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생태계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Desirable Suggestions for Korean Geo-technology R&D through Analysis of the Global Grand Challenges and Moonshot Projects (글로벌 과학난제 도전연구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지질자원기술에의 바람직한 제언)

  • Kim, Seong-Yong;Sung, Changm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3 no.1
    • /
    • pp.111-120
    • /
    • 2020
  • Remarkabl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s are mainly shown in the 'super-convergence' or 'convergence of convergence' among cross- disciplinary fields, and advanced countries are promoting the 'high-risk, high-return research' ecosystem. Google LLC is carrying out numerous new challenges in terms of a non-failure perspective. Innovative research by the US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 has produced such breakthroughs as the Internet, GPS, semiconductors, the computer mouse, autonomous vehicles, and drones. China is pioneering a 'Moon Village' and planning the world's largest nuclear fusion energy and ultra-large particle accelerator project. Japan has also launched 'the moonshot technology development research system' to promote disruptive innovation. In Korea, the government is preparing a new research program to tackle the global scientific challe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asonable geoscientific challenges to be addressed and to conduct a preliminary study on these topic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creative research projects centered on young researchers, select outstanding principal investigators, extract innovative topics without prior research or reference, simplify research proposal procedures, innovate the selection solely based on key ideas, and evaluate results by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form of conferences.

Explanatory Study on Online Shopping Mall Startup by Young Entrepreneurs (청년자영업자의 온라인쇼핑몰 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Jong Sung;Kim, Do Hyeon;Shin, Jee Mah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2
    • /
    • pp.35-4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arting a business in an online shopping mall for young self-employed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mpany N's Partner Square (Gwangju), a startup infrastructure institu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were used, and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After proceeding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it was analyzed with a paradigm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when parents were unaware about online shopping malls or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it, but they had a positive mindset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s, it was found that their children tended to start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es. However, if parents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online shopping malls and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 then the child could not start an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is important as a condi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achiev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artner Square (Gwangju) was fou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and positively influence startups in online shopping malls. Third,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elf-esteem,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reinforcing their creativity, in addition to simply increasing their sales after sta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Suggestions for the Independent Bod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oreography (인공지능 안무 시대의 주체적 몸을 위한 제언)

  • Yim, Sujin
    • Trans-
    • /
    • v.12
    • /
    • pp.1-19
    • /
    • 2022
  • This study predicts and raises the changes that AI will bring to dance art when machine-based choreography began, and finds questions we can ask as human artists. Research suggests that one of the crises of dance in the era of machine creative arts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stay in the tool of human choreography but becomes the subject of choreography. It is based on the political discourse of choreograph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power to control and restrict human dancers. This comes from a sense of crisis that the AI takes over the area of choreography and the human choreographer remains an incompetent coordinator, and as a result, the dancer's dancing body can be reduced to a mechanical body controlled by AI. In order for these concerns not to become a reality, this study proposes three measures. First, choreographer and dancer should develop digital literacy to live in the age of AI art. Secondly, choreographer should acquire the ability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roles of human choreographer, dancer, and AI in creative work. Thirdly, various levels of discourse on AI dance should be formed by actively conducting mutual media research of da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se efforts, the human dancer will exist as a subject of art, not a passive agent in the new dance ecosystem brought by the inno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will be able to face an era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vily and productively.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s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 Miok,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5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perception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oncerning several aspects including scope, scale, publicity, artistic and scientific nature, main material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executive and management systems as well as legal understanding of garden and park. The properties of garden and park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cept,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gardens and the parks were recognized by the experts and the public viewpoint was clarified by questionnair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the gardens and the parks, the expert group recognized it more widely than the general public. In general, the space recognized as a garden was the rooftop green space, and urban forests were recognized as a park.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recognized urban forests as gardens the same as they recognized parks, and the distinction was unclear. In the expert group, the perception that gardens were small and the parks were large was more prevalent.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gardens were private spaces and the parks were public spaces. In the expert group, the gardens were more personal and the parks were more apparent to the public. In the general population, functional and scientific aspects rather than artistic creativity in both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found that parks are more complex than gardens. The garden was centered on plant material, and the park was recognized as a center where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centered, or the plant material and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properly balanced. To the experts the view of the gardens was positive. Expert groups emphasized the aesthetics of the garden, and the parks were more practical, and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similar perceptions of utility and aesthetics when comparing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the utility of gardens in the general publics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esthetics of the park. Regarding the executive system the park was recognized as the public sector, and the difference was larger in the expert group. As for the management system, both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management of the park or the garden to be carried out by the supporting organ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nagement subjec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with the mixture of concepts, and there is still a big difference in legal system and percep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Middle-aged Eldery Office Workers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역량과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의 구조적 관계)

  • Choi, In 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5
    • /
    • pp.169-185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by using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s a mediator for middle and middle-aged office workers.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are classified into management competency, technology competency,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ompetency. 222 copie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iddle-aged and elderly office worker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imple mediating model with singular mediator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4.0.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apac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but management and technical compet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higher the business competency and funding compet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on the recogni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competenc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echnology competence has the smallest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discovery of an opportunity recognizing opportunities for start-up is a prerequisite for entrepreneu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mediates between the management competency, technological competency, business competency, funding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uggests that opportunity discovery by recogniz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is a prerequisite for start-up.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inspire middle-aged and elderly office workers to start their own business, it is necessary to have indirect experience with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d promote a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financing.. Second, It suggests that education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portunity recognition. Third, it suggests that the discovery of opportunities to recognize opportunities for start-up is a prerequisite for entreprene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anual and conduct training on opportunity search, recognition, evaluation,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age of opportunity development. Fourth,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Lso, it is necessary to manage both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By presenting the practical directions that can be given differentiall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practical directions and policy establishment for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office workers who can give vitality to the ecosystem.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