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Adulteration of Sesame Oil (II).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Rapeseed Oil in Sesame Oil

참기름의 진위판정에 관하여(II) 참기름중의 채종유의 검출

  • 천석조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연구소) ;
  • 임영희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연구소) ;
  • 송인상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연구소) ;
  • 노정배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연구소)
  • Published : 1988.09.01

Abstract

To develop a method for detecting and e&timating the quantity of adulterant rapeseed oil in sesame oil, five kinds of sesame oils and three kinds of rapeseed oils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fractionated by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separated on the basis of PN (partition number) b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se obsenation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adulterant rapeseed oil when mixed minimum 4% with sesame oil can be detected.

순수 참기름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사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 및 3종류의 채종유를 시료로 하여 TLC 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획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로 분획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지별에 따른 5종류의 참기름은 PN42, 44, 46, 48 및 50의 5획분으로 분획되었으며 그 조성이 동일하여 진위 판정의 자료로 이용 가능하였다. 2) 제주도산 및 전남 채종유의 triglyceride는 PN40~56 획분이 부리 동정되었으며 캐나다산 채종유에서는 PN 36~52의 9획분이 동정되었다. 3) 참기름의 PN별 획분과 비교하여 볼 때 전남 채조유 에서는 PN48, 52, 54 및 56 획분, 제주도 채종유에선 PN42, 52, 54 및 56획분이 유용한 자료가 되었다. 4) 캐나다산의 채종유에서는 PN42, 48 및 52획분의 조성이 특징적이었다. 5) 참기름에 채종유를 4% 혼합한 경우 PN 별 조성으로부터 순수 참기름의 판정이 가능하였지만 이들 data에서 통계적 처리등의 수단으로 더욱 상세히 검토되면 향상된 분석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