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Analysi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on the CT-CPS Instructional Model for the Software Education Class in Middle School (중등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인지적·정의적 효과성 분석)

  • Jeon, YongJu;Kim, Tae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0 no.4
    • /
    • pp.47-5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T-CPS(Computational Thinking-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model on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 of middle school students' software class. To achieve our goal, we explor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signed a lesson plan based on CT-CPS instructional model. Then we analyzed our experimental results after applying the lesson plan to middle school students. We performed our experiment to an experimental group by using our CT-CPS instructional model-based lesson plans, and we carried out three pre and post tests about cognitive and affective area, i.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meta cognition and motivation of learning. As a result, most of the test factors were statistically improved, so the effectiveness of the CT-CPS instructional model on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 of middle school students' software class was verified.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ity of Creativity Path Inventory (CPI) (창의성 경로 척도(Creativity Path Inventory)의 개발 및 타당화)

  • Lee, Hyunjoo;Lee, Mina;Park, Eunji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4
    • /
    • pp.511-528
    • /
    • 2015
  •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creative potential to realized talent is complex and non-linear. This feature of the process stands out more in the process of living a creative life in the long-term rather than in a situation to solve certain problems in the short-te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reativity Path Inventory (CPI) f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Sawyer's Zigzag Model which is one of creative process theories an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ventory. Thu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model, this study developed 88 items in 8 factors and finally confirmed 38 items in 7 factors through item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cess on construc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of a total of 38 items in CPI turned out to be .835,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the inventory and goodness-of-fit index of the final model also demonstrated an appropriate result. CPI with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will help enable people who want to manifest creativity in view of everyday creativity to realize self-improvement by self-report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n their own.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through brain's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뇌의 인지기능 특성을 통한 과학 영재성 판별)

  • Ha, Jong-Duck;Song, Kyong-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2
    • /
    • pp.77-100
    • /
    • 2005
  • This stud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the methods of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in relation to the recent emphasis on the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es of the cognition achievements, while only the results have been studied until now.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the ways of identifying the gifted, the research procedures about brain functions, and the information procedures about brain data were reviewed. Eleven scientifically gifted and 10 normal children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rain waves with brain wave measuring instrument for P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while studying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s, used their right brain more than their left. When solving these problems, they utilized more of their theta and alpha brain waves than those normal children. In addition, theta brain wave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were rather active during these activities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distinctive in their right brain rather than their left. Thereb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waves during the moments of solving certain problems can be used as a method to identify the scientifically gifted.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Ko, Kyoung-I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69-82
    • /
    • 2015
  •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at is employed by Korean colleges for managing performance-bas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NCS-based curriculum was primarily adopted to enhance students' business competency for their successes in a competitive job market. 2) NCS is questioned its efficacy to resolve Korean employment issues in a serious economic structure in which a growing number of jobless youth and aged employees and education discrimination are involved. 3) NCS, with its emphasis on the Tyler Rationale and principles of scientific curriculum development, has many criticisms due to its technical approaches to educational processes and needs to be replaced with an alternative paradigm. 4) This article suggests that administrators, policy makers, and educators seek ways to resolve NCS issues considering contextual features of Korean job market and rethinking NCS ideology in the education process. A need for curriculum reconceptualisation is discussed.

경력단절여성의 개인 특성과 창의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Hwang, Seon-Ju;Jeong, Hwa-Yeong;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1-61
    • /
    • 2017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수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창업으로의 연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재구성 및 향후 정책이나 사업을 기획함에 있어 이론적 기반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작성 되었다. 여자의 삶을 살면서 겪게 되는 출산 및 양육은 경력단절을 만드는 주된 이유이며, 이는 개인의 문제 뿐 아니라 저 출산 이라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런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현재 정부는 여성기업의 활동과 여성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 12월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여성 창업 촉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제 경력단절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수를 분석하여 실증 분석을 통해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경력단절여성의 특성을 파악하여 경력단절 전 보다는 창업에 필요한 소통이 단절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의 영향력이 아닌 내부의 개인특성을 중점으로 변수들을 추출하였다는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이 있고, 일반 예비창업자 혹은 교육학에서 변수로 작용했던 창의성을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차이점이 있고, 창업 이라는 교육 커리큘럼에 여성을 대표하는 "감성"을 더해 "여성창업"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만들어 져야 하고, 경력단절여성들이 창업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제도가 더욱 많아져 경력단절 여성창업률을 높이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n Hiele의 이론에 의한 국민학교 기하도형 학습의 분석연구

