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척추마취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2초

장기간 유지된 신경병증성 통증 흰쥐에서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진통효과 (Effect of Celecoxib, a Cyclooxygenase-2-specific Inhibitor, has no Effect on Chronically Maintained Neuropathic Pain in Rats)

  • 박은성;김현정;이민주;이지윤;신터전;서광석;염광원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4
    • /
    • 2008
  • 배경: 신경병증성 통증은 스테로이드, 아편유사제 등의 진통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하지만 염증성 매개물질들이 신경병증성 통증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효과에 관해서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인 척추신경 결찰모델을 이용 기계적, 냉각 이질통 및 온도감각 과민현상의 발현에 celecoxib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celecoxib의 항통각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0마리의 쥐를 이용 척추신경을 결찰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도하였다 celecoxib (1, 10, 100, and 300 mg/kg)을 경구 투여하였고 총 30마리 중 12마리의 쥐에서 열, 기계적자극에 대해서 통각과민, 냉각자극에 의해 이질통이 발생하였다. 약물 투여 후 30, 60, 120, 180분 후 von Frey, 냉각자극검사, Hargreaves검사를 시행하여 쥐의 행동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경결찰 후 5일 후에 celecoxib의 용량에 관계없이 열, 기계적 자극에 의한 통각과민, 냉각 자극에 대한 이질통을 감소시키지 않았다(P > 0.05). 또한 celecoxib투여에 의한 장기간의 항 통각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결론: celecoxib을 경구로 투여하였을 때 장기간 유지된 신경병증성 통증 흰쥐에서 약의 투여용량, 투여기간에 따른 항 통각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직 손상후 발생된 장기간의 신경병증성 통증에 있어서 celecoxib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태아를 이용한 심폐우회술에서의 태반혈류개선을 통한 태아심장수술의 기반기술 확립 (Establishment of Featal Heart Surgery with an Improvement of the Placental Blood Flow in Cardiopulmonary Bypass Using Fetal Lamb Model)

  • 이정렬;박천수;임홍국;배은정;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1-18
    • /
    • 2004
  • 배경: 태아심장수술이 가능하려면 심폐우회술 시 태반혈류의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태반 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혈류 감소는 태아에 심한 저산소성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태반혈관 수축 억제를 위한 인도메타신과 완전 척추 마취가 태반 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태기간 120∼150일 되는 20마리의 태아양을 정중흉골절개하에 주폐동맥과 우심방에 각각 12 G, 14∼18 F 크기의 도관을 삽관하여 30분 동안 심폐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어미양은 케타민 정주를 이용한 전신마취를 시행하였고 태아양에 대하여는 근육이완제만을 사용하였다. 심페우회술은 바이오펌프(Bio-pump, Bio-Medicus 회사제, 미국)와 태반을 산화기로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태반을 산화기로 사용하여 체외순환만을 시행하였고(10마리), 실험군은 완전 척추 마취와 인도메타신을 전처치한 후 같은 방법으로 체외순환을 시행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태아혈역학 및 동맥혈가스소견, 태반혈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태아양의 평균체중은 3.5 $\pm$ 1.3 (2.2 ∼ 5.2) kg이었다. 대조군에서는 심폐우회 시작 직후 평균 44.7 mmHg에서 14.4 mmHg로 급격한 혈압 강하가 관찰되었고 이때 측정한 혈류는 74.3∼97.0 $m\ell$/kg/min 였다. 동맥혈 가스 소견 역시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치가 61.9∼129.6 mmHg이었으며 체외순환 정지 후에는 심실세동으로 혈역학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실험군에서는 심폐우회 시작 직후 혈압이 30∼45.8 mmHg로 의미있게 높게 유지되었다. 태반 혈류는 78.8∼120.2 $m\ell$/kg/min로 대조군보다 높았다. 같은 시간대에 측정한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치는 평균 59.1∼92.3 mmHg였으며 체외순환 정지 후에는 대조군보다 덜 급격하게 심기능 저하를 보여 평균동맥압이 27.3 mmHg였다. 결론: 연구자 등은 본 연구를 통하여, 30분간 심폐우회술을 실시하면서 인도메타신 전처치와 완전 척추 마취군에서 의미있는 태반혈류개선을 관찰하였으나 임상적용이 가능한 태반혈류의 유지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향후 태아심폐우회술과 관련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개선, 인도메타신 용량의 조절, 순환회로의 최소화, 체외순환을 위한 우회펌프의 개선 등 태아 체외순환의 수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한우(韓牛)의 척추측마취(脊椎側痲醉) (A Technique for Paravertebral Anesthesia in Korean Cattle)

  • 남치주;이흥식;이인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9-122
    • /
    • 1983
  • Paravertebral anesthesia for operation of abdominal wall in Korean cattle were effectively accomplished with the following technique. Any problems in surgical procedure were not observed under the block of ventral branches of the last thoracic nerve and the first and second lumbar nerves with the administration of preanesthetic. The site of injection for blocking of ventral branches of the thirteenth thoracic nerve were approximately 5cm lateral to the midline from the posterior edge of spinous process of the 13th thoracic vertebra and about 10ml of local anesthetic was injected immediately anterior to the transverse process of the first lumbar vertebra through thin site. The block of ventral branches of the first and second lumbar nerves were obtained by injecting 10ml of local anesthetic immediately below the posterior edge of transverse process of the 2nd and 4th lumbar vertebra, respectively.

