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력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ccuracy Assessment of 3D Geo-positioning for SPOT-5 HRG Stereo Images Using Orbit-Attitude Model (궤도기반 모델을 이용한 SPOT-5 HGR 입체영상의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 Wie, Gwang-Jae;Kim, Deok-In;Lee, Ha-Joon;Jang, Y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5
    • /
    • pp.529-534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modeling entire image strips that has been acquired from the same orbital segments. We tested sensor models based on satellite orbit and attitude with different sets(Type1 ~ Type4) of unknowns. We checked the accuracy of orbit modeling by establishing sensor models of one scene using control points extracted from the scene and by applying the models to adjacent scenes within the same orbital segments. Results indicated that modeling of individual scenes with 1st or 2nd order unknowns was recommended. We tested the accuracy of around control points, digital map using the HIST-DPW (Hanjin Information Systems & Telecommunication 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 As a result, we showed that the orbit-based sensor model is a suitable sensor model for making 1/25,000 digital map.

Large Storage Performance and Optimization Study using blockwrite (blockwrite를 이용한 대형 스토리지 성능 측정 및 최적화 연구)

  • Kim, Hyo-Ryoung;Song, Min-Gyu;Kang, Y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145-1152
    • /
    • 2021
  • In order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1.4P large storag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unk mode were investigated, and the chunk 512K mode was selected in terms of I/O speed. NVME storage system was configured and used to measure data server performance of large storage.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rough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1.4P large stor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storage system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was up to 133Gbps with a block size of 32KB. As a result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experiment using globus-url-copy of GridFTP, it was found that this large storage has a throughput of 33Gbps.

Introduction to Development of KaVA Digital Filter using GPU

  • Yeom, Jae-Hwan;Oh, Se-Jin;Roh, Duk-Gyoo;Jung, Dong-Kyu;Oh, Chung-Sik;Kim, Hyo-Ryoung;Shin, Jae-Sik;Hwang, Ju-Yeon;Song, Min-Gyu;Jung, Tae-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68.1-68.1
    • /
    • 2018
  • KaVA(KVN and VERA Array)는 KVN 3기, 일본 VERA 4기로 구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일본의 JVN, 중국의 CVN으로 확장한다면 동아시아에 더 많은 기선들이 존재한다. 각 전파망원경은 천문학자의 연구수요, 디지털 백엔드(Back-end) 시스템 기술수준에 의해 각기 다른 다양한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이와 함께, 현재 전파천문관측은 디지털 백엔드 시스템의 발달로 2Gbps 관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32Gbps 시험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한일상관센터는 이런 다양한 자료구조와 관측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KaVA용 디지털필터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CPU기반의 디지털필터를 연산속도와 자료 입출력 대역폭을 상당히 높인 GPU 기반 디지털필터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본 발표는 GPU를 활용한 KaVA용 디지털 필터 개발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국과 일본의 1885년부터 1945년까지의 역서(曆書) 비교

  • Choe, Go-Eun;Lee, Gi-Won;An, Yeong-Suk;Lee, Yong-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26-26
    • /
    • 2011
  • 일본에서 발행한 1885년부터 1945년까지의 역서를 같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발행한 역서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무렵 한국에서는 갑오개혁(1894), 태양력 시행(1896), 일제 강점기(1910-1945) 등의 많은 역사적 사건들로 인하여 역서 발간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과 역서의 내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메이지유신(1868) 이후인 1873년부터 태양력을 시행하였으며, 1888년에는 동경제국대학 부속 동경천문대가 설립되어 1890년부터 역서 자료를 편찬했었다. 특히 비교 기간 동안 일본에서는 '본력(本曆)'과 본력의 중요한 내용만을 수록한 '약본력(略本曆)'이라는 두 종류의 역서가 발행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약본력을 주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한국과 일본에서의 역서 발행 기관, 표준자오선의 변경, 일력계산의 기준위치 등에 대한 비교 연구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몇몇 연도에 대해서는 두 나라 역서에 게재된 일력자료를 상호 비교 하였고, 특히 합삭시각에 대해서는 현대 계산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Exploration of Contents Composition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 on the Area of Astronomy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 Kim, Hyu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6
    • /
    • pp.441-454
    • /
    • 2021
  •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The Effec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 with HTE through Blended Learning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Sul, AhChim;Kim, Hyoungbum;Kim, YoungKi;Heo, You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488-49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HTE creative education program, which applies blended learning methodology as a convergence class strategy between offline and onlin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s a result of applying for five creative education practice programs in the classroom,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in the case of idea manipulation, visualization, comparison, idea generation, and deliberation, subordinate constru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lso, the program turned out to be positively effective, with a 0.14 point improvement in the pre and post-means of all middle school students, showing from 3.65 to 3.79 points, and 72%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atisfied, and 68% were inter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HTE creative education programs using blended learn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as a customized methodology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various creative talents are needed. Therefor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on various related topics and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of blended learning.

