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채종

Search Result 8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s of Plant Age and Seed Specific Gravity on Seed Germination of Bupleurum falcatum L. (시호 채종주령(採種株齡) 및 종자비중에 따른 발아특성)

  • Choi, Byoung-Ryourl;Park, Kyeong-Yeol;Kang, Seung-Won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6 no.2
    • /
    • pp.154-159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 age on germination and distribution of seed specific gravity and to find a reason of low germination rate in seeds harvested from young plants, which could b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in Bupleurum falcatum L. The germination rates of Korean native cultivar were 35% and 4% higher in 1-year-and 2-year-old plants, respectively, than Misshimasaiko (三鳥柴胡)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 and 2-year-old plants. However, in Misshimasaiko, seed germination rates of 1-year-old plants were $22.7{\sim}23.0%$ lower than those of $2{\sim}3-year-old$ plants. The relative frequency of seeds over 1.00 specific gravity in Misshimasaiko was $33{\sim}34%$ higher in $2{\sim}3-year-old$ plants compared to 52% of 1-year-old plant, bu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lant ages in Korean native cultivar. Considering varietal difference, the germination rate of seeds with the same specific gravity was not affected by plant age in Korean native cultivar, but in Misshimasaiko it was greatly different between 1-year-old $(5.0{\sim}17.5%)$ and $2{\sim}3-year-old$ plants $(22.5{\sim}55.0)%$. From these results, it was assumed that differences in germination rate among seeds from different plant ages were caused not only by seed specific gravity but also by some other factors.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Study on the Optimum Time of Seed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Embryo in Panax ginseng C.A.Meyer (인삼종자의 채종적기구명과 배발달에 관한 연구)

  • 안상득;권우생;정찬문;손은용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2
    • /
    • pp.123-128
    • /
    • 1986
  • The characteristics such as characters of seed, fruit and endosperm, development of embryo, dehisced and germination rate of seeds which harvested at 10 days intervals from 20 days to 60 days after pollination were determined to clarify the optimum time for seed production of ginseng. The sizes of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fruits, seeds and endosperms investigated on 20 days after pollination were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ose that harvested after 60 days. But the weights of fruits and seeds were increased along with the delay of harvesting time. The seeds which harvested from 30 to 60 days showed comparatively high dehisced and germinated rates, especially 40 days in dehisced rates and 50 days in germinated rates. The embryos were rapidly grown in early stage. Lengths of the embryo on 20 days after pollination were approximately grown to 30 ${\mu}{\textrm}{m}$. And after 30 days pollinated, embryos were not only more rapidly grown to 213 ${\mu}{\textrm}{m}$ but also cotyledon premodia were developed in this time and completely formed after 40 days.

  • PDF

Detection of Adulteration of Sesame Oil (II).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Rapeseed Oil in Sesame Oil (참기름의 진위판정에 관하여(II) 참기름중의 채종유의 검출)

  • 천석조;임영희;송인상;노정배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 no.3
    • /
    • pp.105-109
    • /
    • 1988
  • To develop a method for detecting and e&timating the quantity of adulterant rapeseed oil in sesame oil, five kinds of sesame oils and three kinds of rapeseed oils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fractionated by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separated on the basis of PN (partition number) b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se obsenation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adulterant rapeseed oil when mixed minimum 4% with sesame oil can be detected.

  • PD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Register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owing Time for Organic Seed Production (찰옥수수 유기채종에 따른 파종기별 생육 및 수량특성)