  • PDF

스마트 폰 앱 교육을 받은 정형외과 척추마취 하지수술 환자의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지식과 통증관리 (Smartphone App Education pertaining to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Use and Pain Management after Spinal Anesthesia for Lower Extremity under Orthopedic Surgery)

  • 김춘애;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5-26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app for use in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and to identify PCA knowledge and pain management following lower extremity orthopaedic surgery under spinal anesthesia in patients who received smartphone app educ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50 patients in an orthopaedic hospital located in Busan.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PCA knowledge, pain management and pain level. For data analysis,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of frequencies. In addi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lso assessed. Results: The score for knowledge regarding PCA was $4.27{\pm}1.64$. The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pain management (button push times

척추 신경 차단술 환자 특성이 주사시술의 공포감과 방사선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ear of Injection Procedures and Radiation Risk Recognition on Patients Characteristics Undergo Spinal Nerve Block)

  • 차진영;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2호
    • /
    • pp.171-1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nerve block on the fear of injection and the risk of radiation. Subjects were 137 patients (67 males, 70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in Cheongju. The method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using a total of 28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ti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erve block surgery, nerve block fear scale, and radiation risk percep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secured with 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0.6 or higher.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was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y measurement scale and factor. As a result,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5).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visit patients than in the second-visited pati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in radiation risk perception. In conclusion, patients undergoing spinal nerve block were more aware of the fear of injection than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procedure.

고령환자에 있어서 술후 호흡기 합병증의 예측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in the Elderly Patients)

  • 서경덕;정유성;감복규;이종명;허동;김진도;이주홍;구대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321-328
    • /
    • 1997
  • 연구배경 : 고령환자에 있어서 술후 호흡기 합병증의 위험인자인 흡연, 연령, 마취 방법, 수술종류, 수술시간, 폐질환등이 술후 합병증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또 폐기능의 어떤 계측치가 술후 합병증을 예견하는데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60세이상의 수술받은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흡연유무, 마취방법, 수술종류, 수술시간, 과거 폐질환 병력에 따라 술후 합병증을 평가하고 폐기능 검사의 계측치를 분석하였다. 결 과 : 60~69세군에 비해 70세 이상군이 술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흡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하여 술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수술의 종류와 술후 합병증은 연관성이 없었다. 수술시간은 2시간이상군이 2시간이내군보다 술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전신마취가 척추 및 국소 마취보다 술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술전 만성 폐질환이 있는군이 없는 군보다 술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이산화탄소분압이 45mmHg 이상군이 이하군보다 술후 호흡기 합병증이 많이 발생 하였다. 폐기능 검사의 계측치중 $FEV_1$, FVC, MMEFR, MVV가 술후 합병증을 예측하는데 유용하였다. 결 론 : 70세이상의 연령, 흡연, 2 시간이상의 수술시간, 전신마취, 술전 만성폐질환,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이산화탄소분압이 45mmHg이상군이 술후 호흡기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고, 폐기능 검사의 계측치중 $FEV_1$, FVC, MMEFR, MVV가 술후 합병증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었다.

  • PDF

척수신경손상에 대한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 길항제의 효과에 대한연구 (Studies About the Effect of Excitatory Amino Acid Receptor Antagonist on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 김종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1995
  • 외상성 척추신경손상후에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며, 손상부위가 안정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서 2차 손상과정이 최초의 기계적 손상을 악화시킴이 오래전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2차 손상과정의 개입은 척추신경손상을 약리학적으로 조절하는 시도에 대한 논리적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 흥분성 아미노산은 척수의 정상기능뿐아니라 허혈성 및 외상성 손상에 의한 세포사망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어 외상성 척수손상의 2차 손상과정에 이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가 관여할 것임이 시사되고 있다. Dextrorphan은 화학적으로 우선성 morphinan계통의 약물로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의 하나인 NMDA 수용체의 선택적 길항제이고 임상적으로 사용가능성이 조사되고 있는 약물이다. 본 연구는 dextrorphan의 처리가 쥐의 척수신경손상후에 나타나는 후지운동기능의 회복과정 및 조직학적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여 척수손상 후 일어나는 2차 손상과정에 NMDA 수용체의 개입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후지운동기능 회복은 open field test(21 point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학적 손상의 크기는 손상 8주후에 정량적 조직병리학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숙 자성 Long-Evans 쥐 (무게 $250{\sim}300gm$)를 pentobarbital sodium 마취 (복강내, 40 mg/kg)하에서 9번째 및 10번째 흉추부위의 추궁절재술을 시행하여 10g 무게의 막대를 25mm의 높이에서 노출된 경막에 떨어뜨려 척추손상을 유발하였다. 대조군 (n=15)은 생리식염수를 약물투여군 (각 n=10)은 dextrophan 15 mg/kg, 30mg/kg을 척수손상유발 15분전에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Dextrorphan 처리는 척수손상에 의한 동맥압 변동 및 동맥혈액 가스치 (pH, $Pco_2,\;Po_2$)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척수손상 2일부터 open field test를 시작하여 일주일에 두번씩 술후 8주간 시행하였다. 첫 $2{\sim}3$일 후에는 후지운동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그후 2주일까지 약간 빠른 회복을 보여 후지관절의 운동을 보이고 몸무게를 지탱하였으며 $4{\sim}5$주에는 일부 동물에서는 비정상적인 걸음을 보였다. 그 이후에는 더 이상의 후지운동기능의 회복은 볼 수 없었다. Dextrorphan 투여는 이러한 후지운동회복기능 뿐 아니라 조직손상의 크기에도 전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NMDA 수용체는 외상성 척추손상 후 일어나는 2차 손상과정에 관여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우측 대동맥궁을 가진 환자에서 이상 기시된 좌쇄골하 동맥 폐색의 수술적 치료 - 1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Occluded Aberrant Left Subclavian Artery with Right-sided Aortic Arch -A case report-)

