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산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vival of Miller-Urey Experiment (밀러 유리 실험 설계 및 재연)

  • Song, In-Ok;Hwang, Ki-Wook;Kim, Seung-Su;Lee, Jeong-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2
    • /
    • pp.47.4-48
    • /
    • 2018
  • 밀러-유리 실험은 1950년대 처음으로 초기 지구의 대기 방전 실험으로 아미노산을 합성한 실험이다. 생명의 기원에 대한 내용이 교과서나 책에 실릴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실험으로, 학생들의 탐구 활동 연구주제로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실 설계부터 시작하여 실험 과정인 유리기구 세척, 진공 만들기, 기체주입과 방전실험을 소개한다. 실험 장치가 완성 된 후, 실험 시간 23시간 중 약 4시간 동안 방전하여 갈색 용액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아민기와 반응하는 ninhydrin 반응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아미노산 수용액임을 확인하였다.

  • PDF

Beyond the BOES ; IGRINS, GCLEF and GMTNIRS

  • Kim, Kang-Min;Park, Chan;Chun, Moo Young;Kim, Jihun;Oh, Jae Sok;Park, Sung-Joon;Jang, Jeong Gyun;Jang, Bi Ho;Lee, Sungho;Oh, Heeyoung;Yuk, In S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9.2-59.2
    • /
    • 2016
  • 보현산천문대가 준공되면서, 1.8 m 망원경이 연구자들에게 공개된지 20년이 되었다. 당시 보현산 천문대의 연구자들은 1.8 m 망원경을 도약망원경이라 부르면서, 우리나라 천문학의 비약적인 발전의 토대가 되기를 희망하였다. 보현산천문대 10주년 기념 담양 워크샵에서 BOES의 성과를 발표한 이후 10년 동안, 천문연구원 광학천문기술 그룹에서는 BOES 편광분광기와 IGRINS를 개발 완료하였으며, GMTNIRS의 개념설계와 GCLEF의 기본설계가 진행되었다. 여기에서는 그동안 개발된 고분산 천체분광기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논의한다.

  • PDF

103P/Hartley 2 혜성의 고분산 스펙트럼을 이용한 미확인 분광선 연구

  • Son, Mi-Rim;Kim, Sang-Jun;Sim, Chae-Gyeong;Lee, Chung-Uk;Lee, Dong-J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42.2-42.2
    • /
    • 2011
  • 2010년 10월 28일 근일점을 통과한 103P/Hartley 2 혜성의 분광학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11월 6일과 11일 양일간 보현산 천문대의 고분산 에셀 분광기 BOES(R~30,000)로 관측을 하였다. 우리는 Hartley 2 혜성의 고분산 분광자료를 Hwang et al.(2009)의 Machholz(C/2004Q2)혜성 가시광 영역($4800{\sim}8100{\AA}$) 고분산 분광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C2, CN, NH2,H2O+의 방출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미확인 분광선을 발견하였다. 또한 발견된 미확인 분광선을 설명하기 위하여 향상된 NH2방출선과 OH 방출선 등의 후보 물질을 이용하여 미확인선의 원인 물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발표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를 소개한다.

  • PDF

GMT용 적외선 광대역 고분산 분광기 GMTNIRS 개발

  • Yuk, In-Su;Lee, Seong-Ho;Cheon, Mu-Yeong;Park, Gwi-Jong;Park, Chan;Park, Su-Jong;Gwon, Jeong-Mi;O, Hui-Yeong;Kim, Sang-Hyeok;Seo, Haeng-Ja;Park, Byeong-Gon;Kim, Yeong-Su;Jaffe, Daniel T.;Lee, Han-S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4 no.2
    • /
    • pp.24.1-24.1
    • /
    • 2009
  • PDF

High resolution spectroscopic monitoring of emission lines of symbiotic star AG Draconis

  • Kim, Soo Hyun;Yoon, Tae Seog;Oh, Hyung-i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72.2-72.2
    • /
    • 2019
  • 보현산 천문대 1.8-m 망원경과 고분산 에셀 분광기 BOES를 이용하여 장기간 관측한 공생별 AG Draconis 방출선들의 모니터링을 통해 분광학적 특성을 보이고자 한다. 특히, 공생별 AG Draconis의 활동성 및 등급 변화에 따른 중성수소 Balmer 선과 주요 원소에 의한 방출선들의 특징과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 PDF

목성, 토성, 타이탄의 근적외선 고분산 분광선 연구

  • Kim, Sang-J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8.1-88.1
    • /
    • 2010
  • 2001년부터 목성, 토성, 타이탄을 관측하여 얻은 근적외선 고분산 분광선에 대한 자료들을 요약하고, 이들 데이터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3 마이크론 근처에서 혜성이나 성간물질 등에서 종종 나타나는 C-H stretching band와 비슷한 분광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분광구조는 행성계 물체의 연무나 구름 입자 속에 포함하고 있는 유기분자 때문이라고 유추된다. 이 파장 영역은 강한 대기 흡수 때문에 많은 관측자들이 기피하던 영역이었는데, 근래에 들어 고분산 분광기의 발달로 대기흡수선 사이를 통해 이들 천체들의 자세한 분광구조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발표에서 목성, 토성, 타이탄 분광 구조의 다른 점과 같은 점을 보여주고, 이 파장 영역에서만 도출할 수 있는 유용한 과학적 결과를 강조하고자 한다.

  • PDF

달충돌실험(LCROSS) 한국 지상관측 결과

  • Choe, Yeong-Jun;Im, Hong-Seo;Mun, Hong-Gyu;Seong, Eon-Chang;Lee, Deok-Hae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7.2-27.2
    • /
    • 2010
  • 미국 NASA의 LCROSS(Lunar CRater Observation Sensing Satellite) 위성의 달 충돌실험 지상관측 캠페인의 일환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보현산과 레몬산에서 2009년 10월 9일 충돌관측을 실시하였다. 충돌 시점의 섬광 관측을 위해서는 레몬산 1m 망원경에 ND 필터를 장착하여 drift scan 방식으로 관측하고, 충돌로 인한 물 분자 등의 흔적을 찾아보기 위해서는 보현산 1.8m 망원경 긴슬릿 분광기를 이용하였다. 물이 많이 존재할 가능성이 보다 높은 Cabeus A 크레이터로 충돌 지점이 변경되어, 기하학적인 이유로 지구상에서는 충돌 섬광이 관측된 곳은 없었으나 보현산 긴슬릿 분광기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월출부터 4시간 30분 동안 분광자료를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이 발표에서는 보현산 망원경의 긴슬릿 분광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