광학R&D산실 - 국제적 R&D네트워크 통해 위성미션 수행 및 독자적인 원천기술 개발에 매진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9
    • /
    • pp.41-43
    • /
    • 2009
  • 21세기를 우주시대라고도 하며 천문우주에 관한 연구는 한 국가의 과학기술력을 상징하는 첨단과학으로 손꼽히는 가운데 현재 세계 각국은 앞 다투어 우주개발과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세대학교 우주광학연구실(지도교수 김석환 교수)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곳이 지상 및 우주 광학시스템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광학과 공학사이를 연결짓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 PDF

세계과학기술사 (서양편) -코페르니쿠스혁명-

  • 송상용
    • 발명특허
    • /
    • v.5 no.10 s.56
    • /
    • pp.24-26
    • /
    • 1980
  • 스스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한 일이 뜻밖에 엄청난 결과를 낸 경우를 역사에서 가끔 볼 수 있다. 과학혁명의 테이프를 끊은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가 그 좋은 예다. 그의 새로운 우주체계는 과학혁명의 불씨가 되었지만, 본의는 천문학의 조그만 개혁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었다. 만일 그가 150년뒤의 무서운 변화를 보았다면 공포에 질려 몸을 떨었으리라. 1400년동안 잘 내려온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우주체계가 새삼스럽게 문제된데는 두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프톨레마이오스체계를 토대로 해서 만든 력은 1년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크게 불편했다. 둘째,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은 많은 결함을 지니고 있었는데, 당시의 천문학자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멋대로 고쳐서 우주체계가 걷잡을 수 없이 복잡해졌다.

  • PDF

흠경각루 내부 메커니즘에 대한 고찰

  • Kim, Sang-Hyeok;Lee, Yong-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2.2-52.2
    • /
    • 2012
  • 1438년 장영실은 경복궁 흠경각(欽敬閣) 내부에 자동물시계인 옥루(玉漏)를 제작하였다. 흠경각루(欽敬閣漏)는 수격식(水激式,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차를 운행하는 동력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중국의 수운의상대(水運儀象臺, 1092년경 제작)의 수격방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동력 방식을 제외한 내부 구조에 대한 것은 흠경각루의 외형모습인 가산 형태, 시보인형의 구성과 배치, 작동구조 등에 의해 결정된다. 장영실은 흠경각루의 내부 기어장치의 구성과 연결 등에 대해서 새로운 제작기술을 사용하였다. 우리는 수격식 동력 방식에서 내부 공간에 따른 각각 운행 장치들의 구성과 동력전달체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차가 일정한 회전력을 갖도록 제어하는 천형(天衡) 장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STBL 모형의 모수추정 및 예측방법의 비교

  • Kim, Deok-Gi;Lee, Seong-Deok;Kim, Seong-Su;Lee, Chan-Hui;Lee, Geon-My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29-142
    • /
    • 2006
  • 본 논문은 공간시계열자료가 공간의 위치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시에 관측되는 분야인 기상, 지질, 천문, 생태, 역학 등에서 아주 넓이 사용되고 있고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이 시기에 복잡한 공간시계열 중선형(STBL) 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 방법 중 수치 해석적 방법인 Newton-Raphson 방법과 Kalman-Filter 방법을 비교하고, 두 가지 방법에 의한 예측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