /
    • 2012
  •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항산화제 개발 연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유, 진피, 천련자, 천문동, 청피, 편축, 하고초 7종의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유가 열수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1.5 mg/g, 32.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이 지유, 진피, 천련자, 천문동, 청피, 편축, 하고초 7종의 천연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7종의 천연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85%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천련자 열수 추출물에서 1.65 PF로 대조구인 vitamin C 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BARs 생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지유, 천련자, 청피, 편축, 하고초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99%에 가까운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대조구인 vitamin C보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6종 천연물 추출물의 여성질염 활성성분 및 면포 염착 효과 (Female Vaginitis Active Ingredients of 16 Kinds Natural Herbal Medicine Extracts and Dyeing Effect on Cotton Fabric)

  • 김현경;이윤기;최수빈;김도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25-733
    • /
    • 2023
  • 천연물 16종의 물 추출물 및 50% 에탄올 추출물들에 대한 기능성 활성성분 및 면포 염착효과를 알아본 결과, 색도 강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적색 6종, 황색 5종, 오렌지색 2종 및 녹색 3종 이었고, 대체로 50% 에탄올 추출액의 색도가 높고 선명하였다. 이와 같은 천연물들의 물 추출물 및 50% 에탄올 추출물에 면포 거즈를 2일간 침지하여 염색한 결과 염색효과는 대체로 양호하였으며, 실온에서 건조 후 개봉하여 보관하여도 색도의 퇴색 감소는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천연물 16종의 물추출물의 pH는 중성 내지는 약산성으로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중성~약산성 범위였다. DPPH 유리라디칼 억제 항산화효과는 시료 별로 50%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물추출물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특히 황금, 유백피, 유근피, 박하, 홍화 등의 효과가 양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도 대체로 50%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금은화, 유근피, 황금, 유백피, 홍화 등의 효과가 양호하였다. 따라서 천연물 16종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여성질염 예방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35-1641
    • /
    • 2011
  •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_{50}$이 각각 2.40 ${\mu}g$/mL, 2.88 ${\mu}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58.94 ${\mu}g$/mL, 61.91 ${\mu}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39.26 ${\mu}g$/mL, 40.95 ${\mu}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pm}0.66%$(dichloromethane), $15.43{\pm}0.85%$(butanol), $12.82{\pm}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_{50}$은 115.54 ${\mu}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천연 항균 효소제 난백 lysozyme의 한외여과 조건 최적화 (Ultrafiltration and Separation Process Optimization of Hen Egg White Lysozyme as Natural Antimicrobial Enzyme)

  • 이은영;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7-406
    • /
    • 1998
  • 난백 lysozyme은 박테리아 세포벽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므로 식품 가공 공정에 있어서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 기존의 결정화와 냉동건조 방법 대신 PM30 막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함으로써 13종의 난백 단백질로부터 single-step에 의해 lysozyme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냉동 건조한 lysozyme을 pH 4.6 citrate-phosphate buffer에 녹여 PM30 막으로 한외여과시 시료 농도, 온도, 막 횡단 압력, 교반속도 등의 운용 조건을 변화시켜주면서 flux를 최대화하는 최적 막분리 조건을 구하였다. 최적 막 분리 조건하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재질과 막 침착이 flux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고, 막 분리 여액내 단백질 농도와 lysozyme 농도, 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PM30 막을 이용한 난백 lysozyme의 막 분리 최적 조건은 시료농도 0.25%, 온도 $35^{\circ}C$, 막 횡단 압력 30 psi, 교반속도 300 rpm 이었다. 막 분리 초기 12분까지는 YM30 막의 flux가 더 높았으나, 정상상태에서의 flux는 PM30 막이 더 높았다. PM30 막의 분리 여액내 단백질 농도와 lysozyme 농도는 YM30 막에 비해 낮았으나, 비활성도는 2배 이상 높았다. 5회 막 분리한 PM30 막은 새 PM30 막에 비하여 flux가 약 30% 감소하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flux 감소 경향은 거의 동일하였으며, 막 분리 35분 경과 후 정상상태에 이르러 초기 flux 약 70%를 유지하였다. 막 분리 여액내 lysozyme 농도와 비활성도는 각각 110 units/mL, 2,821 units/mg protein이었으므로, PM30 막을 이용한 한외여과 공정은 천연 항균 효소제인 lysozyme을 분리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 PDF

메추리알 장조림에서 녹차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저장 온도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on pathogenic Salmonella Enteritidis in braised quail eggs)

  • 김광엽;김영지;김홍석;송광영;김동현;이미영;김의수;정헌상;서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9-334
    • /
    • 2016
  • 천연 녹차추출물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메추리알 장조림에서 천연식품첨가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S. Enteritidi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냉장온도($4^{\circ}C$)와 일반실내온도($25^{\circ}C$)에서 평가하였다. 순수배양액에서의 실험결과 첨가된 EGCG의 농도($200-800{\mu}g/mL$)에 따라 $4^{\circ}C$에서 5일에서 16일 사이에서 그리고 $25^{\circ}C$에서 1일부터 6일 사이에서 S. Enteritidis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장소스에서의 실험에서는 $25^{\circ}C$에서 첨가된 EGCG의 농도와 관계없이 S. Enteritidis균이 억제되지 않았으며, $4^{\circ}C$에서는 $400{\mu}g/mL$ 이상의 농도일 때 16일에 S. Enteritidis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메추리알 장조림의 경우, $25^{\circ}C$에서 간장소스의 결과와 동일하게 어떠한 EGCG의 항미생물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4^{\circ}C$에서 $400{\mu}g/mL$의 EGCG 농도 첨가 시 16일에 S. Enteritidis 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메추리알 장조림 완제품에서 EGCG는 $4^{\circ}C$ 이하의 저온유통체계(cold chain system)하에서 S. Enteritidis과 같은 식중독세균을 제어할 수 있는 적합한 천연 식품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