  • 서성보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2
    • /
    • pp.141-202
    • /
    • 1995
  • van Hiele의 사고수준 이론에는 기초수존, 제1수준, 제2수준, 제3수준, 제4수준 등 5가지가 있고, 이 중에서 국민학교에 해당되는 것은 기초수준 (1학년), 제1수준(2, 3학년), 제2주순 (4, 5, 6학년) 등 세 가지 뿐이다. 그리고 기하학적의 구조 인식론에는 관제, 구성, 정의, 공리, 정리, 증명, 척도, 자호, 응용 등 9가지 단계가 있고, 이 9가지 단계를 기초수준, 제 1수준, 제 2수준의 각 수준에 대응시켜서 거기에 해당되는 기하도형 학습을 연구·분석하였다. 기하도형에 관한 학습은 주로 경험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기문제를 제시하여 그 흐름을 해결함으로써 각 수준의 각 단계들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특히 여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기하학의 구조 인식론이라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9가지 단계를 차례로 거쳐 가야만 아동들은 도형을 올바르게 빠짐없이 인식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의 특징을 예를 하나 들어서 설명해 보면, 흔히들 정의를 단순히 무정의어와 정의어로 구분하고 있는데 반하여, 이 이론에서는 서로 역동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기초정의, 상황정의, 포괄정의, 기본정의, 부수정의, 특수정의 등으로 나누었다는 점이다.

  • PDF

The Effect of STEAM Program using Arduino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TEAM Core Competencies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교사의 융합인재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im, Sun Young;Hyun, Yun S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4 no.2
    • /
    • pp.183-196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using Arduino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ward their STEAM core competencies. The STEAM program using Arduino consists of four stages: presentation of situation, creative design, emotional touch, and evaluati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lear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STEAM and Arduino. Then, they were given the chance to think about an environmental issue, which is fine dust. The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 air cleaner and a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 using Arduino.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lso produced the air cleaner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using Arduino. They measured the level of fine dust in the classroom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air cleaner. T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each stage of STEAM: seriousness of fine dust, design and produc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of fine dust and air cleaner,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ir cleaner. Further, they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s of STEAM program using Arduino.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tatistically improved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gathering information competency, logical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improvements on teamwork competency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experiencing STEAM program using Arduino is valuable for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develop STEAM core competencies and further implement STEAM program their science classes in the future.

An Analysis on Problem-Finding Patterns of Well-Known Creative Scientists (잘 알려진 창의적 과학자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패턴 분석)

  • Kim, Youngmin;Seo, Hae-Ae;Park, J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3 no.7
    • /
    • pp.1285-1299
    • /
    • 2013
  • Nurturing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ims to explore patterns displayed by well-known scientists in their quest for problem finding. Each case of scientists' course of problem solving is described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 process of problem finding, and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re are five patterns from ten scientists which are as follows: Pattern 1 is that scientists find problems from insufficiencies and/or errors from explanation of theories at the time and the related cases are A. Lavoisier, G. Mendel, and J. Watson. Pattern 2 show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because of strange phenomena unexplained by theories at the time, and here important case studies are E. Rutherford and W. R$\ddot{o}$ntgen. Pattern 3 demonstrate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from analogical reasoning between known theories and unknown science phenomena. The cases include S. Carnot and T. Young. Pattern 4 points to the fact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while they utilize a newly invented experimental instrument. Here, G. Galilei is an important example. Pattern 5 establishes that scientists happen to find a problem while they conduct research projects. The works of M. Faraday and J. Kepler are prominent case studies related to this pattern.

The Effect of Medical Service Design Thinking Teaching-learning on Empathic Problem Solving Ability: Convergence Analysis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의료서비스 디자인싱킹 교육의 공감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효과: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융복합 분석 중심으로)

  • Yoo, Jin-Y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6
    • /
    • pp.311-321
    • /
    • 202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Freshman Preliminary Health Administrators(FPHA)' Empathic Problem Solving Ability(EPSA) through the application of Medical Service Design Thinking(MSDT) conducted by undergraduate school of SNS hospital marketing education.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9 students in the freshman year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after applying MSDT for 15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at a college in Daegu. MSDT was positive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Imagine, Empathic interest, Empathic awakening of the FPHA' EPSA. In the analysis of key common words, the use of neutral and negative words was low, while the use of positive words was high. In order to systematically equip Empathic problem solving job competen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meaningful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freshmen curriculum and to conduct a analysis of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dditional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is needed for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