  • 조양현;류세민;김현구;조종호;손영상;최영호;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41-244
    • /
    • 2005
  • 57세 남자가 3년 전부터 발생한 좌측 팔의 통증과 감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경미한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것 이외에 다른 증상은 얼었다. 좌측 팔의 동맥압은 촉지되지 않았으며, 흉부방사선 사진상 우측 대동맥궁이 의심되었다. 대동맥 조영술 상에서 우측 대동맥궁과 Kommerell 게실이 관찰되었고 좌쇄골하 동맥은 기시부의 완전 폐색을 보였으며 혈류는 척추 혈관을 통해 우회하여 쇄골하동맥에 공급되고 있었다. 전신마취 하에 우측 쇄골하 동맥으로부터 8 m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좌쇄골하 동맥에 연결하였다. Kommerell 게실은 크기가 작아 추적 관찰하기로 하였다.

척추경막외 병용마취시 경막외강으로 주입된 생리식염수와 부피바카인의 감각차단 범위에 대한 효과 (Effects of Saline and Bupivacaine for Epidural Top-up on Sensory Blockade Level during Combined Spinal Epidural Anesthesia)

  • 김동연;한종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84-88
    • /
    • 2000
  • Background: An increase in the maximum level of sensory blockade (MLSB) following an epidural top-up in combined spinal epidural anesthesia (CSE) may be achieved by a volume effect as the volume of local anesthetic compresses the dural sac, by a local anesthetic effect, or by a combination of both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each of these effects. Methods: Sixty patients scheduled for lower limb surgery under CSE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groups of twenty patients each. Using the needle-through needle technique, all patients received a subarachnoid dose of 10 mg hyperbaric 0.5% bupivacaine. At 30 min after subarachnoid injection, an epidural top-up with saline 10 ml (group II) or 0.5% bupivacaine 10 ml (group III) was administered; patients in group I received no epidural top-up. The level of sensory blockade was assessed at 5, 10, 15, 20, 25, 30 min after subarachnoid injection and at 5, 10, 15, 20, 25, 30 min after epidural top-up.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LSB and the onset time of MLSB among group I-III.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the epidural top-up with saline 10 ml or 0.5% bupivacaine 10 ml which injected at 30 min after subarachnoid injectio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 of subarachnoid block in lower extremity surgical patients.

  • PDF

연골무형성증(Achondroplasia) 환자에서 술 후 교정시술을 위한 경막외차단 중 발생한 전척추 마취 -증례보고- (Total Spinal Anesthesia following Epidural Block for Correction with IIizarov Apparatus in an Achondroplasia Patient -A case report-)

  • 최원형;이일옥;이미경;김난숙;임상호;공명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9권2호
    • /
    • pp.288-291
    • /
    • 2006
  • Epidural analgesia using an epidural catheter is an effective method to relieve the pain during the rehabilitating procedure for postoperative orthopedic patients. Total spinal anesthesia is one of the possible complications of epidural catheterization which can lead to a life-threatening condition. Achondroplasia is the most common form of short-limbed dwarfism resulting from a failure of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n patients suffering with short stature syndrome like achondroplasia, the incidence and risk of total spinal anesthesia during epidural anesthesia may increase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y and structural anomaly of the spine. We report here on a 35-year old female patient with a height of a 115 cm. She was diagnosed as achondroplasia and she had a previous Ilizarov operation; both tibial lengthening and correction of valgus were done. No specific event occurred during epidural catheterization.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of a test dose via epidural catheter, the patient became hypotensive, drowsy and showed weakness of both her upper and lower extremities. The symptoms were disappeared after 40 minutes. The catheter was removed on the next day. We concluded that the total spinal anesthesia was caused by intrathec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through the epidural catheter, and the anesthesia then migrated into the subarachonoi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