  • Goh, Byeong-Dae;Park, Jong-Yeol;Jang, Eun-Ha;Park, Ki-Jin;Yoon, Byeong-Seong;Jang, Ji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6-296
    • /
    • 2009
  • 국제기준(Codex)에 부합하는 유기농산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저항성 품종의 유기종자 사용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경우는 찰옥수수 등 주요 식량작물에 대한 유기채종기술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찰옥수수 유기채종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찰옥수수 유기 채종에 따른 파종기별 생육 및 수량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유기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시험은 홍천군 남면에 위치한 농가 유기포장에서 수행되었으며, 시험품종은 옥수수시험장에서 육성 보급되고 있는 미백2호 및 미흑찰 원종종자를 이용하였다. 파종기는 4월 16일, 5월 4일, 5월 27일 등 3처리로 구분하여 모 부본 동시파종 하였다. 재식밀도는 80${\times}$25cm로 하여 점파하였고 모 부본의 재식비율은 2:1로 웅주간파 하였다. 잡초방제는 흑색 P.E. Film으로 멀칭 재배하였고, 유기질비료는 H사에서 생산된 혼합유박비료를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파종기별 출사일수는 미백2호의 경우 4월 파종에서 79일로 가장 길었고, 파종 시기가 늦을수록 출사일수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미흑찰의 경우에는 미백2호의 결과와 같은 경향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출사일수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장 및 착수고 또한 미백2호와 미흑찰 모두 4월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삭특성에 있어서 이삭장과 착립장은 미백2호 및 미흑찰 모두 4월 중순 및 5월 상순 파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5월 하순 파종에서 현저하게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율의 경우 미백2호는 4월 중순 및 5월 상순 파종에서, 미흑찰은 5월 상순 파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종실중과 100립중은 미백2호 및 미흑찰 모두 4월 중순과 5월 상순 파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5월 하순 파종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10a당 채종수량은 미백2호의 경우 4월 상순 파종에서 217㎏으로 가장 높았고, 미흑찰은 5월 상순 파종에서 164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두 품종 모두 5월 하순 파종에서 채종수량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찰옥수수 유기종자의 안정적 채종과 정상수량 확보를 위해서 미백2호는 4월 중순 파종시에 그리고 미흑찰은 5월 상순 파종시에 채종 안전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채종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1개 이삭당 종실중과 100립중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Wild Vegetable (산채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Ahn, Song Hee;Moon, Jung Seob;Lee, Yong Mun;Yang, Jin Ho;Kim, Dong Won;Ah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4-84
    • /
    • 2019
  • 산채류의 종자 및 종묘는 시중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산채 꾸러미에 분류되는 작물 중 개미취(Aster tataricus),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주로 종묘의 형태로 공급되어 수급이 안정치 못하다. 이에 본시험은 개미취,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 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6년 4월에 종묘를 노지에 정식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8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처리구별 각 작물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각 작물별 개화 후 50일, 70일, 90일, 110일, 130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과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개화가 시작된 일자는 개미취의 경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빨랐으며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늦었다. 모든 작물의 개화가 종료되는 시점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개화율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우산나물은 노지재배시 개화율이 9.3%로 매우 낮았다. 개화기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는 초장과 엽폭이 차광재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쑥부쟁이는 하우스 재배에서 타 재배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차광재배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결실률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결실률이 60%이상이었다. 반면 우산나물은 평균 31%로 타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실률이 낮았으며 차광 재배일 때 43%로 가장 결실률이 좋았다. 개미취는 개화 50일 이후부터 종자 결실률이 65%이상으로 높았으며, 섬쑥부쟁이의 결실률은 개화 후 50일이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로 점차 결실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우산나물은 개화 후 90~110일경에 가장 결실률이 높은 경향이었다. 개미취는 개화 후 7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낮았으며, 9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좋았다. 섬쑥부쟁이의 발아율은 개화 50일 이후부터 최종 채종시기까지 80%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채종시기에 따라 발아율 정도가 매우 상이하여,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개미취는 하우스 재배를 통해 개화 후 90일 때 채종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았으며, 섬쑥부쟁이는 차광재배일 경우 개화 50일 이후에는 발아율이 90% 이상이므로 이때부터 종자비산 전까지가 채종적기로 판단된다. 우산나물은 타작물에 비해 다소 결실률이 떨어지나 차광재배 시 개화 110일 후 우량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정향 추출물이 시판 식용유의 가열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 박상일;문주수;이옥환;손종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83-83
    • /
    • 2003
  • 대두유, 올리브유 및 채종유에 대한 정향추출물(clove extract)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대두유, 올리브유 및 채종유에 정향추출물을 0.02%의 농도로 첨가한 후 180$\pm$2$^{\circ}C$에서 48시간동안 가열산화 시키면서 산가(acid value) 및 공액이중산가(conjugated diene value)를 측정하였다. 대두유, 올리브유, 채종유의 초기 산가는 0.13, 0.75, 0.11이었으며, 가열산화 후 0.52, 1.31, 0.51로 증가하였다. 또한 대두유, 을리브유, 채종유의 초기 공액이증산가는 0.57, 0.43, 0.35에서 가열산화 후 1.93, 1.04, 1.08으로 대두유보다 채종유나 올리브유의 산화안정성이 높았다. (중략)

  • PDF

Seed Production Status in Ginseng Plantations (농가포장에서의 인삼종자 생산실태)

  • Lee, Jong-Chul;Park, Hoon;Kim, Kap-Sik;Byen, Jeung-S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1
    • /
    • pp.19-23
    • /
    • 1986
  •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ginseng seed production, yield of seed and seed quality in 27 fields were investigated. Yield of seed ranged from 4 to 10 litres per 100 kan (180cm x 90cm). Ratio of under 4mm seed is 12%, 66% for 4 to 5mm and 22% for over 5mm. Seed weight and ratio of over 4mm seed showed the decreasing tendency with the increase of seed yield per unit area. The seed yield harvested from the selected mother plants was lower than that from all plants, but seed weight and ratio of over 4mm seed were high in fields using the selected mother plants.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ngth and width of seed, but no correlation between thickness and length or width. Optimum yield for high quality seed appeared under the 7 to 8 litres per 100 kan.

  • PDF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 Park, Byung-Sung;Kang, Hwan-K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3 no.9
    • /
    • pp.1537-154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linseed oil and canola oil on the depositio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pork. Twelve pigs weighing 50 kg were offered one of four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and containing tallow, linseed oil, canola oil or mixed oil (linseed oil plus canola oil). The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of their market live weight. Linseed oil, canola oil or mixed oil did not affect any of the three indicators of growth performance-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plasma was the highest in tallow oil group, while the plasma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 was lowered in linseed oil, canola oil and mixed oil group from 11.84% to 16.54% than tallow group (p<0.05). The plasm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not detected at all in the tallow-fed pigs, while the plasma proportion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in linseed oil, canola oil and mixed oil from 4.68% to 12.83% than tallow group (p<0.05). All three lipid supplements containing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the content of pork belly $\alpha$-linolenic acid (18:3n-3) by 9.43% relative to the tallow values (p<0.05). Feeding linseed oil or canola oil increased the n-3 : n-6 ratio in pork belly to 0.68, and increase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 : saturated fatty acid ratio to 0.70 (p<0.05). This result showed that feeding linseed oil and canola oil can produce novel functional pork enriched 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